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중국의 작위 요구자를 다루는 문서.2. 등재 기준
이 문서는 상위 문서인 작위 요구자의 정의에 따른 중국의 현재 작위 요구자들을 나열한 목록 문서이다.- 해당 국가가 현재까지 존재하거나,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이후 적법한 근거를 가지고 해당 작위를 주장한 사례가 있었던 경우
- 혈통을 통해 세습되는 왕위나 작위와 같이 만약 해당 정권이 존속했다면 해당 정권의 주권을 이어받을 수 있는 누군가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경우에만 등재하며, 계승권을 실제로 주장하는지 아닌지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작위 이외에 영토에 대한 권리 주장
- 작위 소유자가 공식적으로 해당 작위를 포기, 또는 해체한 경우
- 식민국가나 피정복국가가 독립하고, 상대국이 해당 국가를 인정한 경우에 해당하면 등재하지 않는다. 토론 합의
토론 합의에 따라, 근대 이후 공화국의 독재자가 직위를 자손에게 계승했거나 계승하려 시도한 경우는 등재하지 않는다. 단 근대 이후 공화국의 독재자라도 '몽골의 칸' 등 세습 군주의 칭호를 자칭한 경우는 등재한다.
3. 현재 작위 요구자 목록
3.1. 마카오 영주
| |
관련 칭호 | 포르투갈 국왕 알가르브 국왕 브라간사 공작 마카오 영주 |
작위 요구자 | 두아르트 피우 |
전임자 | 두아르트 누누 |
후임자 | 아폰수 |
계승 실패 원인 | 1834년 폐위 1910년 왕정 폐지 1999년 포르투갈에서 중국으로 영유권 반환 |
3.2. 연성공
| |
관련 칭호 | 연성공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작위 요구자 | 쿵추이창(공수장) |
전임자 | 쿵더청(공덕성) |
후임자 | 쿵유런(공우인) |
계승 실패 원인 | 1935년 연성공에서 대성지성선사봉사관으로 칭호 개편 |
3.3. 오주 황제
| |
관련 칭호 | 주나라[1] 황제 |
작위 요구자 | 우위룽(오우로) |
계승 실패 원인 | 1681년 제국 멸망 |
오삼계 문서를 봐도 알 수 있듯이 오삼계가 한족과 만주족 양쪽에게 모두 배신자이자 기회주의자라는 평가를 받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오주의 역대 황제위 요구자들은 진지하게 오주의 재건을 원하는 모습을 보이는 일이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 만약 오삼계의 후손들 중 누군가가 진지하게 오주의 재건을 원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서로 앙숙인 한족 민족주의자들과 만주족들이 합심하여 그 사람을 욕할 것이다.
본 문단에 나와 있는 국새는 오주 국새가 아니라 명나라 국새인데, 오주의 국새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전해지지 않으며 오주 자체가 명목상 명나라의 후신을 표방한 국가라서 편의상 명나라 국새의 이미지를 첨부한다.
3.4. 원나라 황제
| |
관련 칭호 | 대칸 천자 원나라 황제 |
작위 요구자 | 스티브 조르첸 해럴드 보르지긴 |
후임자 | 단젠 보르지긴 |
계승 실패 원인 | 1368년 원나라 멸망 1388년 북원 멸망 1635년 대칸국 멸망 |
3.5. 쿠처 회부친왕
관련 칭호 | 쿠처 회부친왕 |
작위 요구자 | 다우티 |
계승 실패 원인 | 중국의 공산화에 따른 쿠처 회부친왕 작위 부정 |
3.6. 홍콩 영주
| |
관련 칭호 | 하노버 국왕 브라운슈바이크 공작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연합왕국 국왕 홍콩 영주 |
작위 요구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5세 |
전임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4세 |
후임자 | 에른스트 아우구스트[3] |
계승 실패 원인 | 1901년 왕조 단절 및 교체 1997년 영국에서 중국으로 영유권 반환 |
[1] 오주라는 명칭 자체는 후대인들이 붙인 것이며, 오주의 실제 명칭은 그냥 주(周)였다.[2]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207158[3] 에른스트 아우구스트 5세의 아들.[4] 홍콩 민주화 운동의 일환으로 홍콩 독립운동이나 영국으로의 재귀속을 희망하는 여론이 늘면서, 현재의 영국 국왕인 찰스 3세가 이 목록에 올라올 가능성이 생겼다. 허나, 아직 영국 정부와 왕실의 공식 입장은 홍콩의 민주화를 지지하는 수준에서 그치므로 찰스 3세는 공식적으로는 홍콩의 영주위 요구자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