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박세진 · 3 백인환 · 4 장준영 · 5 변준영 · 6 최희원 · 7 데니손 · 8 최치원 · 9 김종민 · 10 김종석 VC · 11 아담 12 최성진 · 13 김영남 · 14 이학민 · 15 김택근 · 16 송승민 · 17 김주성 · 18 신송훈 VC · 19 유동규 20 조주영 · 21 김진영 · 22 김승호 C · 23 한정수 · 24 박세직 · 25 박종민 · 26 여현준 · 27 정세준 28 손준호 · 29 김수안 · 30 박영재 · 31 주현성 · 33 이민혁 · 35 양승욱 · 37 정도진 · 38 김정현 39 김성현 · 40 최보경 · 42 황재환 · 43 정이서 · 44 이연우 · 55 최현웅 · 70 정재윤 71 이유민 · 72 한교원 · 74 박시후 · 76 이호인 · 77 정마호 · 88 박병현 · 92 김민혁 · 97 은고이 · 98 강민규''' |
| |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5cf2c><tablebgcolor=#f5cf2c> | 충남 아산 FC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rowcolor=#093C91> 초대 | 2대 | 3대 | |
| 박동혁 (2020~2023) | 김현석 (김현석호) (2024) | 배성재 (배성재호) (2025) | 감독 대행 조진수 (2025~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1c48> | K리그2 구단별 감독 (2025)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555555,#aaaaaa | 경남 김필종 (대행) | 김포 고정운 (고정운호) | 부산 조성환 (조성환호) | 부천 이영민 (이영민호) |
| 서울 김도균 (김도균호) | 성남 전경준 (전경준호) | 수원 변성환 (변성환호) | 아산 조진수 (대행) | |
| 안산 최문식 (최문식호) | 인천 윤정환 (윤정환호) | <colbgcolor=#ffde00> 전남 김현석 (김현석호) | 천안 조성용 (대행) | |
| 청주 김길식 (김길식호) | 화성 차두리 (차두리호) | | ||
| ◀ K리그1 구단별 감독 | K3리그 구단별 감독 ▶ | |||
| <colbgcolor=#f5cf2c><colcolor=#373a3c> 충남 아산 FC 감독대행 | ||
| Chungnam Asan FC | ||
| | ||
| 이름 | 조진수 趙珍洙 | Cho Jin-soo | |
| 출생 | 1983년 9월 2일 ([age(1983-09-02)]세) | |
| 경기도 안양시 | ||
| 국적 | | |
| 포지션 | 스트라이커 | |
| 신체 | 184cm. 75kg | |
| 학력 | 안양중학교 (졸업) 안양공업고등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중퇴) | |
| 소속 | <colbgcolor=#f5cf2c><colcolor=#373a3c> 선수 | 전북 현대 모터스 (2003~2006) 제주 유나이티드 FC (2007~2008) 울산 현대 (2009~2010) 양주시민축구단 (2011~2013) 랏차부리 미트르 폴 FC (2013) 수원 FC (2014) |
| 감독 | 우석대학교 (2015 / 코치) 수원 FC U-15 (2016~2017 / 수석 코치) FC 안양 U-18 (2018~2019 / 수석 코치) 충남 아산 FC U-18 (2022~2024) 충남 아산 FC (2025 / 수석 코치) 충남 아산 FC (2025~ / 감독 대행) | |
| 국가대표 | 2경기 (대한민국 / 2008) 5경기 (대한민국 U-20 / 2008) | |
1. 개요
대한민국의 축구인. 2003년부터 2014년까지 K리그에서 활동했던 스트라이커다.2. 유소년 시절
안양중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를 거쳐 건국대학교를 중퇴했다. 건국대학교 시절 U-20 대표팀에도 선발되기도 했던 유망주 출신으로 당시에는 스피드와 슈팅력이 좋다는 소리를 들었으며 윙 포워드와 센터 포워드를 모두 소화할 수 있는 재목이란 평가를 받았다.3. 프로 시절
3.1. 전북 현대 모터스
2003년 전북 현대 모터스에 계약금만 2억 5천만 원에 연봉 2천만 원이란 조건과 자유 계약 형태로 입단했다.큰 기대 속에 전북에 입단한 것 까지는 좋았는데 2003년 FIFA U-20 월드컵 최종 엔트리에는 포함되지 못하였고 유망주 꼬리표를 떼지 못하고 계속 전북 2군에서만 활동하였다.
2005년 하반기에 전북에 최강희 감독이 부임하여 구단 리빌딩 과정에서 젊은 선수들을 대거 기용하면서 조진수도 주전 공격수 자리를 꿰차는 데 성공. 2005년 FA컵 우승과 2006년 AFC 챔피언스 리그 우승에 상당한 기여를 하게 된다. 특히 AFC 챔피언스 리그 조별 예선 감바 오사카와의 원정 경기에서 J리그 정상급 수비진을 90분 내내 질질 끌고 다니면서 경기를 지배하기도 했다.
3.2. 제주 유나이티드
2007년 시즌 시작 직전 3:2 트레이드 형식으로 제주 유나이티드에 입단하면서 전북을 떠나게 된다.2007년 새로운 팀인 제주에서 다시금 주전 공격수로 출장하며, 당시 심영성, 이리네 등으로 꾸며진 공격진 사이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2008년 대한민국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부임한 허정무의 과감한 기용에 힘입어, 조진수 선수는 생애 첫 성인 국가대표 발탁의 영예를 안았으며, 칠레와의 친선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동아시아축구대회 일본과의 경기에서 주전 공격수들이 모두 부상을 당한 관계로 선발 출장하는 등 최고의 상승세를 보여주었던바 있다.
3.3. 울산 현대
2008년 시즌이 종료된 뒤 FA 자격을 얻어, 울산 현대로 이적하였다. 이적 후, 울산에서 많은 출장을 기록하였으나 수비적인 팀컬러를 갖고 있는 울산은 역습 찬스에서 원샷 원킬이 가능한 골게터가 필요했는데, 아무래도 골 결정력보다는 상대팀 수비수들을 피곤하게 만드는데 강점이 있었던 조진수는 점차 주전에서 밀려나게 되었다.3.4. 양주시민축구단
결국 울산에서 2년간 활동 후 2011년부터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하면서 챌린저스리그 양주 시민축구단에서 활동하였다. 양주에서는 2012년 6월 16일, 2경기 연속 더블 해트트릭(1경기 6골)을 쏘아올리는 등 13경기에 무려 22골을 기록하면서 챌린저스리그를 씹어먹고 있다는 평을 받음3.5. 랏차부리 미트르 폴
이후 2013년 4월 공익근무요원 소집 해제 후 태국 축구단인 랏차부리 미트르 폴 로 이적해 1년 가까이 활동하였다.3.6. 수원 FC
2014 시즌을 앞두고 K리그 챌린지 구단인 수원 FC에 입단하였다. 하지만 수원 FC에서는 8경기 출장에 그친 뒤 1년 만에 퇴단하였다.4. 지도자 시절
2015년 우석대학교 축구부 코치로 지도자 첫발을 내디뎠다.2016년부터는 친정 구단 수원 FC에서 U-15 수석 코치로 활동하며 2017년 18회 탐라기 중학교 전국축구 대회에서 팀을 창단 첫 우승으로 견인했다.
2018년에는 모교이자 FC 안양의 U-18인 안양공업고등학교에 수석 코치로 부임했고 2019년 21회 백운기 전국 고교 대회에서 팀을 준우승까지 이끄는 역량도 보여 줬다.
공개 채용으로 2022년의 충남 아산 FC U-18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23년 충남 아산 U18 감독으로 K리그 주니어 B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충남 아산 유스팀의 창단 첫 K리그 주니어 1위다.
2025년부터는 내부 승진으로 아산의 1군 수석 코치로 부임하며 첫 성인 구단 무대에 입성하게 됐다.
2025년 7월 26일 화성 FC와의 홈경기에서 구단과의 갈등 끝에 배성재 감독이 거취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로 자리를 비우는 다소 황당한 사태가 일어나는 바람에 감독 대행을 맡았다. 경기는 1:1 무승부로 끝났다.
2025년 10월 3일 결국 배성재 감독이 구단과의 동행을 마무리 함에 따라 잔여시즌 충남 아산 FC 감독대행을 맡게 되었다.
감독 대행 데뷔전인 32R 충청 더비 홈경기에선 0:0 무승부를 거두며 2연패를 끊어냈다.
2025년 10월 8일, 33R 안산 그리너스 FC와의 원정경기에서 감독 대행으로서의 첫 승리를 올렸고 그 이후에도 계속 승리를 올리면서 리그 3연승을 달성했다. 참고로 전임 감독인 배성재 체제에서 아산은 리그 3연승을 경험해 본적이 없다.
그리고 그 이후 34~35R 서울이랜드전과 천안아산 더비에서는 이기지 못했지만 36R 부산전 에서는 부산의 플레이오프 진출을 무산시키는 고춧가루 결과를 만들었다.
5. 플레이 스타일
공격수로서 이상적인 체격에 몸싸움도 강하고 체력도 좋고 속도도 있어 엄청난 초대형 공격수가 될 거라 기대하는 이들이 많았다. 하지만 골 결정력이 너무나도 부족했다는게 문제. 쉽게 말하자면 넓은 활동 반경으로 이리저리 돌아다니면서 골찬스를 많이 만들어 내는데 지독할 정도로 골을 못 넣는다는 평. 여기에 공격자 파울을 범하는 횟수도 너무 많았다.실제로 전성기 시절 허정무 당시 대표팀 감독이 A대표팀에서 뽑아서 체크할 정도로 전술적인 가치는 상당했으나 지독한 골 결정력 부족으로 인해 대표팀에서 오래 살아남진 못했다. 이후 허정무 감독은 새로운 타겟맨으로 정성훈을 시험하기에 이른다.
6. 여담
- 2007 시즌을 앞두고 열렸던 제주 유나이티드 팬 미팅장에서 자신의 이전 소속팀과의 경기인 전북전은 이를 갈고 뛰겠다고 말하며 제주 팬들의 호응을 얻기도 했다. 이후 2008 시즌 3골 3도움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고 국가대표팀에도 발탁되었으니 자신이 한 말을 어느 정도 지켜낸 셈이 되었다.
- 제주 시절과 달리 울산 현대 시절에는 혹독한 비판을 받아야만 했다. 2009 시즌 가루가 되도록 팬들에게 까인 조진수의 거취를 두고 울산 스태프진은 고심을 거듭했을 정도. 결국 울산 시절을 기점으로 조선수의 커리어는 계속 내리막길을 걸어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