최근 수정 시각 : 2024-03-06 23:41:57

창전거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white,black> 김일성 집권기
(1945~1994)
<colbgcolor=#cccccc,#333333> 평양시 광복거리 · 문수거리 · 안상택거리 · 창광거리 · 천리마거리 · 청춘거리 · 락랑거리 · 락원거리
은정구역
평안남도 평성시
김정은 집권기
(2011~ )
평양시 려명거리신도시 · 미래과학자거리 · 은하과학자거리 · 창전거리
경루동 · 대평지구 · 서포지구 · 송신송화지구 · 위성과학자주택지구 · 화성지구
량강도 삼지연시
함경남도 검덕지구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40001><rowcolor=white>
파일:북한 국장_White.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구역 내 길거리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북↔남
서성거리 · 승리거리 · 오탄강안거리 · 역전거리 · 창광거리 · 창전거리
서↔동
만수대거리 · 서문거리 · 영광거리 · 창광원거리 · 해방산거리
동대원구역
북↔남
주체탑거리 · 송화거리
서↔동
동대원거리 · 새살림거리 · 송신거리
대동강구역
북↔남
문수강안거리 · 문수거리 · 산원거리
서↔동
릉라거리 · 대학거리 · 청류거리 · 탑제거리
대성구역
서↔동
금성거리 · 문덕거리
락랑구역
북↔남
3대헌장기념탑거리
서↔동
락랑강안거리 · 락랑거리
룡성구역
북↔남
은하과학자거리
화성구역
북↔남
화성거리
서↔동
림흥거리 · 화성지구 3단계
만경대구역
북↔남
청춘거리
서↔동
광복거리 · 서산거리
모란봉구역
북↔남
개선거리 · 북새강안세거리 · 칠성문거리
서↔동
모란봉거리 · 비파거리 · 안상택거리
보통강구역
북↔남
경흥거리 · 신원거리 · 은하거리
서↔동
락원거리 · 봉화거리 · 붉은거리
서성구역
북↔남
버드나무거리 · 와산거리 · 하신거리
선교구역
북↔남
선교강안거리
서↔동
방직거리
평천구역
북↔남
미래과학자거리 · 새마을거리
서↔동
륙교거리 · 북성거리 · 안산거리 · 평천강안거리 · 평천거리
형제산구역
북↔남
전위거리
구역 간 길거리
전체 려명거리 (모란봉구역대성구역) · 서천거리 (서성구역보통강구역) · 신양거리 (보통강구역중구역) · 영웅거리 (서성구역모란봉구역) · 인흥거리 (서성구역모란봉구역) · 천리마거리 (중구역평천구역) · 청년거리 (동대원구역선교구역) · 혁신거리 (서성구역보통강구역)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 ||

파일:북한 국기.svg 평양시신도시·길거리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40001,#222222><tablebgcolor=#e40001,#222222> 파일:북한 국장_White.svg창전거리
倉田거리

Changjŏn Street
}}} ||
파일:창전거리.jpg
▲ 창전거리의 모습
(2015년 6월 1일)
<colbgcolor=#e40001,#222222><colcolor=white> 구간
시점
중구역 만수동
종점
중구역 만수동 / 경상동
조성
착공
2011년 5월 22일
준공
2012년 6월 21일
규모 세대수 2,784세대
주소

창전거리
(평양시 중구역)
1. 개요2. 역사3. 특징

[clearfix]

1. 개요

북한 평양시신도시길거리. 평양시 중구역에 걸쳐 있다.

2. 역사

파일:영생탑.png
<rowcolor=white> 창전거리와 영생탑

2011년 5월 22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평양 거리 한심하다'라는 불호령에 창전거리 공사 착공에 들어갔다. 기사#1(뉴데일리) 그 때문에 평양시의 군인들과 대학생들이 총동원되어 공사가 진행됐다. 기사#2(뉴데일리)

그 사이에 김정일은 사망하고, 2012년 5월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완공을 앞둔 창전거리를 시찰했다. 기사#1(연합뉴스)

딱 1년하고 1개월이 지난 2012년 6월 21일에 창전거리는 완공됐다. 기사#2(연합뉴스)

3. 특징

북한판 평양 중구역 뉴타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김정은 시기 평양 최초의 신시가지이다. 김정일 시기에 건설이 시작되어서 건물 외형이 김정은 시기 지어진 평양 신시가지와는 많이 다르며, 오히려 1989년 완공된 광복거리에 있는 아파트와 상당히 흡사하다.

평양 중심지에 아파트단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만수대 근처에 있는 평양의 고급 아파트 만수대아파트가 창전거리에 위치한다. 총 14동의 아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높은 건물은 45층짜리이고, 40층, 36층, 26층, 20층 아파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주상복합 형태로 상점, 백화점, 식당[1], 매대, 목욕탕, 이발소 등도 설치해뒀으며, 세대는 방 3개, 4개, 5개 이렇게 총 3종류로 구성되어 있다고 한다.

아파트 외벽에는 다양한 색상의 LED를 붙여놨는데, 밝힐 때마다 색상을 다르게 조정하면서 밝히고 있다.[2] 북한에서도 특히 심혈을 기울이는 시설인지 평양이 전력난으로 어두울 때에도 창전거리만큼은 유독 눈에 띌 정도로 환하다.[3] 건물 내부 조명이 완전히 나가도 외벽 조명만큼은 나가지 않는데, 자정에 정전된 평양의 모습을 담은 영상에서도 창전거리만큼은 우상화 선전물, 가로등과 함께 평양의 어둠을 희미하게 밝히고 있을 정도로 북한에서 전력 공급에 매우 신경을 써주는 건물이기도 하다.[4] 창전거리의 화려한 야경은 어떻게 보면 김정은 시기 평양의 변화와 그로 인한 '평양 공화국' 고착화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셈이다.

내부 모습은 이렇다. 거실 1 거실 2 부엌 1 부엌 2(2:33~2:44)[5] 영상의 9:49~10:02 부분 야간의 화려한 외양과 비교하면 검박하다 싶을 정도로 단촐한데, 북한은 이런 집을 가지고 창전거리를 방문한 외국인들이 "당신들(이 집에 사는 사람들)의 친척 중에 권력자나 특권층이 있지 않는가"라 거듭 물어볼 정도로 놀라워하던 수준으로 호화롭다고 과대포장하고 있다.

로동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속도전의 일환으로 87일 만에 45층 골조공사를 끝냈다고 하며,[6] 영상의 11:17 부분에서 나온 창전거리의 건설 모습 영상을 잘 보면 왼쪽에 있는 골조 2개가 대놓고 휘어져 있는 등[7] 여러 면에서 부실공사 정황이 포착되는데,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2014년 5월[8] 건물이 10cm 가량 내려앉고 외벽에 수많은 금이 갔다는 풍문이 있다. # 다만 이 보도 이후로 창전거리 아파트의 상태에 대한 추가 보도는 보이지 않는 상태이며,[9] 보도의 출처가 북한 관련 소식통을 방패삼아 장성택 고사포 처형설, 현송월 총살설을 위시한 수많은 오보들을 양산했던 조선일보라는 것 또한 유념해야 하나, 이를 감안해도 겉보기와는 달리 안전 상태가 뭔가 불안한 것은 여전하다.

주성하의 말에 따르면 전기 사정이 열악한 겨울에도 오전 5시~7시[10], 오후 6시~11시[11] 사이에는 주택에 전력이 들어오며[12] 수돗물도 하루 두세 번은 나오지만 난방은 제대로 되지 않아 영하의 날씨 속에서 얼어죽는 거주자도 나올 정도라고 한다. 사실 아파트에서 사는 평양 주민들도 자력갱생으로 따로 '무동력 난방장치'[13]를 설치하며 난방을 해결하고 있지만 창전거리는 하필이면 당에서 하사한 집이라며 개조를 허용하지 않기에 이조차 불가능하다고 한다. #

평양 중심부에 위치한 거리인 데다가 상술한 바와 같이 부실공사 의혹도 있는지라 재개발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수십 층짜리 순수 주거용 건물을 여러 채 지어놓았기 때문에, 재개발시 경제성 확보가 관건일 것으로 보인다.


[1] 최재영 목사의 방문기 김건희 명품백 수수 의혹에 연루된 그 사람이 맞다.[2] 북한에서는 평양 건물의 야간 조명을 위해 '선경조명연구소'라는 개별 연구소까지 만들었다. 그것도 김정일 시기부터.[3] 우상화 선전물(주체사상탑, 김일성김정일동상, 평양 개선문 등)을 제외하면 평양에서도 창전거리만큼 항상 불을 환하게 밝히는 건축물은 충성계층들에게 김정은이 하사한 거주지인 경루동밖에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4] 그러나 새벽이 되면 창전거리는 커녕 가로등조차 평양의 전력난을 이기지 못하고 전력이 나가버려 평양의 새벽은 우상화 선전물들이 외로이 지키는 중이라고 한다. #[5] 보이다시피 부엌에 가스관이 없어서 가스레인지를 쓰지 못하는 환경인데, 북한 주민들은 이런 환경을 가스버너로 떼우는 중이라고 한다.[6] 쉽게 말해 이틀에 1층씩 지은 셈이다. 그나마 70층 건물의 골조를 74일 만에 쌓았다는 려명거리신도시보다는 찬찬히 지은 셈이다.[7] 비슷하게 려명거리신도시도 기록 영화에서 휘어진 골조가 대놓고 보인다.[8] 평양 아파트 붕괴 사고 무렵이다.[9] 창전거리보다 더 높이, 더 빨리 지은 미래과학자거리와 려명거리신도시도 2023년 현재까지도 건물이 내려앉았다는 소식은 들려오지 않고 있다. 그래도 남한 사람 입장에서는 불안할 수밖에 없다는 것은 변하지 않지만.[10] 출근 시간대이다.[11] 퇴근하고 집에서 쉬는 시간대인데다가 야경을 자랑해야 하는(...) 시간대이다.[12] 물론 주택이 정전되도 외부 장식등은 빛을 잃지 않는다고 한다. 상술한 평양의 자정 영상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13] 부엌이나 베란다에 부뚜막을 쌓고 석탄으로 덥힌 물을 배관을 통해 방으로 보내는 방식인데, 설치에 80~100달러 정도, 석탄값도 한 해 40달러나 들어 중산층 이하는 설치할 엄두도 못 낸다고 한다. 그리고 연탄가스 중독으로 인한 사망자도 적잖지 않아 '무동력 난방장치'를 기피하는 사람들도 많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