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8:49:22

종합반도체사


[[반도체|반도체 제조 공정
Semiconductor Fabrication
]]
[ 펼치기 · 접기 ]
||<-2><tablewidth=100%><tablecolor=#000,#ddd><bgcolor=#0ff>반도체 8대 공정 (Process Integration)
Front-End
(웨이퍼/제조 · 산화 공정 · 포토 리소그래피 · 식각 공정 · 증착 공정 · 금속 배선 공정)
(+ 이온 주입)
Back-End
(EDS · 패키징(=백엔드 자체))
구조
<rowcolor=#000>반도체 제품반도체 소자
CPU · GPU(그래픽 카드) · ROM · RAM · SSD · HDD · MPU · eMMC · USB · UFS · 와이파이트랜지스터(BJT · FET · JFET · MOSFET · T-FT, FinFET, GAA) · 전력 반도체 소자(사이리스터 · GTO · 레지스터(IGBT) ) · 다이오드 · CMOS · 저항기 · 연산 증폭기 · 펠티어 소자 · 벅컨버터
용어
웨이퍼 · · SoC · Technology Node · PPA · PCB · FPGA · Photo Resist · Alignment · LOCOS · STI · Fume · 산화막 · 질화물 · Annealing
<rowcolor=#000>현상법칙
정전기 방전무어의 법칙 · 4 GHz의 벽 · 폴락의 법칙
기업 분류
기업 목록은 각 문서에 서술
반도체 제조사(종합반도체사 · 팹리스 · 파운드리 · 세미캡)

종합 반도체 제조 회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3em"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동부하이텍 로고.jpg 파일:Magnachip_black.svg파일:Magnachip_white.svg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도시바 로고.svg 파일:소니 로고.svg파일:소니 로고 화이트.svg 파일:ROHM 로고.webp 파일:르네사스 로고.svg
파일:Asahi Kasei Microdevices 로고.png 파일:키오시아 로고.png파일:키오시아 로고 화이트.png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인텔 로고.svg파일:인텔 로고 화이트.svg 파일:micron-logo-2024-블랙.svg파일:micron-logo-2024-화이트.svg 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svg파일:Western_Digital_logo_(2022)_white.svg 파일: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로고.svg파일: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온세미컨덕터 로고.svg파일:온세미컨덕터 흰색 로고.svg 파일:Analog Devices 로고.png 파일: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로고.svg파일:마이크로칩 테크놀로지 로고 화이트.svg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칭화유니그룹.jpg 파일:창신메모리_로고.svg 파일:푸젠진화 로고.jpg
[[대만|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himax 로고.png 파일:VIA 로고.svg 파일:난야 테크놀로지 로고.png
[[유럽연합|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STMicroelectronics 로고.svg파일:STMicroelectronics 로고 화이트.svg 파일:NXP반도체 로고.svg 파일:보쉬 로고 가로형.svg파일:보쉬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피니언 로고.svg
}}}}}}}}} ||

1. 개요2. 역사3. 업체 목록
3.1. 한국3.2. 일본3.3. 미국3.4. 중국3.5. 대만3.6. 유럽

[clearfix]

1. 개요

종합 반도체 회사(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

팹 없이 칩 설계만 하는 팹리스나, 팹으로 외주 제작만 하는 파운드리의 기능을 모두 담당하는 업체를 말한다. 프론트엔드 관련 모든 과정을 수행하는 업체라고 보면 된다.

2. 역사

반도체 시장이 본격적으로 전개된 1980년대에는 모든 업체가 IDM으로 시작하였기에 반도체 기업은 자연스레 IDM 업체를 의미했다. 그러나 벤처기업의 증가 추세와 유지 비용 비대화 등에 맞추어 팹리스파운드리 형태로 분할되기에 이른다. 이때부터 점점 그 수가 줄어들었고, 최근에 이르러 IDM은 대기업이 아닌 이상 찾아보기 힘들게 되었다. 일본의 NEC 등이 이 추세에 맞추지 못해 몰락한 대표적인 예시다.

2020년대에 이르러 반도체 IDM 중에서 세계 10위권 내에 들어가는 업체는 삼성전자가 유일한 상황이다.[1][2]

3. 업체 목록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세계 10대 반도체 제조 회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매출 순위
<rowcolor=#000,#e5e5e5> 1위 2위 3위 4위 5위
파일:NVIDIA 로고.svg파일:NVIDIA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텔 로고.svg파일:인텔 로고 화이트.svg 파일:삼성 워드마크.svg 파일:브로드컴 로고.svg파일:브로드컴 로고 화이트.svg 파일:퀄컴 로고.svg
<rowcolor=#000,#e5e5e5>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rowcolor=#000,#e5e5e5> 6위 7위 8위 9위 10위
파일:AMD 로고.svg파일:AMD 로고 화이트.svg 파일:SK하이닉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로고.svg파일:텍사스 인스트루먼트 로고 화이트.svg 파일:인피니언 로고.svg 파일:STMicroelectronics 로고.svg파일:STMicroelectronics 로고 화이트.svg
<rowcolor=#000,#e5e5e5>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스위스|
파일:스위스 국기.svg
]]
}}}}}}}}} ||

3.1. 한국

3.2. 일본

  • Rohm: 오키전기공업 반도체 인수.
  •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 NEC, 히타치, 미쓰비시 등 일본 전자기업들의 시스템 반도체 사업부들을 통합해 설립했다.
  • 도시바: 플래시 메모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한 기업. 도시바 메모리의 매각 이후 남은 시스템 반도체 부문들을 통합해 반도체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 키오시아: 도시바의 플래시 메모리 자회사. 웨스턴 디지털과 합병 논의가 진행중
  • 소니: 이미지 센서 1위 기업. 이미지 센서 하나로 2019년에는 세계 반도체 기업 순위 11위까지 올라왔다.
  • Asahi Kasei Microdevices(AKM) : 일본 화학기업 아사히 카세이의 계열사. 주로 음향 기기에 들어가는 반도체로 유명하다.
    2020년 10월 20일, 일본 미아자키현의 노베 오카시 AKM 공장이 화재로 전소되었다. 이 공장에서 생산하던 반도체는 르네사스 테크놀로지의 이바라키현 히타치나카시 공장에 위탁 생산을 결정하였다. 2021년 4월, AKM은 화재가 난 공장의 복구를 포기하고 위탁 생산 유지 또는 신규 공장 건설을 검토중이다. #

3.3. 미국

  • 인텔: 1992년부터 2016년까지 25년간 1위였으나 메모리 시장의 슈퍼 사이클로 2017년부터 삼성전자에게 1위를 내주기 시작했다가 2019년 메모리 분야의 호황이 끝나면서 다시 1위를 탈환했으나 삼성에 다시 재역전당함은 물론이고 팹리스 기업인 엔비디아에게도 추월을 허용했다. 연구개발 소홀로 선단공정 경쟁력을 잃으면서 2024년 결국 인텔 파운드리의 정상화 전까지 TSMC에 주력 칩셋의 생산을 맡기는 굴욕을 맛보게 되었다.[3]

3.4. 중국

  • 칭화유니그룹: 부채를 갚지 못해 법정관리에 들어섰으며, 국유화가 되었다.
  • 창신메모리
  • 푸젠진화

3.5. 대만

3.6. 유럽

  • STMicroelectronics: 유럽의 시스템 반도체 기업. 프랑스이탈리아의 반도체 공기업 2사가 합병해 설립된 게 시초이며(SGS-Thomson) 본사는 스위스에 있다.
  • NXP 반도체: 네덜란드의 반도체 기업. 필립스가 매각해 독립하게 된 시스템 반도체 기업. 프리스케일 반도체 인수.
  • 보쉬: MEMS 시장에서 주도적인 위치에 있는 기업으로 자동차나 스마트폰 등 다양한 분야에 제품을 공급한다. 워낙 대기업이다보니 여러 사업에서 축적된 기술과 자본을 바탕으로 시장 침투를 가속화하고 있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상황.
  • 인피니언: 지멘스의 반도체 사업부가 독립되어 나온 기업으로 시스템 반도체 부문에 집중하며 입지를 다지고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1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1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하지만 삼성과 비슷한 반도체 매출의 TSMC의 순이익과 주가의 차이를 보면 삼성도 파운드리가 대세가 된 2020년대 이후로는 이류로 밀려난 형국이다. 설계 역시 팹리스가 주류가 되었고 이 분야에서 일천한게 한국 반도체 산업의 현실이다.[2] 메모리의 경우도 기존의 저장용보다는 AI같은 그래픽칩 구동에 필요한 메모리가 파이가 커졌는데 이쪽도 삼성의 주력인 GDDR은 PDP를 연상시키는 행보를 보이고 있고 경쟁사 하이닉스가 HBM에서 경쟁력을 보여주고 있다.[3] 한때 IDM이었다가 공정능력이 경쟁력을 잃자 독립시키고 TSMC에 위탁 생산을 하게 된 AMD와 유사한 상황이다. 하지만 인텔은 직접 생산을 포기할 생각이 없고 오히려 타사 칩의 수주까지 받겠다고 천명했으나 당분간은 쉽지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