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훈재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훈재의 수상 및 영예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KBL 챔피언 결정전 우승 반지 | |
1997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KBL 최우수 수비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 <rowcolor=#fff> 1997 시즌 | 1997-98 시즌 | 1998-99 시즌 | 1999-2000 시즌 | 2000-01 시즌 |
이훈재 기아 / 포워드 | 김영만 기아 / 포워드 | 추승균 현대 / 포워드 | 양경민 삼보 / 포워드 | 양경민 삼보 / 포워드 | |
<rowcolor=#fff> 2001-02 시즌 | 2002-03 시즌 | 2003-04 시즌 | 2004-05 시즌 | 2011-12 시즌[a] | |
김승기 삼보 / 가드 | 박규현 LG / 가드 | 김주성 TG삼보 / 포워드 | 추승균 KCC / 포워드 | 김주성 동부 / 포워드 | |
<rowcolor=#fff> 2012-13 시즌[b] | 2013-14 시즌 | 2014-15 시즌 | 2015-16 시즌 | 2016-17 시즌 | |
양동근 모비스 / 가드 | 양희종 KGC / 포워드 | 양동근 모비스 / 가드 | 이승현 오리온 / 포워드 | 이승현 오리온 / 포워드 | |
<rowcolor=#fff> 2017-18 시즌 | 2018-19 시즌 | 2019-20 시즌 | 2020-21 시즌 | 2021-22 시즌 | |
박찬희 전자랜드 / 가드 | 박찬희 전자랜드 / 가드 | 문성곤 KGC / 포워드 | 문성곤 KGC / 포워드 | 문성곤 KGC / 포워드 | |
<rowcolor=#fff> 2022-23 시즌 | 2023-24 시즌 | 2024-25 시즌 | 2025-26 시즌 | 2026-27 시즌 | |
문성곤 KGC / 포워드 | 오재현 SK / 가드 | ||||
<rowcolor=#fff> 2026-27 시즌 | 2027-28 시즌 | 2028-29 시즌 | 2029-30 시즌 | 2030-31 시즌 | |
[a] 1997 시즌부터 2011-12 시즌까지는 '우수 수비상' 수상자. 우수 수비상은 2005-06 시즌 폐지되었다가 2011-12 시즌부터 다시 시상. [b] 2012-13 시즌부터 '최우수 수비상'으로 시상. |
{{{#!wiki style="margin: -5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1658><tablebgcolor=#001658> | KBL 1997~2000 수비 5걸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f2023,#ddd | <rowcolor=#fff> 포워드 | ||||
1997 시즌 | |||||
이지승 현대 | 장윤섭 나래 | 김현국 나산 | 이훈재 기아 | 강병수 나래 | |
<rowcolor=#fff> 가드 | 가드 | 포워드 | 포워드 | 센터 | |
1997-1998 시즌 | |||||
주희정 나래 | 박규현 LG | 김영만 기아 | 김현국 나산 | 박재헌 LG | |
1998-1999 시즌 | |||||
주희정 삼성 | 스테이스 보스먼 대우 | 추승균 현대 | 이훈재 동양 | 박재헌 LG | |
1999-2000 시즌 | |||||
주희정 삼성 | 로데릭 하니발 SK | 추승균 현대 | 양경민 삼보 | 로렌조 홀 현대 | |
이훈재의 역임 직책 | |||||||||||||||||||||||||||||||||||||||||||||||||||||||||||||||
|
}}} ||
대한민국의 농구 감독 | ||
이훈재 李勲載 | ||
<colbgcolor=#ffffff> 출생 | 1967년 1월 14일 ([age(1967-01-14)]세) | |
서울특별시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신체 | 신장 193cm | |
직업 | 농구선수 (포워드/ 은퇴) 농구 코치 | |
학력 | 서울남산초등학교 (졸업) 동북중학교 (졸업) 양정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졸업) 경원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사회체육학 / 석사[1]) | |
실업 입단 | 1989년 기아자동차 농구단 | |
현역시절 등번호 | 12[2], 21[3] | |
소속 | <colbgcolor=#ffffff> 선수 | 기아자동차 농구단 (1989~1997)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997~1998) 대구 동양 오리온스 (1998~2001) |
코치 | 인천 금호생명 팰컨스 (2001~2003)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2013~2014, 2022~2023) | |
감독 | 인천 금호생명 팰컨스 (2003~2004 / 감독대행) 신협 상무 (2004~2019) 부천 하나원큐 (2019~2022) | |
가족 관계 | 아내, 아들 이채형[4]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 출신 감독. 前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코치.2. 선수 경력
2.1. 대학 시절
양정고 졸업 후 대학 하위권팀이던 성균관대학교에 입학, 신입생으로서 참가한 1985-86 농구대잔치에서 팀선배 서지태(2m, 3학년)[5]와 더블포스트를 이루어, 성균관대를 대학부 1위 및 농구대잔치 1차대회 8강에 올려놓는 기염을 토하며, 1985-86 농구대잔치 신인상을 수상하게 된다.이후 성균관대학교의 성적은 별로였지만 이훈재는 4년간 팀의 주전센터로 뛰며 대학선발팀에 뽑히는 등 기량을 인정받았고, 졸업 후 중앙대 출신 이준호(197cm)[6], 천정열(185cm) 등과 함께 기아자동차에 입단하게 된다.
2.2. 기아자동차 시절
이훈재가 입단하던 1989년의 기아자동차는 유재학-허재-강정수-정덕화-김유택-한기범 등 국가대표 라인업을 구성, 1988-89 농구대잔치부터 1992-93 농구대잔치까지 전무후무한 대회 5연패를 달성하던 그야말로 최강 멤버들이었고, 특히나 김유택-한기범의 국가대표 쌍돛대는 신예 이훈재나 이준호가 비벼볼 여지조차 주지 않았다.출장 기회조차 잡기 힘들던 기아에서의 한 시즌을 보내고 상무에 입대한 이훈재는 최병식(193cm)과 함께 상무의 골밑을 지키며 1990-91 농구대잔치에서 상무를 4강까지 이끄는 돌풍을 이끌기도 했지만, 제대 후 복귀한 팀에서 이훈재의 자리는 다시 벤치였다.
하지만 최강 기아자동차의 5연패 기간 동안 이훈재는 부상으로 신음하던 한기범과 불미스러운 일로[7] 김유택이 각각 자리를 비울 때마다 주전으로 나서 골밑 수비 한 자리를 훌륭히 메웠고, 1992년에는 주전 멤버 강정수, 정덕화가 나란히 은퇴하며 백코트에 공백이 생기자 3번자리로 포지션을 변경해 외곽수비까지 담당하는 등, 화려한 주전 라인업(허-동-택 트리오)로 대표되던 기아자동차에서 궂은일 담당으로 팬들에게 이름을 알렸다.
1993-94 농구대잔치에선 주전들의 노쇄화 속에 팀의 농구대잔치 8강 탈락 및 6연패 좌절을 지켜봐야만 했으나, 이듬해 1994-95 농구대잔치에서는 아예 주전 스몰포워드 자리를 꿰차면서 상대팀 에이스들(삼성전자 문경은, SBS 정재근, 고려대 양희승, 연세대 우지원 등)을 꽁꽁 묶는 찰거머리 수비를 자랑했고, 가끔씩 저돌적인 돌파를 선보이며 기아자동차가 통산 6번째 우승을 차지하는데 크게 공헌했다.
이후 공수 만능 스몰포워드 김영만이 입단하면서 출장시간이 다소 줄긴 했지만, 내외곽을 가리지 않는 전천후 수비력은 여전했고, 1995-96 농구대잔치에서 기아자동차의 통산 7번째, 이훈재 개인으로선 5번째 농구대잔치 우승을 거머쥔다.
2.3. 프로 시절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소속으로 참가한 KBL 원년시즌, 이훈재는시즌 종료 후 대구 동양의 포워드 박준영(195cm)[8]과 1:1 트레이드로 대구 동양 오리온스로 이적한 이훈재는 전희철, 김병철, 김광운(181cm), 정재훈(184cm), 허남영(195cm) 등 주력 선수들은 물론 갓 입단한 박재일까지 모조리 상무/공익으로 보내버린 박광호 사단에서 졸지에 주전 포워드를 차지하게 되었고, 98-99 시즌 대구 동양은 프로도 아닌 수준으로 완전 시궁창에 처박히며 처참하게 멸망했다. 야심차게 뽑은 외인 센터 그레그 콜버트(199.5cm)가 8경기만에 미국으로 도망가버리면서 팀 플랜이 꼬여버린 대구 동양은 2R에서 뽑은 신인 정락영과 노장 이훈재를 팀의 주축으로 자칭 "가나 왕자" 존 다지(188cm)와 함량미달의 센터 자바리 마일스(198cm)에 이팀 저팀에서 긁어모은 백업들(김재열(190cm,F), 신현식(196cm,C), 이인규(187cm,G))로 구성되었던 프로는 물론 대학팀들과 붙어도 승리를 장담하지 못할 정도의 전력이었고, 가뿐히 32연패와 역대 시즌 최저승(3승 42패)를 달성한다. 이미 32세의 노장이던 이훈재는 이 엉망진창인 팀에서 그나마 믿음직한 베테랑이었고, 여전히 득점력은 없었지만 성실한 수비력을 보여주며 정락영과 함께 대구 팬들의 몇 안되는 위안거리였다. 약간 공로상 같은 개념(?)이었는지, 악몽의 98-99시즌이 끝나고, 42패나 한 꼴찌팀 소속임에도 이훈재는 98-99 시즌 종료 후 생애 두 번째 수비 5걸상을 차지한다.
99-00 시즌, 소집해제 후 복귀한 전희철과 루키 포워드 조우현이 합류하면서 다시 식스맨으로 돌아간 이훈재는 비시즌동안 장착한 3점슛(경기당 0.6개, 성공률 50%)을 선보이며 팀이 전시즌보다 무려 17승을 더 올리는데 기여하지만, 겨우 1경기 차로 아쉽게 6강 플레이오프에 오르지 못한다. 다음시즌엔 김병철까지 복귀했지만 시즌 내내 엉망진창이던 팀은 00-01 시즌 꼴찌로 재추락하고, 박재일에 밀려 수비용 식스맨 자리도 내준 이훈재는 시즌 종료 후 은퇴를 택한다.
3. 지도자 경력
은퇴 후 미국으로 지도자 유학을 갔다가, 2001년 인천 금호생명 팰컨스의 코치로 부임하며 곧바로 귀국한다.2003년 신동찬 감독이 물러나면서 감독 대행으로 한시즌간 팀을 이끈뒤 물러났으며,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상무 농구단의 감독직을 맡았다. 프로팀들이 참가하지 않는 아마추어 농구계에서 독보적인 강팀인 상무팀 감독으로서, 농구대잔치 9회 우승, 프로-아마 농구 최강전 2회 우승을 비롯, 수차례의 전국체전 우승과 KBL 윈터리그, KBL D리그 우승 트로피를 싹쓸이 하고 있다.
2013년 인천에서 열린 제 3회 동아시아남자농구선수권 대회 대표팀 코치로 임명되며, 최부영 감독을 보좌하며 윤호영, 박찬희, 김종규, 이정현 등이 이끌던 당시 대표팀을 대회 우승으로 이끌었다. 같은 해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FIBA 아시아 선수권 대회 대표팀에선 유재학 감독을 보좌하는 코치로 합류, 팀을 대회 3위에 올려놓으며 2014 스페인 농구월드컵 티켓을 따냈다.
2014년 스페인 농구월드컵에 역시 유재학 감독, 이상범 코치와 함께 참가했으나 대회 전패에 그치며 세계의 벽을 실감하기도 했고, 같은해 열린 제 17회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대표팀에도 같은 코칭스태프들과 참가하여, 대한민국 농구대표팀에 12년만의 금메달을 안겨주기도 했다.
2019년 3월, 부천 KEB하나은행의 신임 감독으로 선임되었으며, 계약기간은 3년이다.
2020년 10월 11일 양인영을 FA로 영입하였다가 난데없이 날벼락을 맞는데...
결국 2020-21 시즌은 2월 1일 아산 우리은행 위비전 패배로 인해서 플레이오프 탈락이 확정되었다.
2021-22 시즌에는 부상 선수의 폭증으로 인한 부진으로 전년도보다 더 나쁜 성적을 내면서 무려 16경기를 치른 기준으로 단 2승, 0.125라는 참혹한 승률을 찍으며 하나원큐 팬들에게 돌훈재, 훈재앙 등으로 몹시 까이는 등 상무 농구단 감독 시절도 결국 선수빨이었다는 사실을 만천하에 드러내고 있다.
결국 최악의 성적을 거듭하고 거듭한 끝에 시즌이 끝난 후 마무리되면서 하나원큐와의 재계약에 불발되어 실패하여 결국, 부천 하나원큐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 대신 후임 감독은 김도완 감독이 새로 자리를 선임하게 되었다.
하나원큐 코치에서 물러난 이후 상무 시절 은사였던 추일승 감독의 부름을 받고 8년 만에 대한민국 농구 국가대표팀 코치로 복귀하게 된다. 하지만,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 노메달로 인해 자연스럽게 물러나게 되었다.
4. 여담
5. 관련 문서
[1] 석사 학위 논문 : 농구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선수만족도 및 훈련몰입도에 관한 연구 (2008.2)[2] 기아 시절[3] 동양 시절[4] 연세대학교 농구부 소속이다. 2004년생.[5] 타이완에서 농구 유학을 온 장신 센터로, 85-86 농구대잔치 1차대회 리바운드왕을 차지했다. 졸업 후 삼성전자에 입단했으나, 기본기 부족으로 많이 출전하지 못하면서 2년만에 은퇴했다.[6] 울산 모비스와 국가대표팀 센터, 이종현의 아버지다.[7] 1989-90 농구대잔치 당시 간통 사건으로 출장정지를 받았다.[8] 휘문고 시절 우지원, 석주일을 제치고 92학번 랭킹 1위 포워드로 불리던 그 선수 맞다. 대학에서 폭망한 대표적 고교 유망주로 꼽히는 인물. 트레이드 직후 바로 은퇴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