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31 18:31:40

이정우(1950)

{{{#!wiki style="margin: -8px"<tablebordercolor=#00205c><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205c>
파일:대한민국 대통령실 흰색 심볼.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olor: #fff;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03~2008)
<nopad> 참여정부
초대
이정우
제2대
박봉흠
제3대
김병준
<nopad> 참여정부
제4대
권오규
제5대
변양균
제6대
성경륭
대통령실 정책실장 (2009~2013)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윤진식
제2대
백용호
제3대
김대기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17~2022, 2023~현재)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장하성
제2대
김수현
제3대
김상조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제4대
이호승
초대
이관섭
제2대
성태윤
}}}}}}}}}}}}
이정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fff,#191919><tablebgcolor=#ffffff,#191919> 파일:한국장학재단 로고.svg한국장학재단
역대 이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89c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이경숙
2대
곽병선
3대
안양옥
4대
이정우
5대
정대화
6대
배병일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 파일:정책기획위원회 MI.svg정책기획위원회
역대 위원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1세기위원회 위원장 (1989~1995)
<nopad> 노태우 정부 <nopad> 문민정부
초대
나웅배
제2대
이관
제3대
이상우
제4대
서진영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1995~2008)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초대
서진영
제2대
최장집
제3대
김태동
제4대
한상진
<nopad> 참여정부
제5대
이종오
제6대
이정우
제7대
송하중
제8대
김병준
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 (2008~2013)
<nopad> 이명박 정부
초대
안병만
제2대
곽승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2017~2022)
<nopad> 문재인 정부
초대
정해구
제2대
조대엽
2022년 위원회 폐지 }}}}}}}}}
<colbgcolor=#082e59><colcolor=#fff> 참여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이정우
李廷雨 | Lee Jung-woo
파일:이정우(1950)_Profile.jpg
출생 1950년 8월 31일 ([age(1950-08-31)]세)
경상북도 대구시
(現 대구광역시)
현직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명예교수
재임기간 참여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03년 2월 25일 ~ 2004년 1월 1일
제6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장관급)
2004년 1월 1일 ~ 2005년 7월 20일
제4대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2018년 8월 13일 ~ 2021년 9월 30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82e59><colcolor=#fff> 학력 경북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1])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
병역 보충역 및 소집면제 (무종 3회)
경력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
경북지방노동위원회 공익위원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 (국민의 정부)
제16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경제1분과위원회 간사
초대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위원장 (참여정부)
초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참여정부)
제6대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참여정부)
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 (참여정부)
제9대 한국경제발전학회 회장
한국경제발전학회 명예회장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대구경북위원회 공동대표
학교법인 영광학원 이사장
제4대 한국장학재단 이사장 (문재인 정부)
}}}}}}}}}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경제학자이자 교수 출신 관료.

참여정부의 초대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참여정부의 동반성장론을 상징하는 인물이다. 2003년 10.29 주택시장 안정대책을 만들면서 강력한 부동산 규제정책을 주도했고 인위적 경기부양 반대, 성장 분배 동반 추구를 주장하며 참여정부 초기 경제정책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2. 생애

1950년 8월 31일, 경상북도 대구시(現 대구광역시)에서 태어났다.

1968년 경북고등학교, 1972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를 각각 졸업하고 1974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1983년 하버드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77년부터 2015년까지 경북대학교 경제통상학부 교수를 지냈다.

2003년 대통령비서실 정책실장,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정책기획위원회 위원장, 2004년부터 2006년까지 노무현대통령 정책특별보좌관, 2003년 제9대 한국경제발전학회 회장, 2005년 한국경제발전학회 명예회장 등을 역임했다. 2006년말 정책 특보직에서 물러나면서 참여정부를 떠났다.

2018년 3월 8일 학교법인 영광학원(대구대학교) 이사장을 역임했다.

2018년 8월 13일부로 제4대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취임사를 통해 "문재인 정부의 교육 공공성 강화 정책에 바탕해 경제적 여건에 관계없이 누구나 의지와 능력에 따라 고등교육의 기회를 얻을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대학생 등록금 및 주거비 부담 경감 지원사업을 중점적으로 추진하겠다"고 했다.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직을 맡게 된 두 가지 이유 중 하나는 "장학이라는 사업이 워낙 중요하고, 가난한 학생에게 희망을 주는 일이기 때문이다. 세상에서 이 이상 더 중요한 일이 있을까 싶을 정도로 중요하고 보람 있는 일이다." "또 하나는 한국장학재단이 공공기관 이전 방침에 따라 3년 전에 대구로 이사를 왔는데 재단이 대구에 있는 이상 한 번쯤은 대구사람이 맡는 게 보기 좋지 않을까 생각했다."라고 2018년 영남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회고했다.#

2018년 9월 13일 MBC 라디오 '이범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가 임박한 시점에서 지난 7월의 종부세 인상안이 약했다며 보유세를 더욱 강화할 것을 주문했다. '토지 소유로 인한 불평등과 투기 문제를 해결할 가장 근본적인 대책'으로서 헨리 조지가 주장한 토지보유세 강화를 제시했다.[2] 또한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추진하는 국토보유세에 대해선 '종부세에서 한 층 진화한 새로운 보유세고 더 나은 보유세'이며 그 세수로 기본소득으로 전 국민에게 나눠주면 소득재분배와 복지 강화 수단도 된다며 긍정평가했다. 또한 주택공급확대 정책에 대해선 '투기를 더 조장'하므로 '절대로 공급확대로 가선 안된다'고 강조했다.프레시안 기사

2021년 8월 12일부로 임기가 만료되어 퇴임할 예정이었으나, 후임 인선이 늦어져 2021년 9월 30일부로 퇴임했다.

3. 여담

  •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시절 ‘참여정부’라는 명칭을 작명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김용철 변호사는 자신의 저서 『삼성을 생각한다』에서 참여정부라는 명칭을 만든 것은 자신이라고 반박하였다.


[1] 석사 학위 논문 : 케인즈 實業理論(실업이론)의 再解釋(재해석) : R. W. Clower와 A. Leijonhufvud의 所論(소론)을 中心(중심)으로(1973).[2] EBS 클래스e에서도 비슷한 이야기를 했다. 부동산 불평등 5가지 해법ㅣ클래스e - 이정우의 <피케티, 우리는 왜 불평등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