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역사·연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톨릭대학교/역사 | 감리교신학대학교/역사 | 강서대학교/역사 | 건국대학교/역사 |
경기대학교/역사 | 경희대학교/역사 | 고려대학교/역사 | 광운대학교/역사 | |
국민대학교/역사 | 덕성여자대학교/역사 | 동국대학교/역사 | 동덕여자대학교/역사 | |
명지대학교/역사 | 삼육대학교/역사 | 상명대학교/역사 | 서강대학교/역사 | |
서경대학교/역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역사 | 서울교육대학교/역사 | 서울대학교/역사 | |
서울시립대학교/역사 | 서울여자대학교/역사 | 성공회대학교/역사 | 성균관대학교/역사 | |
성신여자대학교/역사 | 세종대학교/역사 | 숙명여자대학교/역사 | 숭실대학교/역사 | |
연세대학교/역사 | 이화여자대학교/역사 | 육군사관학교/역사 | 장로회신학대학교/역사 | |
중앙대학교/역사 | 총신대학교/역사 | 추계예술대학교/역사 | 한국성서대학교/역사 | |
한국외국어대학교/역사 | 한국체육대학교/역사 | 한성대학교/역사 | 한양대학교/역사 | |
홍익대학교/역사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643E,#00472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학 정보 | |||
캠퍼스 | 학부 | 대학원 | 학교 법인 | |
역대 총장 | 상징 | 교환 학생 |
의료원 | 부속 병원 | ||
의료원 | 보구녀관 | 목동병원 | 서울병원 |
이화여자대학교 역사 |
1. 설립 배경
1886년 미국인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 여사가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에 세운 한국 최초의 여학교인 이화학당이 모체이다.1885년 52세의 나이로 한국 땅을 밟은 스크랜튼 부인은, 구한말 한국 여성의 지위가 너무나도 낮은 것을 보고, 여성들을 위한 학교를 세운다. 단 1명의 학생으로 시작해 어렵게 학생들을 모아 학교를 키워 나갔고, 고종황제와 명성황후 내외는 이화(梨花, 배꽃)라는 교명(校名)을 지어주며 격려했다[1].# 1887년, 스크랜튼 부인은 의료선교를 위해 병원도 설립했다. 남녀칠세부동석과 내외법이 엄격하던 당대 조선 사회의 분위기를 고려해, 여성전용병원을 짓고 미국에서 여성의사들을 초청해 왔다. 고종황제는 이 병원에도 '보구녀관(普救女館)'[2]이라는 이름을 하사했다. 보구녀관은 한국 최초의 여성병원이며, 최초로 간호교육을 실시하는 등 오늘날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과 의과대학/간호대학의 전신으로 규정된다.
메리 스크랜튼 부인 이후로 교장을 맡은 미국인 여성 선교사들에 의해 이화학당은 유치원, 보통과, 중등과, 고등과 등으로 체계가 갖추어졌고, 1912년에는 이화학당에 대학과가 생겨 덕분에 당시 구제중학교 수준의 고등보통학교까지밖에 없었던 조선에서 여성의 체계적 교육이 가능해졌다. 이화학당 대학과는 조선총독부의 전문학교규칙에 의거해 1925년 구제전문학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인가되었고, 오늘날 오차노미즈여자대학의 전신인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의 본을 따 여성을 위한 고등교육기관으로 발전해왔다.
1935년에는 정동 이화학당 자리에서 현재 이화여자대학교/캠퍼스가 위치한 신촌으로 이전했고, 태평양전쟁 개전으로 미국인 선교사들이 축출되고 나서 1943년에는 정동에 남아있던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구제중학교급)가 '학교법인 이화학원'으로[3]과 신촌으로 옮겨간 이화여자전문학교(구제전문학교)가 '학교법인 이화학당'[4]으로 법인 분리되었다. 당시 구제전문학교였던 이화여전은 여자교원양성소로 격하되었다.
1945년 해방 이후 구제전문학교로 복귀한 이화여자전문학교는 대한민국 최초로 종합대학 인가를 받아 이화여자대학이 되었으며, 1946년 이화여자대학교로 개칭했다. 초대 총장은 메리 스크랜튼 여사로 본다. 참고.
2. 연혁
이화여자대학교 역사 | |
1886.05.31. | <colbgcolor=#f5f5f5,#191919>미국 북감리회에서 파견된 선교사 메리 스크랜튼(Mary F. Scranton) 부인에 의해, 한국 최초의 여성교육기관으로 설립. 단 1명의 학생으로 시작하였다. |
1887 | 고종이 이화학당(梨花學堂)이라는 이름을 하사. 한국 최초의 여성병원인 보구녀관을 설립. |
1890 | 제2대 당장 루이자 로드와일러(Lousia C. Rothweiler) 취임. |
1893 | 제3대 당장 조세핀 페인(Josephine O. Paine) 취임. |
1904 | 중학과 설치. |
1907 | 제4대 당장 룰루 프라이(Lulu E. Frey) 취임. |
1910 | 대학과 신설.[5] |
1912 | 보통과, 고등과, 중학과, 대학과 설치. |
1914 | 대학과 1회 졸업식(신마실라, 이화숙, 김애식) 이화유치원[6] 신설. |
1915 | 유치원 사범과[7] 설치. |
1917 | 중학과를 대학예과로 개칭. |
1918 | 보통과, 고등과를 이화학당에서 분리하여 이화여자보통학교,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로 11월 1일 개교. |
1921 | 제5대 당장 자네트 월터(Jeanette A. Walter) 취임. |
1922 | 제6대 당장 앨리스 아펜젤러(Alice R. Appenzeller) 취임. |
1925.04. | 대학과 및 대학예과를 전문학교인 이화여자전문학교로 승격 및 문과, 음악과 신설. |
1927.03. | 이화여자전문학교 제1회 졸업식. |
1928 | 유치원 사범과를 이화보육학교로 개칭. |
1929 | 가사과 신설. |
1935.03. | 이화여자보통학교 폐교. 이화여자전문학교 및 보육학교를 정동에서 신촌으로 이전. |
1936.05. | 창립 50주년 기념식 거행. |
1939.04. | 제7대 교장 김활란 취임.(최초의 한국인 교장) |
1940.04. | 3년제 보육과 및 1년제 가사전수과 신설. 학생 정원을 음악과 50명, 가사과100명, 전수과 100명으로 증원. |
1941.04. | 이화보육학과 폐교. |
1943.08. |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와 이화보육학교ㆍ이화여자전문학교의 재단을 분리. 재단법인 [이화학당] 설립. |
1943.12. | 전시교육임시조치령에 의하여 전문학교 교육 정지. |
1944.01. | 전시교육임시조치령에 의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여자청년연성소 지도자 양성과로 개편. |
1945.04. | 경성여자전문학교로 개칭하고 3년제 후생과, 육아과, 1년제 보육전수과, 교육전수과를 설치. |
1945.08.15. | 박탈당했던 교명 '이화'를 되찾음. |
1945.10. | 한림원·예림원 및 행림원의 3원을 두고, 한림원에 문과·가사과·교육과·체육과를, 예림원에 음악과·미술과를, 행림원에 의학과·약학과를 설치. |
1945.12. | 의학과 실습병원으로 동대문부속병원 신설. |
1946.08.15. | 이화여자전문학교를 4년제 대학 이화여자대학교로 승격.(한국 최초로 종합대학 인가)[8] |
1946.10.31. | 초대 총장에 김활란 박사 취임. |
1947.09. | 한림원의 문과를 인문학부로, 가사과를 가정학부로, 교육과를 교육학부로, 체육과를 체육학부로 승격. 인문학부에 국어국문학과·영어영문학과·기독교사회사업과, 가정학부에 가정학과·영양학과·의류학과, 교육학부에 교육학과·아동학과, 체육부에 체육학과 개설. 예림원의 음악과를 음악학부로, 미술과를 미술학부로 승격. 음악학부에 피아노과·성악과·현악과·작곡과, 미술학부에 동양화과·서양화과·자수과·도안과의 전공학과 개설. 행림원의 의학과를 의학부로, 약학과를 약학부로 승격. 의학부에 본과·예과, 약학부에 약학과의 전공학과 개설. |
1949.07. | 이화여자대학교 제1회 졸업식. |
1950.05. | 한림원 법정학부 및 행림원 간호교육학부를 신설. |
1950.06. | 대학원 신설. 한국 전쟁으로 휴교. |
1951.09. | 부산에 임시 교사(校舍) 마련하고 개강. |
1951.10.27. | 한림원의 교육학부를 사범대학으로 승격. |
1953.08. | 서울로 복귀. |
1954 | 대학원 제1회 졸업식. |
1955 | 사범대학 부속초등학교ㆍ부속중학교 개교. |
1956 | 대강당 건축. |
1958 | 사범대학 부속고등학교 개교. |
1960 | 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여자중학교ㆍ이화여자대학교병설금란여자고등학교 개교. |
1961.09.30. | 제8대 총장 김옥길 취임. |
1969.03.03. |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중학교ㆍ영란여자상업고등학교 개교. |
1969.11.20. | 자연사박물관 신설. |
1971 | 국제하계대학[9] 신설. |
1977 | 한국 최초의 여성학 강좌 개설. |
1979.09.01. | 제9대 총장 정의숙 취임. |
1982 | 자연과학대학 설립. |
1983 | 평생교육원 개원. |
1984 | 100주년 기념 도서관 건립. |
1985 | 총학생회 발대식. |
1986 | 이화 창립 100주년 기념식 거행. |
1990.09.01. | 제10대 총장 윤후정 취임. |
1992 |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개교. |
1993.10.06. | 이대목동병원 개원. |
1995 | 여성최고지도자과정인 알프스(ALPS)[10] 신설. |
1996 | 제11대 총장 장상 취임. 세계 최초 여자공과대학 설립 영란여상을 이화여자대학교병설영란여자정보산업고등학교로 개칭. |
1999 |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 방문. 금란여중고를 남녀공학으로 전환. |
2001 | 국내 대학 최초로 국제학부 신설. 부속중고등학교와 금란중고를 통합.[11] |
2002.08.14. | 제12대 총장 신인령 취임. |
2003 | 금혼 학칙 폐지. |
2004 | 영란여자정보산업고를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로 개칭. |
2005 | 지하캠퍼스 ECC(Ewha Campus Complex) 기공식. 아시아 최초 세계여성학대회 유치. |
2006 | 개발도상국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한 전액 장학 프로그램인 EGPP[12] 시작. 이화학당 한옥 교사(校舍) 복원 제13대 총장 이배용 취임. |
2007 | 국내 대학 최초 자유전공학부 신설. 의학전문대학원 신설.[13] |
2008 | ECC 완공.(국내 최대 규모의 지하 캠퍼스) 법학전문대학원 신설, 법과대학 폐지.[14] 이대동대문병원 폐원. |
2010.08.01. | 제14대 총장 김선욱 취임. |
2011 | 솔베이 그룹과 산학협력 체결. |
2012 | 아시아ㆍ아프리카 여성 비정부기구 활동가 양성을 위한 단기교육 프로그램인 EGEP[15] 시작. |
2014 | 산학협력관 완공. 신축 기숙사(e-house) 기공. |
2014.07.26. | 의과대학 체제로 전환, 2015학년도부터 의예과 신입생 선발. |
2014.08.01. | 제15대 총장 최경희 취임. |
2016.10.19. | 제15대 총장 최경희 사임. |
2017.05.31. | 제16대 총장 김혜숙 취임. |
2019.05.23. | 이대서울병원 개원. |
2021.02.26. | 제17대 총장 김은미 취임. |
[1] 이화라는 명칭은 당시 학당 근처에 흐드러지게 피곤 했던 배꽃의 이름을 땄다거나 이화정이라는 정자이름을 딴 것이라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2] '여성을 널리 구하는 집'이라는 의미. 보구-여관이 아니라 보구녀-관이다.[3] 이화여자고등학교, 이화여자외국어고등학교, 팔렬중학교, 팔렬고등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예술학교인 예원학교와 서울예술고등학교도 본래 이화학원 소속이었으나, 두 학교는 1988년 이화학원에서 분리되어 따로 재단을 세웠다.[4] 이화여자대학교와 그 부속학교들인 이대부속유치원, 이대부속초등학교, 이대부중, 이대부고, 이대병설영란여중, 이대병설미디어고를 운영하고 있다.[5] 이화의 대학과의 목표는 선진국과 같은 수준의 대학교육을 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이화학당 대학과를 각 교파가 공동후원하는 기독교연합여자대학으로 성장시키려는 논의도 진행되었다. 그러나 한국인의 대학교육 기회를 제한하려는 일제 식민지교육정책으로 인해, 대학이 아닌 전문학교 인가를 받게 되었다.[6] 現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부속유치원[7] 유치원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 당시에는 유치원 교사를 양성하던 기관이 없었으며 현재의 초중고 교사에 해당하는 사범교육은 당시 보통학교(초등학교)를 졸업하고 들어가는 고등보통학교(현재의 중고등학교) 기관이었다.[8] 1946년도는 조선의 유일한 대학교였던 경성제국대학을 흡수한 서울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전문학교들이 대거 대학으로 승격된 해였다. 당시 종합대학 1호 인가를 받기 위해 전문학교 간 상당한 눈치게임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최종적으로는 인가신청 몇년 전부터 준비한 이화여자전문학교가 종합대학 1호로 승격되었다.[9] 여름방학 중에 외국인 학생과 해외동포 학생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단기 교육과정[10] Advanced Leadership Program Society[11] 교명을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중학교ㆍ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이화금란고등학교로 개칭[12] Ewha Global Partnership Program[13] 2004년까지만 의예과 신입생 선발, 2005년부터 의예과 신입생 모집 중단.[14] 2008년까지만 법과대학 신입생 선발. 2009년부터 법과대학 신입생 모집 중단, 법학전문대학원 신입생 선발.[15] Ewha Global Empowerment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