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경남 FC/유니폼 | ||
| | 김포 FC/유니폼 | |||
| | 부산 아이파크/유니폼 | |||
| | 부천 FC 1995/유니폼 | |||
| | 서울 이랜드 FC/유니폼 | |||
| | 성남 FC/유니폼 | |||
| | 수원 삼성 블루윙즈/유니폼 | |||
| | 충남 아산 FC/유니폼 | |||
| | 안산 그리너스 FC/유니폼 | |||
| | 인천 유나이티드 FC/유니폼 | |||
| | 전남 드래곤즈/유니폼 | |||
| | 천안 시티 FC/유니폼 | |||
| | 충북 청주 FC/유니폼 | |||
| | 화성 FC/유니폼 | |||
| ◀ K리그1 구단별 유니폼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de00> 구단 기본 정보 | <colbgcolor=#ffffff,#1f2023> 포스코 | 전남 드래곤즈 | 광양제철고등학교 | 광양제철중학교 | 광양제철남초등학교 | |
| 구단 세부 정보 | 선수단 | 코칭 스태프 | 역대 감독 | 유니폼 | ||
| 구단 역사 | <colbgcolor=#ffde00> 역사 | 시즌별 일람 | 구단 역사 | ACL 기록 | |
| 영광의 순간 | 1997 FA컵 | 2006 FA컵 | 2007 FA컵 | 2021 FA컵 | ||
| 현재 시즌 | 2025 시즌 | ||
| 경기장 관련 정보 | 광양축구전용구장 | 순천팔마종합운동장 | ||
| 클럽 하우스 | 백운생활관 | ||
| 응원 | 미르 | 응원가 | ||
| 기타 | 팀 컬러 | ||
| 논란 | 사건·사고 | ||
1. 개요
| 전남 드래곤즈 2025 시즌 유니폼 | ||||
| | | | | |
| 홈 | 원정 | 서드 | GK 홈 | GK 원정 |
| <rowcolor=#ffde00,#ffde00> 용품 스폰서 | 메인 스폰서 | 서브 스폰서 | ||
| | | 동광양농협 | 디오션리조트 | |
| 신비동물원 | ||||
전남 드래곤즈의 역대 유니폼.
2. 임시 유니폼
2.1. 1994
창단식에 입은 임시 유니폼.
3. 루디스
3.1. 1995~1996
3.2. 1996~1997
1996년 하반기에 바뀐 유니폼.
사실상 2001년까지 5년 넘게 입었는데 브랜드만 바뀐 택갈이라 저 기간 동안 리복 상의에 아디다스 하의, 엄브로 유니폼에 루디스 양말 등 브랜드가 다른 용품을 혼재해 입는 기형적인 모습을 연출했다.
4. 엄브로
4.1. 1997~1998
1997년 하반기부터 입었다.
5. 아디다스
5.1. 1998
1998년 하반기부터 입었다.
6. 리복
6.1. 1999
제9회 아시안클럽 위너스컵 전용유니폼에는 "Posteel", "浦港製鐵"이 마킹되어 있다.
7. 엄브로
7.1. 2000
8. 아디다스
8.1. 2001
9. 엄브로[1]
9.1. 2002~2003
패션 디자이너 앙드레 김에게 특별 자문을 받아 당시 엄브로 라이센스를 보유한 훼르자에서 제작한 유니폼이다. # #
처음으로 보라색을 포인트 컬러로 채택했다.
2003년에는 CI를 변경한 모기업 포스코로 스폰서가 바뀌었다. 홈에는 영문 CI, 원정에는 한글 CI가 들어갔다.
당시 유니폼을 기반으로 만든 뉴트로 유니폼을 2021년 2월 2일에 100개 수량 한정으로 출시했다. #
10. 험멜[2]
10.1. 2004
10.2. 2005
| | |
| | |
디자인은 전년과 같으나 색상을 변경했고, 골키퍼 유니폼만 바뀌었다.
11. 아스토레[3]
11.1. 2006~2007
11.2. 2008~2009
2008
2009 - 엠블럼 주위의 방패 모양과 번호 폰트 등의 차이가 있다.
12. 자코[4]
12.1. 2010~2011
2010
2011
13. 켈미[6]
13.1. 2012
13.2. 2013
13.3. 2014~2015
창단 20주년을 맞아 엠블럼을 변경했다.
2015년에는 엠블럼 하단에 20주년 기념 문구가 없어지고 기타 세세한 차이만 존재한다.
2015년 7월 26일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 K리그 출장 700경기를 기념해 김병지가 등번호 700을 새긴 유니폼을 입고 경기에 나섰고, 팀은 3:1로 승리하였다.
14. 조마[7]
| | | | | |
| | | | | |
14.1. 2016
파일:htm_20160219141049126217.jpg처음으로 파이널 A 스플릿에 진출했다.
14.2. 2017
14.3. 2018
2부 리그로 강등당한 유니폼이 되었다.
14.4. 2019 에스쿠도 데 드라곤즈
| 2019 시즌 유니폼 | |||
| | | | |
| 홈 | 원정 | GK 홈 | GK 원정 |
Escudo de Dragóns(에스쿠도 데 드라곤즈)는 용의 방패라는 뜻의 스페인어로, 엠블럼 외형을 반복시켜 만든 용비늘 디자인은 라보나 풋볼에서 만들었다.
2부 리그 강등 후 입은 첫 유니폼이다.
15. 푸마[8]
디아이에프코리아와의 커머셜 패키지 딜 방식으로 푸마 코리아와 계약했다.
| | | | | |
| | | | | |
15.1. 2020
수원, 제주와 같은 드라이셀 재질로 제작했으며 홈은 노랑, 원정은 검정이다. 디자인은 작년에 이어 라보나 풋볼이 전담해 어깨 부분에 용비늘 무늬가 들어갔다.
골키퍼 유니폼은 수원 삼성 블루윙즈와 동일한 색상이다.
15.2. 2021
| | |
| | |
| | |
| | |
| | |
| 2021 시즌 유니폼 | ||||
| | | | | |
| 홈 | 원정 | 서드 | GK 홈 | GK 원정 |
유니폼의 컨셉은 '독룡(毒龍)', 즉 독기를 품은 용으로, 전남 바다를 수호하는 드래곤즈가 새 시즌을 맞아 적에게 자비가 없는 독룡(毒龍)으로 거듭났다는 뜻이라고 한다. 이 유니폼을 입고 구단의 네 번째 FA컵 우승이자, 2부 리그 팀 최초로 우승해 ACL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15.2.1. 1997 레트로
1996년부터 2001년까지 입은 유니폼을 모티브로 제작했다.
15.3. 2022
| 파일:273556618_4775345212501641_7175803482192920712_n.jpg | 파일:273292605_4775345215834974_7203355246604879502_n.jpg |
| | |
리그 유니폼은 가슴 중앙에 FA컵 우승 패치가 들어가며, ACL 유니폼은 규정상 POSCO 스폰서만 존재한다.
15.4. 2023
| | |
| 홈 | 원정 |
| | |
| GK 홈 | GK 원정 |
홈 유니폼은 어깨 스폰서 시인성 문제로 인해 마킹이 일부 변경됐다.
16. 미즈노
16.1. 2024
| | |
| 홈 | 원정 |
| | |
| GK 홈 | GK 원정 |
2월 8일에 공개했다.
16.1.1. 30주년 레트로
| | |
1995년 K리그 참가 원년 유니폼을 기반으로 오버더피치와 한국미즈노가 협업한 창단 30주년 레트로 컬쳐 유니폼을 7월 16일에 공개했다.
| | |
7월 20일 부산 아이파크와의 홈 경기에 입었으나 2:3으로 패배했고, 7월 28일 서울 이랜드와의 홈 경기에도 착용했으나 2:2로 무승부를 기록해 승리를 기록하지 못했다.
선수용 유니폼은 위의 판매용과는 마킹이나 재질 등이 다르다.
16.2. 2025
| | |
| 홈 | 원정 |
| | |
| GK 홈 | GK 원정 |
2월 7일에 공개했다.
16.2.1. 3rd 유니폼
| | |
[1] 훼르자[2] 대원이노스[3] 싸카스포츠[4] 티제이에스코리아[5] 이운재는 2011년에 이적했으나 착용한 유니폼은 2010년 유니폼이다.[6] 비앤제이[7] 피파스포츠[8] 디아이에프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