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남지고등학교 | 영산고등학교 | 창녕고등학교 | 창녕대성고등학교 | ||
◈ 창녕슈퍼텍고등학교 | 창녕여자고등학교 | 창녕옥야고등학교 | ◈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0275d8><colcolor=#fff> 창녕고등학교 昌寧高等學校 Changnyeong High School | |
| |
교훈 | 지(智) · 용(勇) · 인(仁)[1] |
설립자 | 이이두 |
개교 | 1983년 3월 2일 |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성별 | 남자고등학교 |
형태 | 사립 |
학교법인 | 벽진이문교육재단 |
이사장 | 이명중 |
교장 | 이성원 |
교화 | 산수유 |
교목 | 소나무 |
교조 | 독수리 |
학생 수 | 140명[기준] |
교직원 수 | 17명[기준] |
관할청 | 경상남도창녕교육지원청 |
주소 | 경상남도 창녕군 대지면 우포2로 1180-20 (효정리 37)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
창녕고등학교 홍보동영상 |
2. 학교 연혁
- 2023년 12월 29일: 제39회 졸업 36명(누계3108명)
- 2023년 3월 22일: 학교법인 벽진이문교육재단 이명중 이사장 취임
- 2021년 9월 1일: 제14대 이성원 교장 취임
- 2020년 11월 23일: 법인명 변경(지산교육재단 ▶ 벽진이문교육재단)
- 2014년 5월 30일: 교기(축구) 지정
- 2011년 12월 12일: 학력향상 전국 100대 학교 선정(경남 1위)
- 2010년 10월 15일: 대입 상담 프로그램 공유 협력학교 지정
- 2010년 5월 14일: 인조잔디구장 준공
- 2010년 2월 18일: 2009학년도 학력향상 우수고 선정
- 2009년 12월 29일: 자율학교 재지정(2010.3.1 - 2013.2.28)
- 2009년 8월 4일: 경상남도교육청 교과교실제(C형) 지정
- 2008년 5월 15일: 신관 기숙사(志山學舍)준공
- 2007년 5월 18일: 교육부지정 "농산어촌 우수고" 선정
- 2006년 3월 2일: 자율학교 지정
- 2004년 1월 9일: 도서관 준공
- 2003년 3월 24일: 신관 교실 준공(8실)
- 1986년 2월 3일: 제1회 졸업장 수여식(졸업생 220명)
- 1983년 3월 2일: 개교 및 입학식, 초대 이길호 교장 취임
- 1982년 10월 23일: 창녕고등학교 설립 인가
- 1965년 8월 11일: 학교법인 삼일학숙 설립 인가 初代 志山 李二斗 이사장 취임
3. 학교 상징
3.1. 교표
3.2. 교훈
지(智) · 용(勇) · 인(仁)
3.3. 교화
산수유
봄을 알리는 전령은 나뭇가지에 파릇파릇하게 돋아나는 새잎과 꽃망울에서 바로 달려온다. 음력설을 지나고 버들가지에 물이 올라 파르스름하게 변하여 갈즈음, 양지 바른 정원의 산수유는 벌써 샛노란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다. 실제로 이른봄에 가장 먼저 피는 꽃은 개나리도 진달래도 아닌 산수유다. 물론 산수유보다 먼저 꽃피는 매화도 있으나 채 2월에 들어가기 전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므로 오히려 겨울 꽃에 가깝다. 잎이 나오기 전에 손톱크기 남짓한 작은 꽃들이 20-30개씩 모여 조그만 우산모양을 만들면서 나뭇가지가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뒤집어쓴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자랄 수 있으며 수십 그루 또는 수백 그루가 한데 어울려 꽃동산을 이루는 모습은 가히 환상적이다.
봄을 알리는 전령은 나뭇가지에 파릇파릇하게 돋아나는 새잎과 꽃망울에서 바로 달려온다. 음력설을 지나고 버들가지에 물이 올라 파르스름하게 변하여 갈즈음, 양지 바른 정원의 산수유는 벌써 샛노란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한다. 실제로 이른봄에 가장 먼저 피는 꽃은 개나리도 진달래도 아닌 산수유다. 물론 산수유보다 먼저 꽃피는 매화도 있으나 채 2월에 들어가기 전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므로 오히려 겨울 꽃에 가깝다. 잎이 나오기 전에 손톱크기 남짓한 작은 꽃들이 20-30개씩 모여 조그만 우산모양을 만들면서 나뭇가지가 잘 보이지 않을 정도로 뒤집어쓴다.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자랄 수 있으며 수십 그루 또는 수백 그루가 한데 어울려 꽃동산을 이루는 모습은 가히 환상적이다.
3.4. 교목
소나무
나무는 오래 사는 나무이므로 예로부터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長壽)를 나타냈으며, 비바람·눈보라의 역경 속에서 푸른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꿋꿋한 절개와 의지를 나 타내는 상징으로 쓰여 왔다. 꿈에 소나무를 보면 벼슬을 할 징조이고, 솔이 무성함을 보면 집안이 번창하며, 송죽 그림을 그리면 만사가 형통한다고 해몽한다. 반대로 꿈에 소나무가 마르면 병이 난다고 하였다. 옛날 식자층에서는 소나무를 절개의 표상으로 삼았다. 이이(李珥)는 세한삼우(歲寒三友)라 하여 송·죽·매를 꼽았고, 윤선도(尹善道)는 그의 시조 오우가(五友歌)에서 벗으로 쳤다. 성삼문(成三問)이 죽음을 당할 때 지은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라고 한 시는 충절의 노래이다.
나무는 오래 사는 나무이므로 예로부터 십장생의 하나로 장수(長壽)를 나타냈으며, 비바람·눈보라의 역경 속에서 푸른 모습을 간직하고 있어 꿋꿋한 절개와 의지를 나 타내는 상징으로 쓰여 왔다. 꿈에 소나무를 보면 벼슬을 할 징조이고, 솔이 무성함을 보면 집안이 번창하며, 송죽 그림을 그리면 만사가 형통한다고 해몽한다. 반대로 꿈에 소나무가 마르면 병이 난다고 하였다. 옛날 식자층에서는 소나무를 절개의 표상으로 삼았다. 이이(李珥)는 세한삼우(歲寒三友)라 하여 송·죽·매를 꼽았고, 윤선도(尹善道)는 그의 시조 오우가(五友歌)에서 벗으로 쳤다. 성삼문(成三問)이 죽음을 당할 때 지은 '독야청청(獨也靑靑)하리라'라고 한 시는 충절의 노래이다.
3.5. 교조
독수리
날개길이 70∼90㎝, 꼬리길이 35∼40㎝. 대형(大形)의 맹조(猛鳥)로서 날 때에는 폭넓은 긴 양쪽 날개를 일직선으로 뻗은 그대로 날개를 펄럭이지 않고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유유히 날아오르는 모습이 정의와 균형, 그리고 용맹을 상징하여 창녕 남아의 기상과도 같은 의미에서 새(校鳥)로 정하였다.
날개길이 70∼90㎝, 꼬리길이 35∼40㎝. 대형(大形)의 맹조(猛鳥)로서 날 때에는 폭넓은 긴 양쪽 날개를 일직선으로 뻗은 그대로 날개를 펄럭이지 않고 상승 기류를 이용하여 유유히 날아오르는 모습이 정의와 균형, 그리고 용맹을 상징하여 창녕 남아의 기상과도 같은 의미에서 새(校鳥)로 정하였다.
3.6. 교가
3.7. 교육 목표
지(智) · 용(勇) · 인(仁) 남아(男兒) 다이아몬드 칼라인재 육성
4. 학교 특징
4.1. 학교 시설
학교 부지가 다른 일반계 고등학교에 비해 조금 넓은 편이다.
- 본관동 - 교무실과 1, 2, 3학년 교실이 있다. 온라인 수업이나 체육, 다른 행사가 아니라면 대부분 이곳에서 수업을 진행한다.
- 행정동 - 행정실과 교장실이 있다.
- 1동 - Wee클래스와 헬스장이 있다.
- 2동 - 수학교습실이 있다. 음악수업 또한 이곳에서 진행한다.
- 도서관 - 제일 최근에 준공한 건물로 1층은 도서관, 2층은 꿈틀 작업실로 구성되어 있다.
- 급식실
- 분리수거장
- 강당
- 제1기숙사 - 1학년들은 전원 기숙사에 입소 해야하며(특수한 경우를 제외), 2, 3학년부터는 기숙사와 통학 중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 제2기숙사 - 현재는 사용하지 않는다.
- 운동장 - 인조잔디 구장이다.
4.2. 복장
- 동복 - 하늘색 와이셔츠에 파란 넥타이, 남색 마이와 회색 조끼를 착용하며, 회색 긴바지를 착용한다.
- 하복 - 흰 반팔 와이셔츠에 파스텔톤의 파란 긴바지를 착용한다.
- 생활복 - 체육복 대신에 입기도 한다.
- 학교 점퍼
- 교칙상 반바지 착용이 불가능하다.
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 체육 대회: 매년 5월 경 열린다.
- 독수리축제: 학교 축제로 매년 5월 경 열린다.
- 학생회 선거: 매년 7월 경 열리며, 그 해 2학기부터 다음해 1학기까지 학생회가 유지된다.
5.2. 시간표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00 | 등교 | ||||
~ 08:20 | 청소 시간 | ||||
~ 08:40 | 수업 준비시간 | ||||
~ 09:30 | 1교시 | ||||
~ 09:40 | 쉬는 시간 | ||||
~ 10:30 | 2교시 | ||||
~ 10:40 | 쉬는 시간 | ||||
~ 11:30 | 3교시 | ||||
~ 11:40 | 쉬는 시간 | ||||
~ 13:30 | 점심 시간 | ||||
~ 14:20 | 5교시 | ||||
~ 14:30 | 쉬는 시간 | ||||
~ 15:20 | 6교시 | ||||
~ 15:30 | 쉬는 시간 | ||||
~ 16:20 | 7교시 | ||||
~ 16:30 | 쉬는 시간 | ||||
~ 17:20 | 8교시 | ||||
~ 18:20 | 석식 시간 | ||||
~ 23:00 | 야간 자율 학습 |
6. 운동부
축구가 교기인 만큼 축구부가 있으며, 전체 학생 수의 1/3 정도를 차지한다. 이외에도 복싱, 골프 선수들 등이 있다. 전반적으로 경기실적이 괜찮은 편이다.7.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 구현우 - 당진시민축구단 소속 축구선수
- 권태욱 - 평택 시티즌 FC 소속 축구선수
- 김동윤 - 축구선수
- 김정훈 - 前 축구선수
- 김현호 - 김해대학교 축구부 소속 축구선수
- 유수진 - 창원 FC 소속 축구선수
- 이상하 - FC 충주 소속 축구선수
- 이상화 - 축구선수
- 이준 - 전남 드래곤즈 소속 축구선수
- 이태응 - 경남 FC 소속 축구선수
- 임지훈 - AC 나가노 파르세이루 소속 축구선수[4]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영신버스 하차 | 농어촌 버스 |
9. 기타
10. 둘러보기
틀:경상남도 창녕군의 고등학교창녕여자고등학교
남지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영산고등학교(경남)
창녕옥야고등학교
창녕대성고등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