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5 00:07:31

전사(죽음)

K.I.A에서 넘어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77px-Graves_at_Arlington_on_Memorial_Day.jpg
알링턴 국립묘지
1. 개요2. 대한민국에서의 의미3. 절차4. 전사자의 유족 입장에서5. 유족 지원6. 인식7. 해외의 경우8. 여담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I.A.(Killed in action)

넓게는 이름 그대로 "싸우다 죽음", 좁게는 "작전 중 사망" 혹은 "임무수행 중 전사"라는 뜻이다.

미군의 분류에 따르면 본인이 무기를 소지했거나 사용했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적대 세력의 공격으로 사망한 경우 전사로 집계한다. 단, 적대 세력이 아닌 아군 오사나 오발 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나 테러로 사망한 경우에는 전사로 치지 않는다.

전투·작전 중 사고로 인해 사망한 경우에도 전사로 치지 않고 순직으로 분류된다. 대신 Non-Hostile Death 혹은 Other Deaths(In Theater)로 분류하며 Hostile Death 혹은 Non-Hostile Death 상관없이 모든 미군 사망자의 시신 회수, 신원 확인, 운송, 및 장례는 흔히 Grave Registration Service라고 불리던 Mortuary Affairs의 관할 및 책임 하에 있으며 현재는 제54병참중대 및 제111병참중대만이 공식적으로 남아있는 Mortuary Affairs 부대이다.

2. 대한민국에서의 의미

대한민국에서는 전사(戰死) 혹은 전사자(戰死者)라는 단어가 사용된다. 이는 전투 중 사망한 경우 외에도 사고 등으로 사망한 순직자(殉職者)들도 포함해 넓은 의미로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전사 혹은 전사자라는 단어가 언급될 때 별도의 설명이 없다면 순수하게 전쟁에서 전투 중 사망한 군인을 의미하는 것인지 넓게 해석하여 전쟁 중 사망한 모든 군인들을 의미하는 것인지 판단이 요구된다.

6.25 전쟁에서는 약 138,000명, 베트남 전쟁에서는 약 5,000명의 국군 전사자가 집계되었다.

3. 절차

원칙적으로 전사통지서[1]는 Mortuary Affairs 소속 군인들이 직접 작성해야 한다. 제2차 세계 대전 때에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처서 전사통지서가 날아왔다.(대체로 적십자에 의해) 전사자 확인/수습 → 작전지역의 사령부로 통보 → 전사자 보고서 작성 → 국방부로 전달 → 전사통지서 작성 → 유족으로 전달.

전사자 확인 통보에는 전사자의 소속 부대, 계급, 성씨, 세례명, 사망일, 사망위치, 사망원인(전사라면 K.I.A), 사망자 확인 배경[2], 장례 여부/위치/일시, 유서 존재여부를 명기하도록 되어있다. 미 국방부가 이 통보서를 받게 되면 확인 후 Mortuary Affairs에서 전사자 통지를 한다. 참고로 구호기사단에 의해 수습되는 경우도 있었다. 이상할 것도 없는 것이, 구호기사단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영국 적십자사와 함께 활동했다. 다만 이쪽은 구호기사단의 Order of Malta(몰타 기사단)가 아니라 구호기사단의 영국지부인 Order of St. Johns(성 요한 기사단)로 구호기사단의 후신 중 하나다.

다만,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베트남 전쟁, 6.25 전쟁 등의 큰 전쟁이 끝난 지금은 정확히는 Grave Registration System을 굴리는 것이 아니다. 여전히 Mortuary Affairs는 Grave Registration Service라고 불리긴 하지만 옛날의 Grave Registration System이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진짜로 Grave Registration System이 다시 돌아가는 수준의 전쟁이 터진다면 사실상 제3차 세계 대전일 것이며, 전사통지서 한 장 오고 땡이 현실이 되지만 현재는 Casualty Assistance Calls Officer를 사망자의 가족에게 파견하여[3] 직접 사망소식을 전하고, 유품 수습, 위로 및 장례를 돕는 시스템을 돌리고 있다. 참고로 6.25 전쟁 당시엔 아시아파병되어 있던 부대가 딱 하나 뿐이라서 전몰장병 수습에 큰 문제가 있었고, 전황이 바뀔 때마다 무덤 위치가 바뀌거나 시신을 잃어버리는 참사가 마구잡이로 터지는 뼈아픈 경험을 해야 했는데 이 경험은 현 미군 전몰 병사 수습 시스템에 큰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라이언 일병 구하기위 워 솔져스, 롱 로드 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등 영화나 드라마에서도 잘 나온다. 미 육군 전사통지관들의 일상을 다룬 <더 메신저(2009)>라는 영화를 보면, 이들의 고충을 알 수 있다. 규정된 통지문을 끝까지 읊어야 하기에 유가족에게 구타를 당하면서도 가만히 있어야 하고, 스티브 부세미가 연기한 전사자의 아버지에게 "니나 가서 죽을 것이지 왜 내 아들이 죽어야 했냐?"는 폭언을 듣는 등 온갖 수난을 다 당한다. 어쩔 수 없이 이러한 모든 것이 전사통지관의 일이기 때문에 모두 감내해야 한다.

4. 전사자의 유족 입장에서

해외파병 중인 군인의 가족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이들이 바로 검은 차를 타고 자기 가족이 소속된 군종의 예복 혹은 정복을 입고 온 2~3인조 군인들이라고 한다. 보통 이런 경우 귀하의 아들·남편이 전사했소라고 알리러 온 전사통지관[4]들이기 때문이다. 미군은 전사자 발생 시 현지시각 06~22시 사이에, 전사 후 4시간 안에 전사자와 동일한 군종의 장교부사관 각 1인이 포함된 2인 혹은 그 이상의 전사통지관을 유가족에게 보내 전사 사실과 각군부장과 각군 참모총장(혹은 해병대사령관·해안경비대사령관)의 애도문, 전사 일시와 장소 및 간단한 전사 사유 등을 통지해야 한다.

복장은 유족에 대한 예의를 갖춰야 하므로 당연히 예복이나 정복이다. 전사통지관도 군인(참전 경력까지 있는 경우도 상당수)인 만큼 아무개가 죽었다고 통보하러 가는 건 참 고달픈 일이라고 한다. 유가족의 슬픔과 분노를 목도하는 건 더 그렇다. 통곡하는 건 당연하고, 현실을 회피하며 몇 시간째 문을 열어 주지 않는다거나, 심하면 전사통지관에게 욕설이나 구타 등을 가하며 화풀이를 하는 경우도 많지만 안 받아줄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미군의 가족에게는 과장 하나도 없이 저승사자 그 자체다. 미국 전쟁 영화에서 집 앞으로 정복 입은 군인들이 다가오는 걸 본 순간, 사태를 직감한 전사자의 어머니나 아내 등이 다리가 풀려 주저앉는 건 정형화된 클리셰이다.[5] 가끔 이걸 역이용해서 해외 파병 후 귀가할 때 전사통지관으로 위장(?)하는 군인도 있는데 집 근처에서 동료 군인과 함께 정복을 차려입고 모자를 눌러써 얼굴을 최대한 가린 뒤 집 문을 두드리고, 자신이 죽은 줄 알고 절망하며 문을 열었다 놀라는 가족들을 보여주는 식의 정신나간 몰래카메라를 하기도 한다.

5. 유족 지원

파일:전사자 대우.jpg
거의 모든 나라들은 전사자의 유족들을 위한 제도가 있다. 일반적으로 전장에 나가는 군인의 절대다수는 성인 남성이며, 이들은 가정을 이루고 정신적, 경제적으로 가정의 기둥이 되어 가정을 책임지는 군인이 전사할 경우 가족들의 심리적, 경제적 고통은 불을 보듯 뻔하고, 전사한 군인에 대한 예우 차원에서도 유족 지원은 반드시 필요하다. 게다가 적과의 전투 중에 사망한 전사는 가장 고결한 죽음으로 인식되어 순직보다도 지원을 많이 받는다.

6. 인식

가장 고귀한 죽음은 전쟁에서의 죽음이다.
아리스토텔레스 '니코마코스 윤리학' 1115a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전사는 명예롭게 보고 추앙했다. 한국에서는 신라 화랑임전무퇴를 지키지 못하는 것을 치욕으로 여기며 굉장히 중요시되어 여러 열전을 남겼고, 중국의 대표적인 소설 삼국지연의에서는 정사에서는 자연사, 병사하는 장수를 띄워주기 위해 전장에서 죽는 형태로 바꾼 경우(서황, 태사자, 황충 등)가 꽤 나온다.

게르만족 바이킹들은 아예 전사하려고 발악하는 수준이었는데 전장이 아니라 침대에 누워서 죽음을 앞둔 경우 가족들에게 죽여달라고 부탁할 정도였다. 이는 그들의 믿음과 관련이 있는데 그들은 전사하면 발할라로, 병사하면 '헬(Hel)'로 간다고 믿었다. 헬은 영예의 전당은 아니지만 괴로운 지옥도 아닌 중립적인 의미의 저승에 가까운 곳이다. 춥고 음산한 곳이긴 한데, 그건 고위도 지방인 북유럽 기후의 기본값이고 헬은 그저 명예로운 전사로서 죽지 않은, 그러나 평범하게 열심히 살다 죽은 사람들이 가는 곳일 뿐이었다. 죄인이 고통으로서 그 죄의 대가를 치르는 진짜 지옥은 나스트론드라는 곳으로, 이 곳에서는 죄인들의 시신이 니드호그와 늑대들에게 사정없이 뜯어먹힌다.

헬이 그렇게 나쁘지만은 않은 곳임에도 굳이 발할라로 가려는 이유는 북유럽 신화의 발할라에선 낮에는 다른 전사들과 박터지게 싸우고 밤에는 예쁘고 섹시한 발키리들을 양 옆에 끼고 주지육림의 잔치를 즐기다가 라그나로크가 오면 진짜로 죽을 때까지 싸우는 곳이기 때문이다. 라그나로크가 오면 저승이고 지옥이고 발할라고 다 소멸하기 때문에 먹고 마시고 놀다가 전쟁이 나면 끝까지 싸우다 가겠다는 것이다.

현대에도 전사자에게는 계급 특진을 추서하고, 유족에게 보상금을 지급하고 국립묘지에 안장시키는 형태 등으로 우대한다. 미군은 6.25 전쟁베트남 전쟁 때의 전사자들의 유해를 수십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발굴하고 본국으로 송환시키고 있다.

중국6.25 전쟁 전사자의 유해를 조국으로 송환하고자 한국 측과 꾸준히 접선해 왔다. 북한은 전선에서 전사한 장병들의 유해 송환에는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지 않았다. 북한 전역에 산재한 국군의 전사자 유해도 답례로 송환해야 하는데, 경제난에 시달리는 북한 사정상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다만 6.25 전쟁에서 전사한 고위 장성들은 대성산혁명열사릉을 조성해 놓은 상태다.

물론 현대에는 인식이 많이 바뀌어서 군인이라도 전사로 죽는 것보다는 무사히 전역하고 평온하게 자연사로 죽는 것이 좋다는 인식이 더 강해졌다.

7. 해외의 경우

미국, 프랑스, 독일과 같은 선진국에서 전사자의 유해는 동료들의 보호를 받으며 수송기로 조국의 품으로 옮겨진다. 이때, 앞에서 말했듯이 미국과 같이 선진국들은 그 어느 나라보다도 군인의 대한 예우가 각별하기 때문에, 전사자가 사망했다는 것을 군인들을 파견하여 유족들을 찾아가 유족들에게 사망 소식을 전하기도 하며, 장례는 거의 100% 국장으로 치러진다. 아프리카 부르키나파소에서 인질구출작전을 하다가 순국한 두 명의 프랑스 특수부대원 2명의 영결식도 국장으로 치러지고 프랑스 최고 훈장까지 수여했다.

8. 여담

파일:KIA.png

콜 오브 듀티의 등장인물 존 "소프" 맥태비시의 대사.

단어의 뜻 때문에 영미권 사람들이 KIA의 로고를 보고 거부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어서 한동안 난항을 겪은 기아는 북미권 딜러십이나 법인명을 기재할 때 KIA가 아닌 Kiakia로 표기한다. 이와 비슷한 사례로 LG전자가 있다. 옛 이름인 럭키금성(Lucky Gold Star)의 "Gold Star"가 전사자를 일컫는 말이라서 앞에 Lucky가 붙어 "잘 죽었다"는 조롱으로 들릴 수 있어 Life's Good으로 이름을 바꿨다.

비슷한 약어로 MIA(Missing in action, 작전 중 실종), WIA(Wounded in action, 작전 중 부상), EKIA(Enemy Killed in action, 적 사살)이 있다.

노키아의 핸드폰이 워낙 튼튼하다는 인식이 있다 보니 no k.i.a.라는 밈도 있다. 외국 회사명을 영문명으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우연이지만 사명으로 쓰이는 Nokia나 로고로 쓰이는 NOKIA 모두 긍정적인 의미를 가진다.

9. 관련 문서


[1] 정확히는 Letter of Condolence라 부른다.[2] 예를 들면 적십자에 의해 수습된 경우 어느 국가 관할에서 수습했는지와 사망자 등록이 언제 되었는지, 그리고 언제 지역 사령부에 전달되었는지를 명기해야 한다. 즉, 사망자 확인에 관여한 authority를 반드시 표기하도록 되어 있다.[3] 전몰자의 계급보다 1계급 높은 사람을 보내는 것이 원칙이지만 챈스 일병의 귀환처럼 연이 있는 경우에는 더 계급이 높더라도 지원할 수도 있다.[4] Casualty Notification Officer(CNO, 해군 외), Casualty Assistance Calls Officer(CACO, 해군)[5] 그래서 전사통지관들은 혹시 충격을 받은 유족들이 실신하는 등의 돌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응급처치 기술은 물론 가장 가까운 의료 시설의 위치 및 연락처도 사전에 숙지한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