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 지아비 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大,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フ, (フウ), ブ | ||||||
일본어 훈독 | おっと, おとこ, そ-れ | ||||||
- | |||||||
표준 중국어 | fū, fú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남편 또는 성씨 부(夫). 남편, 지아비, 선생 등의 뜻으로 주로 쓰이나 성씨에도 쓰이는 한자. 또한 주로 육체적 노동을 하는 일의 직업 접미사로 활용된다. 대표적으로 농부, 어부 등이 있다.2. 상세
혹은 하늘천자 위에 긴획이 추가된 모습으로써 "가장은 하늘보다 높다"는 의미로 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이 글자는 '사내'나 '남편'의 의미를 가지나, 한문에서는 대사(代詞)로서 '3인칭', '지시대명사'의 의미를 가지기도 하고, 또한 발어사로서 '무릇'의 의미를 가지기도 한다. 또한 문장 끝에 붙어 어기조사로서도 쓰이는 데 현재 만다린의 吧와 용법이 비슷하다.
이 글자는 중국에서는 다음자(多音字)로, '남편', '사내', '성인 남자'의 뜻일 때는 전청음(/p/)으로(표준중국어에서는 fū), 지시대명사, 발어사, 어기조사로 쓰일 때는 전탁음(/b/)으로 읽는다(표준 중국어에서는 fú).
일본에서는 남성 인명으로 사용된다. 미시마 유키오(三島由紀夫), 미나미 하루오(三波春夫) 등 남성 인명에서 '~오'는 이 한자가 사용된다.
3. 용례
3.1. 단어
- 가독부(可毒夫)
- 고모부(姑母夫)
- 공부(工夫)
- 광부(鑛夫)
- 농부(農夫)
- 대부(大夫)
- 마부(馬夫)
- 망부석(望夫石)
- 명림답부(明臨答夫)
- 매부(妹夫)
- 배달부(配達夫)
- 범부(凡夫)
- 부군(夫君)
- 부부(夫婦)
- 부인(夫人)
- 사대부(士大夫)
- 어부(漁夫)
- 우체부(郵遞夫)
- 유부녀(有夫女)
- 이모부(姨母夫)
- 인부(人夫)
- 일부다처제(一夫多妻制)
- 일부일처제(一夫一妻制)
- 일처다부제(一妻多夫制)
- 잠수부(潛水夫)
- 장부(丈夫)
- 청소부(淸掃夫)
- 형부(兄夫)
3.2. 고사성어/숙어
- 夫婦有別 부부유별
- 夫婦有別長幼有序 부부유별장유유서
- 夫婦之間 부부지간
- 夫婦之道二姓之合 부부지도이성지합
- 夫婦之約 부부지약
- 夫婦之情 부부지정
- 夫爲婦綱 부위부강
- 夫爲婦綱是謂三綱 부위부강시위삼강
- 부창부수(夫唱婦隨)
- 夫和婦順 부화부순
- 夫和婦順家和之本 부화부순가화지본
- 어부지리(漁夫之利)
3.3. 인명
- 규타로(妓夫太郎)
- 김거칠부(金居柒夫)
- 명림답부(明臨答夫)
- 소레마츠 켄스케(夫松 健介)
- 위다푸(郁达夫): 중국 청말 민국초의 문학 작가이자 혁명운동가
- 즙간부(辻幹夫)
- 진노 미키오(刃野 幹夫)
- 츠마부키 사토시(妻夫木 聡)
- 카타코리 스기오(形氷 杉夫)
- 흥부(興夫)
- 제주 부씨
3.4. 지명
3.5. 창작물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며느리' 이외에 '부인(婦人)'을 뜻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