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5 12:42:59

주앙 펠릭스


파일:알 나스르 FC 엠블럼.svg
알 나스르 FC 2025-26 시즌 스쿼드
1 알 아키디 · 2 S. 알 간남
VC
· 3 시마칸ㆍ4 알 파틸 · 7 호날두
C
· 8 알 술라이힘
10 마네ㆍ11 브로조비치 · 12 부샬 · 14 알 나지 · 16 마란 · 17 알 하이바리 · 19 알 하산
20 앙젤루ㆍ21 코망 · 23 아이만24 벤투 · 26 I. 마르티네스 · 29 가리브
36 알 나자르 · 50 카시시 · 79 주앙 펠릭스 · 80 웨슬리 · 83 알 나지디
파일:UEFA POR.png 조르제 제수스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주앙 펠릭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GoldenBoy.pn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UEFA 유로파 리그 심볼.svg
파일:LIGA.PORTUGAL.bwin.png
파일:라리가 심볼(2016~2023).svg

2019 Kopa Trophy
수상
마테이스 더리흐트
2위
제이든 산초
3위
주앙 펠릭스
}}} ||
파일:juaofelix.png
<colbgcolor=#fedc00><colcolor=#081c4e> 알 나스르 FC No. 79
주앙 펠릭스
João Félix
본명 주앙 펠릭스 세케이라[1]
João Félix Sequeira
출생 1999년 11월 10일 ([age(1999-11-10)]세)
포르투갈 비제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1cm / 체중 70kg
포지션 세컨드 스트라이커, 윙어
주발 오른발
등번호 포르투갈 대표팀 11
알 나스르 FC 79
소속 <colbgcolor=#FEDC00><colcolor=#081C4E> 유스 EF 우스 페스티냐스 (2007~2008)
FC 포르투 (2008~2014)
파드루엔스 FC (2014~2015)
SL 벤피카 (2015~2018)
선수 SL 벤피카 B (2016~2018)
SL 벤피카 (2018~2019)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2019~2024)
첼시 FC (2023 / 임대)
FC 바르셀로나 (2023~2024 / 임대)
첼시 FC (2024~2025)
AC 밀란 (2025 / 임대)
알 나스르 FC (2025~ )
국가대표 48경기 11골[2] (포르투갈 / 2019~ )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373a3c,#ddd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dc00><colcolor=#081c4e> 역대 등번호 포르투갈 대표팀 - 10번, 11번, 23번
SL 벤피카 - 79번
첼시 FC - 11번, 14번
FC 바르셀로나 - 14번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7번, 21번
AC 밀란 - 79번
알 나스르 FC - 79번
가족 동생 우구 펠릭스
에이전트 조르제 멘데스
후원사 미즈노 (알파 2)
}}}}}}}}}}}} ||

1. 개요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2.2. 국가대표 경력
3. 플레이 스타일
3.1. 장점3.2. 단점3.3. 종합
4. 기록
4.1. 대회 기록4.2. 개인 수상
5. 주앙 펠릭스에 대한 언사6. 여담7. 둘러보기

1. 개요

포르투갈 국적의 알 나스르 FC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세컨드 스트라이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앙 펠릭스/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앙 펠릭스/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앙 펠릭스/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2018-19 UEFA 네이션스 리그 준결승 스위스전에서 선발출전하며 데뷔했으나 별다른 활약 없이 교체되었다.

2020년 9월 5일 UEFA 네이션스 리그 크로아티아 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후반 71분 국가대표 데뷔골을 기록했다.

유로 2020에 소집되었으나 포르투갈 공격진이 여간 짱짱한게 아닌데다 중간에 부상까지 당하면서 벤치를 열심히 달구고 있다.

UEFA 유로 2020 16강전 벨기에와의 경기에서 0:1로 끌려가던 55분 주앙 무티뉴와 교체되어 출전하면서 첫 메이저 대회 무대를 밟게 되었다. 한 차례의 위협적인 헤더 슈팅과 수차례의 파울 유도를 해냈지만 결국 승부를 뒤집지 못하면서 그대로 첫 메이저 대회를 마감했다.

2.2.1. 2022 FIFA 월드컵

2.2.1.1. 유럽 예선
유로 이후 부상으로 대표팀에 차출되지 않다가[4] 2021년 11월에 치러지는 아일랜드, 세르비아와의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 지역예선 2연전을 앞두고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유럽 예선 A조 9라운드 아일랜드전에서 75분 교체 출전하면서 오랜만에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그라운드를 누볐다.
2.2.1.2. 본선
2022 카타르 월드컵을 앞두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좋은 활약을 보이자[5] 최종 엔트리에 당당히 이름을 올렸고 등번호는 11번을 배정 받았다.[6]

월드컵 직전 치러진 나이지리아와의 친선전에 선발 출전하였으며 공격 포인트는 기록하지 못했지만 정확한 패스로 몇 차례 찬스를 만들어내고 기점이 되는 등의 준수한 활약을 펼쳤다.

조별리그 H조 1차전 가나전에서 베르나르두 실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와 함께 4-3-3의 최전방 쓰리톱으로 선발 출전하면서 월드컵 데뷔 무대를 밟았으며 1:1로 맞서던 78분, 브루노 페르난데스의 키패스를 우측 페널티 에어리어 부근에서 받은 뒤 페널티 박스 안에서 골키퍼의 옆으로 빠지는 감각적인 칩슛으로 마무리하며 다시 포르투갈에게 리드를 안기는 골을 넣었다. 결국 경기는 포르투갈의 3:2 승리로 종료되었고 펠릭스는 월드컵 데뷔전 데뷔골에 승리까지 거머쥐는 기쁨을 누렸다.

16강 스위스전에서도 선발 출전해 곤살루 하무스의 선제골과 해트트릭을 어시스트하며 2도움을 기록해 맹활약을 펼쳤다. 이 외에도 번뜩이는 플레이를 수차례 보여주며 자신의 재능을 뽐냈다.

8강 모로코전에서 포르투갈 대표팀의 암담한 공격력 속에서 홀로 빛났으나 예리한 슈팅이 야신 부누에게 번번이 막히며 패배를 막지 못하였다. 다만 이번 월드컵에서의 활약으로 포르투갈 대표팀 내에서 입지를 굳히며 향후 포르투갈의 에이스로 부상할 것으로 평가된다.

2.2.2. UEFA 유로 2024

2.2.2.1. 예선
예선 2차전 룩셈부르크 원정에서 선발 출전하여 1골을 기록하며 6-0 승리에 기여했다.
2.2.2.2. 본선
조별리그 1, 2차전은 단 1초의 출전도 없이 벤치만 지키다가 포르투갈이 조 1위를 확정지은 3차전 조지아전 선발로 나섰다.

8강 프랑스전에서 승부차기 3번째 키커로 나와 골포스트를 맞춰 실축하며 탈락에 일조했다. 탈락 이후 인스타그램에서 펠릭스와 관련된 릴스 영상의 댓글들을 보면 펠릭스에 대한 비방 및 욕설이 난무할 정도로 민심이 매우 험악하다.

2.2.3. 2026 FIFA 월드컵

2.2.3.1. 유럽 예선
1차전 아르메니아 원정에서 선발 출전하여 멀티골을 터뜨리며 팀의 5-0 승리를 이끌었다.

3. 플레이 스타일

3.1. 장점

주로 최전방 공격수 뒤에 위치한 세컨드 스트라이커나 공격형 미드필더로 출전하며, 2선에서 동선을 제한하지 않고 프리롤처럼 자유롭게 풀어놔야 가장 뛰어난 활약을 선보인다. 좌우에 크게 구애받지 않고 뛰어난 온 더 볼 플레이를 보여주기 때문에 동선 제한 없이 볼을 많이 쥐어주고 공격 작업을 진두지휘하게 할 때 가장 큰 아웃풋이 나온다.

펠릭스는 특유의 온 더 볼 능력에서 파생되는 플레이를 통해 상대 수비수들에게 곤욕을 선사한다. 공을 오래 소유하는 테크니션은 아니지만, 부드러운 퍼스트 터치와 날렵한 몸놀림을 바탕으로 상대를 간결하게 돌파해내거나 벗겨낸다. 상대를 간결하게 돌파해낸 후 킥을 통해 공격 기회를 창출하거나 직접 마무리 짓는다.

펠릭스는 수위급의 테크니션과 킥 스페셜리스트는 아니다. 그럼에도 그의 창의성과 화력이 돋보이는 이유는 바로 비범한 축구 센스 덕분이다. 공격 상황에서의 판단과 센스가 좋다 보니 개인기 활용이 상당히 빠르고 간결하고, 슈팅 시에는 강력한 파워 슈팅보다는 칩 슛이나 발리 슛 같은 정교한 슈팅 스킬로 공격을 마무리짓는다. 원 터치 패스나 힐 패스를 통한 감각적인 연계로 공격 템포를 그대로 살리는 플레이도 가능하다.

3.2. 단점

여기까지만 보면 클래스가 높은 만능 공격 자원으로 성장해야 하지만, 펠릭스의 발목을 잡는 여러 족쇄 때문에 포텐을 터뜨리지 못하고 있다.

첫 번째는 전반적인 신체 능력의 부족이다. 펠릭스는 민첩한 편이긴 하나 주력이 평범한 편이라 속도로 상대 수비를 따돌리기 어려운데, 힘도 좋지 않고 지구력도 약하다. 느려터졌다 소리가 나올 정도의 속도는 아니지만 빠르지도 않기 때문에 발재간으로 공간을 만들어도 직접 공간을 찢고 들어갈만한 폭발력이 없어서 윙어 자리에 두기 힘들다. 또한 힘이 매우 약해 경합 상황에서 쉽게 볼을 넘겨주며, 이 때문에 중앙 미드필더나 최전방 공격수로 활용하기도 어렵다. 지구력의 경우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시절 지속적으로 지적 받았으며, 항상 전반전에 비해 후반전에 눈에 띄게 플레이의 에너지가 감소한다.

두 번째는 오프 더 볼 상황에서의 영향력이 떨어진다. 특히 수비 가담 상황에서 부진한 모습을 보이는데, 지구력이 부족하고 몸싸움도 약해서 수비에 가담하더라도 별 효과가 없고, 심지어 수비 상황에서 오프 더 볼도 심각해 전방 압박에 도움이 안된다. 전방 자원들에게 높은 수비 가담을 요하는 시메오네 축구와는 극단적으로 맞지 않으며, 전방위적인 압박이 기본이 된 현대 축구의 트렌드에도 반하는 성향이다. 이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초기에도 지적받았으며, 디에고 시메오네의 지속적인 코칭을 받았으나 결국 발전하지 못했다. 특히 아틀레티코에서 전임자 그리즈만이 공격수 중에서도 빡센 수비가담으로 명성이 높았음을 감안하면 매우 아쉬운 단점이다.

마지막으로, 경기를 보는 시야가 좁다. 자신의 온 더 볼 플레이에만 집중하다 보니 볼 호그 성향이 있으며, 고개를 들어 시야를 바탕으로 전방의 상황을 확인하는 헤드 업 플레이 시도도 적은 편이다. 때문에 주변의 선수들과의 간결하고 아기자기한 연계 플레이를 제외하고는 킥을 통한 반대 전환이나 게임을 유리하게 풀어나갈 수 있는 루트를 창출하는 데에 전혀 일가견이 없다. 시야가 좁기에 공격 상황에서의 판단의 폭도 좁고, 이러한 점이 부족한 오프 더 볼 움직임과 맞물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이적 후에는 스탯 생산성이 떨어지는 모습을 보인다. 첼시와 바르셀로나를 거치면서도 지적받는 골 결정력 문제도 펠릭스가 스페인을 비롯한 빅리그로 넘어오면서부터 지속적으로 지적받는 단점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에 비해 득점력은 상당히 저조하다.

사실 펠릭스가 이렇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마인드셋의 부족이다. 현지 여론이나 관계자, 기자들에게서 나오는 말이 "감독들이 탐낼만한 재능을 가졌지만 말을 도무지 듣지를 않는다."라는 것이다. 일각에서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이적이 악수였다는 평도 있으나[7], 정작 펠릭스의 커리어를 되돌아보면 빅리그 이적 이후 그를 가장 잘 써먹은 감독이 시메오네고 차기 월클의 싹수가 보인다 평가받던 시기도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였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타 팀에 비해 빡센 수비 가담과 전방 압박을 요구한다지만 사실 21세기의 빅클럽 중 저걸 요구하지 않는 클럽이 더 드물며, 여기서 제외되는 음바페나 홀란같은 경우는 그 스피드로 최전방에서 역습 한 방에 라인을 부수고 득점을 올릴 파괴력이 있다. 허나 펠릭스는 이런 유형이 아니기에 그러지 못하는 것이고, 그렇다면 이를 수비 가담이나 압박으로 만회해야 하는데 이런 쪽에서 펠릭스는 활동량이나 의지가 너무 떨어진다.

3.3. 종합

과거 클래식한 10번 플레이메이커들처럼 자기 하고 싶은대로 하는 유형이지만 그만큼 리턴을 뽑아낼 확실한 툴[8]이나 생산성도 없어 실속이 떨어지고, 결과적으로는 자기가 자기 축구 센스를 죽이고 있다.

어린 나이부터 호날두의 후계자라는 둥 너무 과한 관심을 받았던 게 독이 됐는지 이제 전성기 나이에 접어들었음에도 마인드셋이나 플레이나 유망주 시절에 비해 오히려 퇴보했다는 혹평을 받는 중이다. 그나마 아주 가끔 번뜩이는 재능으로 연명하지만 빅클럽은 고사하고 중위권 팀의 메인 크랙으로 쓰기에도 신체 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아쉬운 폼을 보여준다. 분명 탐나는 재능이고 조금만 손보면 갱생시킬 수 있을 것 같은데, 실상은 여기에 성공한 감독이 한 명도 없는 독이 든 성배같은 선수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4.2. 개인 수상

5. 주앙 펠릭스에 대한 언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주앙 펠릭스/관련 언사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앙 펠릭스/관련 언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앙 펠릭스/관련 언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 팬서비스가 좋다고 한다.
  • 인터뷰에 의하면 인스타 메시지로 야한 사진, 대시 등이 많이 온다고 한다. 그러나 주앙 펠릭스는 모두 다 거절한다고 밝혔다.

파일:주앙 펠릭스 스피드1.jpg
  • 스쿼카가 2019년 9월에 발표한 19-20 라리가 스프린트 순위 TOP 10에 들었다.

파일:주앙 펠릭스가 뽑은 베스트일레븐.jpg
  • 본인의 베스트 일레븐을 선정했다.
  •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이적 당시 79번을 원했는데 25번까지만 가능한 라리가 규정 상 79번을 달지 못했다. 그 다음으로 원했던 등번호는 10번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10번에는 이미 주인이 있어서 결국 7번을 달게 되었다.[9]

파일:카카와 펠릭스(2).jpg
  • 카카, 세르히오 아구에로와 닮았다는 얘기가 많다. 특히 카카와 많이 닮았는데 서로 친분이 있다. 같은 포르투갈어를 쓴다는 것도 묘한 공통점이다. 포지션이나 플레이 스타일도 비슷한 편. 이후 펠릭스가 AC 밀란으로 임대되며 활동한 클럽에도 접점이 생겼다. 아구에로와도 아틀레티코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는 점이 겹친다.
파일:펠펠이세레머니.jpg
* 게임을 좋아한다. 주로 콜 오브 듀티같은 FPS 게임이나 피파 시리즈[10]를 즐겨한다. 이에 영향을 받았는지 최근에 득점을 하면 셀레브레이션으로 총을 쏘는 모션을 취한다.
  • 전 바르셀로나 팀 동료이면서 같은 국대인 주앙 칸셀루와 형제 사이라고 잘못 알고 있는 팬들이 많은데, 이에 본인들이 직접 형제 관계가 아니라고 해명을 하기도 하였다.[11]
  • 5살 터울인 동생 우구 펠릭스도 축구 선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자신의 옛 소속팀인 SL 벤피카 2군에서 뛰고 있다.
  • 원래 차세대 호날두라고 해서 호날두의 젊은 시절과 비교되었으며 포르투갈에서 호날두 이후 최고의 잠재력이라 평가받았지만[12] 본인의 단점을 극복하지 못해 전성기의 나이에 돌입했음에도 오히려 그 잠재력을 통으로 날려먹었으며, 펠릭스와 정반대로 엄청난 노력으로 단점을 극복하고 최고의 선수가 된 호날두와 비교하는 것 자체가 호날두에게 크나큰 실례가 되었다. 이외에도 같은 국적 동갑내기 윙어 하파엘 레앙과도 비교하는 사람도 있었지만[13] 레앙은 엄밀히 말해 AC 밀란이라는 빅클럽의 에이스이므로 이제는 레앙에게 비교하는 것도 실례라는 게 중론이다.

6.1. WAGs

여자친구의 이름은 마르가리다 코르세이루. 마르가리다는 2002년생의 배우 겸 인플루언서이며, 수려한 외모와 볼륨감 넘치는 몸매로 유수의 매체로부터 현 시점 포르투갈 최고의 미녀라는 찬사를 받고 있다. 펠릭스가 뛰었던 SL 벤피카의 라이벌팀인 스포르팅의 오랜 서포터이다. 시간 날 때마다 경기장을 찾는 열성 팬이라고 한다. 펠릭스는 2019년 4월 포르투갈 언론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축구에 집중하기 위해 연애를 미루려 한다고 밝혀 프로 의식이 바로잡힌 유망주로 칭송받은 바 있다. 그 후 2019년 11월 마르가리다와 공개 연애를 시작했는데, 팬들도 그녀의 대단한 미모에 수긍하는 분위기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자 2020년 3월 말부터 개인 방송을 시작한 펠릭스의 개인 방송에 출연하며 다정하고 흐뭇한 장면들을 보여주고 있다. 2022년 5월, 코르세이루와 페드로 포로 사이의 염문설이 퍼지며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코르세이루와 포로 모두 관계를 부정했고 펠릭스는 가짜 뉴스를 저격하며 "아무도 배신하지 않았다, 헛소리 그만하고 멈추라"고 인스타로 입장을 밝혔다. 2023년 6월, 본인의 인스타그램 스토리를 통해 펠릭스와의 결별 사실을 알렸다. 펠릭스는 2023년 9월 23일 재결합설이 돌자 직접 트위터로 재결합 루머를 부정했다.[14] 이후에도 수차례 루머가 돌았으나 2024년 4월 마르가리다와 F1 드라이버 랜도 노리스와의 연애가 공개되며 재결합설은 수그러졌다.

7. 둘러보기

파일:알 나스르 FC 엠블럼.svg
알 나스르 FC 2025-26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알 나스르 FC 1군 스쿼드
<rowcolor=#fedc00>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2 D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술탄 알 간남 Sultan Al-Ghannam 부주장
3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모하메드 시마칸 Mohamed Simakan
4 D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모하마드 알 파틸 Mohammed Al-Fatil
5 D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둘레라 알 암리 Abdulelah Al-Amri 3주장
6 M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무크타르 알리 Mukhtar Ali
7 FW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Cristiano Ronaldo 주장
8 M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둘마지드 알 술라이힘 Abdulmajeed Al-Sulaiheem
10 MF 파일:세네갈 국기.svg 사디오 마네 Sadio Mané
12 D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나와프 부샬 Nawaf Boushal
14 M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미 알 나지 Sami Al-Najei
16 FW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모하마드 마란 Mohammed Maran
17 M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둘라 알 카이바리 Abdullah Al-Khaibari
19 M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리 알 하산 Ali Al-Hassan
20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앙젤루 가브리에우 Ângelo Gabriel
23 FW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아이만 야히야 Ayman Yahya
24 GK 파일:브라질 국기.svg 벤투 Bento
25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오타비우 Otávio
26 DF 파일:스페인 국기.svg 이니고 마르티네스 Iñigo Martínez
29 FW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둘라흐만 가리브 Abdulrahman Ghareeb
36 GK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라그드 알 나자르 raghed najjar
30 FW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메샤리 알 네메르 Meshari Al-Nemer
44 GK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나와프 알 아키디 Nawaf Al-Aqidi
45 FW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압둘파타흐 아시리 Abdulfattah Asiri
77 MF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마르첼로 브로조비치 Marcelo Brozović
78 DF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리 라자미 Ali Lajami
80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웨슬리 가소바 Wesley Gassova
<colbgcolor=#fedc00,#fedc00> 구단 정보
구단주: 파이살 빈 투르키 빈 나세르 왕자 / 감독: 스테파노 피올리 / 홈구장: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
출처: 공식 웹 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8월 9일
}}}}}}}}} ||

파일: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color: #C6B57C;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rowcolor=#C6B57C>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1 디오구 코스타
Diogo Costa
1999년 9월 19일 ([age(2000-08-13)]세) 39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12 주제 사
José Sá
1993년 1월 17일 ([age(1993-01-17)]세) 3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2 후이 실바
Rui Silva
1994년 2월 7일 ([age(1994-02-07)]세) 1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DF 2 넬송 세메두
Nélson Semedo
1993년 11월 16일 ([age(1993-11-16)]세) 45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3 후벵 디아스
Rúben Dias
1997년 5월 14일 ([age(1997-05-14)]세) 71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4 안토니우 실바
António Silva
2003년 10월 31일 ([age(2003-10-31)]세) 18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5 디오구 달로
Diogo Dalot
1999년 3월 18일 ([age(1999-03-18)]세) 30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3 헤나투 베이가
Renato Veiga
2003년 7월 29일 ([age(2003-07-29)]세) 6 0 파일:스페인 국기.svg 비야레알 CF
14 곤살루 이나시우
Gonçalo Inácio
2001년 8월 25일 ([age(2001-08-25)]세) 18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19 누누 멘데스
Nuno Mendes
2002년 6월 19일 ([age(2002-06-19)]세) 40 1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X 누누 타바레스
Nuno Tavares
2000년 1월 26일 ([age(2000-01-26)]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SS 라치오
X 주앙 칸셀루
João Cancelo
1994년 5월 27일 ([age(1994-05-27)]세) 60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MF 6 주앙 팔리냐
João Palhinha
1995년 7월 9일 ([age(1995-07-09)]세) 36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8 브루노 페르난데스
Bruno Fernandes
1994년 9월 8일 ([age(1994-09-08)]세) 83 2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0 베르나르두 실바
Bernardo Silva
1994년 8월 10일 ([age(1994-08-10)]세) 104 1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11 페드루 곤살베스
Pedro Gonçalves
1998년 6월 28일 ([age(1998-06-28)]세) 4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15 마테우스 누네스
Matheus Nunes
1998년 8월 27일 ([age(1998-08-27)]세) 16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시티 FC
21 후벵 네베스
Rúben Neves
1997년 3월 13일 ([age(1997-03-13)]세) 60 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23 비티냐
Vitinha
2000년 2월 13일 ([age(2000-02-13)]세) 32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X 주앙 네베스
João Neves
2004년 9월 27일 ([age(2004-09-27)]세) 18 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FW 7 크리스티아누 호날두 파일:주장 아이콘.svg
Cristiano Ronaldo
1985년 2월 5일 ([age(1985-02-05)]세) 224 14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9 곤살루 하무스
Gonçalo Ramos
2001년 6월 20일 ([age(2001-06-20)]세) 19 9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16 프란시스쿠 트링캉
Francisco Trincão
1999년 12월 29일 ([age(1999-12-29)]세) 14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스포르팅 CP
17 하파엘 레앙
Rafael Leão
1999년 6월 10일 ([age(1999-06-10)]세) 41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18 페드루 네투
Pedro Neto
2000년 3월 9일 ([age(2000-03-09)]세) 20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첼시 FC
20 프란시스쿠 콘세이상
Francisco Conceição
2002년 12월 14일 ([age(2002-12-14)]세) 11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X 주앙 펠릭스
João Felix
1999년 11월 10일 ([age(1999-11-10)]세) 47 1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나스르 FC
일정 2026 FIFA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10월 12일(일)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2025년 10월 15일(수)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4일
}}}}}}}}} ||

1 후이 파트리시우 · 2 넬송 세메두 · 3 페페 · 4 후벵 디아스 · 5 달로트 · 6 J. 팔리냐 · 7 호날두 · 8 B. 페르난데스 · 9 G. 하무스 · 10 베르나르두
11 주앙 펠릭스 · 12 주제 사 · 13 다닐루 · 14 G. 이나시우 · 15 주앙 N. · 16 마테우스 N. · 17 R. 레앙 · 18 R. 네베스
19 N. 멘데스 · 20 주앙 칸셀루 · 21 디오구 J. · 22 디오구 코스타 · 23 비티냐 · 24 안토니우 S. · 25 네투 · 26 F. 콘세이상
파일:UEFA EURO ESP.png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47751;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ENG.png 앤서니 배리 · 파일:UEFA EURO POR.png 히카르두 카르발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47751;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POR.png 히카르두 · 파일:UEFA EURO ESP.png 이냐키 베르가라

[1] 유럽 포르투갈어에서 Félix는 /ˈfɛ.liʃ/로도 발음할 수 있으며 포르투갈어 표기법을 적용하면 'Félix'는 'x'가 '-ㄱ스'가 아닌 '-스'가 되어 '펠리스'가 되지만 선수 본인이 이름을 '주앙 펠릭스(/ˈʒwɐ̃w̃ ˈfɛ.liks/)'로 발음하기 때문에 '펠릭스'가 더 정확한 표현이다.[2] 2025년 10월 15일 기준.[3] 주앙 펠릭스의 개인 유튜브로 주로 게임 스트리밍이 올라오지만 2020년 영상을 마지막으로 활동이 없었으나 첼시 임대이적 후 브이로그 형식의 영상이 몇 편 올라왔고, 첼시 복귀 후 다시 영상이 올라왔다.[4] 공교롭게도 A매치 기간에는 항상 부상이었다.[5] 알레띠의 상황과는 달리 펠릭스 개인의 폼은 꽤 좋았다.[6] 이전 등번호는 23번.[7] 어린 나이에 지나치게 큰 이적료와 관심을 받고 마인드가 오만해졌다는 지적이면 틀린 말은 아니다.[8] 스피드, 킥, 아주 우수한 테크닉 등.[9] 이후 79번은 2025년 AC 밀란으로 임대가며 달게 된다.[10] 여담으로 주앙 펠릭스는 손흥민, 필 포든, 하베르츠 등과 함께 피파 공식 엠베서더이다. 또한 체감이 우수하여 FUT에서 스페셜 카드가 나왔다하면 고가에 거래되는등 인기 카드 취급을 받고 있다. 그야말로 성덕.[11] 주앙은 성이 아니라 엄밀히 이름이다.[12] 외모 또한 호날두랑 비견될 정도로 매우 잘생겼기에 이 점 역시 그가 차세대 호날두라고 불렸던 이유 중 하나이다.[13] 24-25 시즌 펠릭스가 임대로 AC 밀란으로 이적함에 따라 레앙과 한 팀에서 뛰었었다.[14] 번역하면 "사실이 아니야. 나 싱글(솔로)야"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