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술회전 3기 (2026) 「사멸회유」 呪術廻戦 第3期 「死滅回游」 Jujutsu Kaisen: The Culling Game | |||
| <nopad> | |||
| {{{#ded584,#ded584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10101,#010101><colcolor=#ded584,#ded584> 장르 | 능력자 배틀 | |
| 원작 | 아쿠타미 게게 | ||
| 감독 | 고쇼조노 쇼타 | ||
| 부감독 | 타카다 요스케(高田陽介) | ||
| 시리즈 구성 | 세코 히로시 | ||
| 캐릭터 디자인 | 야지마 요스케(矢島陽介) 니와 히로미(丹羽弘美) | ||
| 주령 디자인 | ○○ | ||
| 메인 애니메이터 | ○○ | ||
| 미술 감독 | 히가시 준이치 | ||
| 색채 설계 | 마츠시마 에이코(松島英子) | ||
| CGI 프로듀서 | 탄나와 유스케 | ||
| 3DCG 디렉터 | 이시카와 다이스케(石川大輔) | ||
| 촬영 감독 | 이토 텟페이 | ||
| 편집 | 야나기 케이스케(柳 圭介) ACE | ||
| 음악 | 테루이 요시마사(照井順政) | ||
| 음향 감독 | 에비나 야스노리(えびなやすのり) | ||
| 음향 제작 | dugout | ||
| 제작 | ○○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 | ||
| 치프 프로듀서 | ○○ | ||
| 프로듀서 | ○○ | ||
| 제작총괄 | 오오츠카 마나부 |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 | ||
| 애니메이션 제작 | MAPPA | ||
| 제작 | 주술회전 제작위원회 | ||
| 방영 기간 | 2026. 01. ~전편 미정후편 | ||
| 방송국 | |||
| 스트리밍 | |||
| 편당 러닝타임 | |||
| 화수 | |||
| 관련 사이트 | |||
1. 개요
나는 이제 모두와 함께 있을 수 없어.
俺はもう皆と 一緒にはいられない―
사멸회유 편 티저 비주얼 캐치프레이즈
일본의 만화 주술회전의 사멸회유 편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시리즈의 TV판 제3기. 감독은 고쇼조노 쇼타, 제작사는 MAPPA. 방영 시기는 2026년 1월.俺はもう皆と 一緒にはいられない―
사멸회유 편 티저 비주얼 캐치프레이즈
2. 공개 정보
- 2024년 12월 21일, 점프 페스타 2025에서 티저 비주얼이 공개되었다.
- 2025년 1월 19일, 주술회전 팬텀 퍼레이드 시부야 사변 에피소드 업데이트 라이브에서 제작 중임이 발표되었다.
- 2025년 7월 6일, 애니메 엑스포 2025에서 녹음이 진행 중인 것을 발표했으며 참여한 이타도리 유지 역의 에노키 준야, 옷코츠 유타 역의 오가타 메구미는 2기의 액션보다 더 뛰어나다는 언급을 했다.
- 2025년 8월 31일, 5주년 기념 특별 방송에서 사멸회유 전편의 2026년 1월 방영, 『극장판 주술회전 「시부야 사변 특별 편집판」×「사멸회유 선행 상영」』의 11월 7일 극장 공개가 결정됐다.
2.1. PV
| 제작 결정 PV | 
| 티저 PV | 
2.2. 키 비주얼
|  | 
| 슈퍼 티저 비주얼 |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등장인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등장인물#|]] 부분을| TV 애니메이션 주술회전 「사멸회유」 등장인물 & 성우진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ㆍ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이타도리 유지 CV 에노키 준야/애덤 매카서 | 후시구로 메구미 CV 우치다 유우마/로비 데이먼드 | |
|  |  | |
| 옷코츠 유타 CV 오가타 메구미/케일리 맥키 | 젠인 마키 CV 코마츠 미카코/알레그라 클라크 | |
|  |  | |
| 쵸소우 CV 나미카와 다이스케/레이 체이스 | 하카리 킨지 CV | |
|  |  | |
| 고죠 사토루 CV 나카무라 유이치/케이지 탕 | 츠쿠모 유키 CV 히다카 노리코/안잘리 쿠나파네니 | |
|  |  | |
| 판다 CV 세키 토모카즈/매튜 데이비드 러드 | 야가 마사미치 CV 쿠로다 타카야/키스 실버스틴 | |
|  |  | |
| 쿠사카베 아츠야 CV 미키 신이치로/커크 손턴 | 호시 키라라 CV | |
|  |  | |
| 이에이리 쇼코 CV 엔도 아야/라이언 바틀리 | 카모 노리토시 CV 히노 사토시/랜던 맥도널드 | |
|  |  | |
| 니시미야 모모 CV 쿠기미야 리에/타라 제인 샌즈 | 미와 카스미 CV 아카사키 치나츠/알레그라 클라크 | |
|  |  | |
| 젠인 마이 CV 이노우에 마리나/로라 포스트 | 이오리 우타히메 CV 히카사 요코/타라 제인 샌즈 | |
|  |  | |
| 가쿠간지 요시노부 CV 무기히토/카일 에이베어 | 텐겐 CV | |
|  |  | |
| 쿠루스 하나 CV | 히구루마 히로미 CV | |
|  |  | |
| 타카바 후미히코 CV | 카시모 하지메 CV | |
|  |  | |
| 레지 스타 CV | 이시고리 류 CV | |
|  |  | |
| 우로 타카코 CV | 요로즈 CV | |
|  |  | |
| 켄자쿠 CV 사쿠라이 타카히로/렉스 랭 | 료멘스쿠나 CV 스와베 준이치/레이 체이스 | |
|  |  | |
| 우라우메 CV 사이가 미츠키/에리카 멘데즈 | 젠인 나오야 CV | }}}}}}}}} | 
4.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설정#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설정#|]] 부분을5. 음악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애니메이션/음악#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애니메이션/음악#TVA 3기|TVA 3기]] 부분을6. 회차 목록
| <rowcolor=#ffffff,#e0e0e0> ''' 회차''' | ''' 제목'''[1] | ''' 콘티''' | ''' 연출''' | ''' 작화감독''' | ''' 총 작화감독''' | ''' 방영일''' | 
| ''' 사멸회유 전편''' | ||||||
| 제48화[2] | 日선행: 2025.11.07. 日정규: 2026.01. | |||||
| 제49화 | 日선행: 2025.11.07. 日정규: 2026.01. | |||||
| ''' 사멸회유 후편''' | ||||||
| 제○○화 | 日: 미정 | |||||
7.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 <rowcolor=#ffffff,#e0e0e0> | |
| 48화 | |
8. 방송국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20px; display: inline-block" {{{#!folding 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ded584,#ded584> ''' 방영기간''' | ''' 방영시각''' | ''' 방송국''' | ''' 방송지역''' | ''' 비고''' | 
- 한국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c1d1f><table color=#212529,#e0e0e0><rowbgcolor=#010101,#010101><rowcolor=#ded584,#ded584><width=1000> '''방영기간||<width=20%>방영시각||<width=25%>방송국||<width=15%>비고''' ||
9. 해외 공개
10. 평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애니메이션/평가#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주술회전/애니메이션/평가#3기|3기]] 부분을11. 흥행
12. 원작과의 차이점
13. 미디어 믹스
13.1. 극장판 주술회전: 시부야사변×사멸회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장판 주술회전: 시부야사변×사멸회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극장판 주술회전: 시부야사변×사멸회유#|]] 부분을14. 기타
- 전 시즌인 2기와 비교하여 소소하게 제작진의 변경이 있다. 부감독은 아이케이 료타에서 타카다 요스케(高田陽介)로, 캐릭터 디자이너는 코이소 사야카에서 야지마 요스케(矢島陽介) / 니와 히로미(丹羽弘美) 공동으로 제작진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