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05:27:16

이오리 세이

건프라 배틀 시리즈의 주인공
프라모 쿄시로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비기닝 G 건담 빌드 파이터즈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쿄다 시로 이레이 하루
사카자키 켄타
노야마 리나
이오리 세이
레이지
카미키 세카이
코우사카 유우마
호시노 후미나
건담 빌드 다이버즈 건담 빌드 다이버즈 Re:RISE 건담 빌드 리얼 건담 빌드 메타버스
미카미 리쿠
사라
히다카 유키오
야시로 모모카
나나세 코이치
아야메
쿠가 히로토
메이
카자미
파르비즈
프레디
스즈키 히로
시미즈 타쿠미
나리타 켄타로
나카마루 타이치
마츠모토 소타
호조 리오
우르츠키 세리아

파일:seiioriart.webp
イオリ・セイ | Sei Iori

1. 개요2. 특징3. 작중 행적4. SEED팬?5. 개념인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건담 빌드 파이터즈의 주인공 중 한 명이자 레이지와 함께 건담 빌드 시리즈의 첫 스타트를 끊은 주인공. 국내판 명칭은 성을 빼고 그대로 세이. 성우는 코마츠 미카코[1]/김영은[2]

2. 특징

사립 세이호 학원에 다니는 중등부 1학년으로 주인공의 클리셰 자리인 교실 창가 쪽 맨 뒷자리에 앉아있다. 모형점 「이오리 모형」의 이오리 타케시이오리 린코의 외아들로, 어릴 때부터 건프라에 익숙하여 제작 기술, 건담에 대한 지식은 어른도 당해낼 수 없다.[3] 그러나 건프라 배틀의 조작 능력은 썩 좋지 않아 선수권에 출전해도 계속 첫 경기에 탈락하고 있다.

하지만 어느 날, 건프라 조종에 뛰어난 실력을 보이는 정체불명의 소년 레이지와 만나게 되고, 함께 건프라 배틀 선수권에 다시 한번 출전하게 된다. 배틀 시에는 레이지가 조종을 맡고 세이가 오퍼레이터를 맡는다.

2기 엔딩인 『반바지 정신』을 보면 어릴 적 세이를 건담에 입덕시킨 건 아버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사용·제작 건프라로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풀 패키지 & 스타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코스모스), 빌드 건담 Mk-Ⅱ, 윙 건담(1화), 빌드 버닝 건담[4], 스타 버닝 건담(GM의 역습), 빌드 스트라이크 갤럭시 코스모스(배틀로그),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엑시드 갤럭시(건담 빌드 메타버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오리 세이/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SEED팬?

1화 첫 장면에서 꾼 꿈도 그렇고 방에 걸린 포스터도 시드 쪽 포스터이며 주력 기체가 시드의 주역기 스트라이크 건담을 개조한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이라는 점에서 건덕후 중에서도 시드팬으로 추정된다.

파일:attachment/ioriseiseed.jpg
또 세이의 장식장에 있는 건프라를 보면, 왼쪽부터 이지스 건담, 듀얼 건담, 버스터 건담, 블리츠 건담, 캘러미티 건담, 포비든 건담, 레이더 건담, 어비스 건담, 가이아 건담, 카오스 건담. 전부 SEED 쪽 건담이다.[5] 더빙판에서는 책장이 죄다 블러 처리 되어버렸다.

하지만 후에 뉴타입 드립이라던지, 3살 때부터 꺼낸 기억이 아무로 레이의 모든 대사인 걸 보면 그냥 건담이면 다 좋은 것 같다.

5. 개념인

보통 이런 작품에 나오는 주인공 캐릭터라면 민폐형 캐릭터가 많다. 프라모 쿄시로도 그렇지만 건프라 하나에 미쳐서 온갖 사고를 다 치는 캐릭터가 많다. 하지만, 그런 민폐 지분을 레이지가 다 들고 가서인지 오히려 이 쪽이 상식인, 개념인 포지션에 서 있다. 여성에게 해선 안 될 말 같은 것들은 알아서 피하고 어려워 보이는 사람도 잘 돕는 편. 물론 건덕후 기질은 사라지지 않아 가끔 거기에만 빠질 때도 있지만 금방 자각하여 다시 돌아오기에 충분한 개념 캐릭터이다. 오타쿠 문화와도 동떨어져 있는 일반인 포지션을 가끔 맡기도 하는데, 15화에서 건프라 마피아란 소리를 듣자마자, 황당한 표정을 짓는 부분이 대표적.[6]

그 외에도 굉장히 예의가 바른 성격. 처음 만난 캐로짱이 자신의 친구인 치나의 친구인 걸 대화를 통해 대충 알았음에도 굳이 존칭 '~씨'를 뒤에 붙여서 "캐로짱 씨"라고 불렀다. 캐로씨라 부르던가 캐로짱이라 부르던가 하나로 해라

6. 기타

14화 A파트에서 스리슬쩍 지나가는 능력 평가를 보면…

토탈 명중률 26%
토탈 회피율 9%
토탈 방어율 69%
지형 대응 평가 C
공전 대응 평가 B

같이 나온 레이지의 능력치는 다음과 같다.

토탈 명중률 94%
토탈 회피율 57%
토탈 방어율 81%
지형 대응 평가 A-
공전 대응 평가 A+

1화에서 건프라 배틀 세계 대회에서 자신이 무리라고 할 만하다. 그러나, 사실 세이의 파이터로서 조종 실력은 천부적인 수준이다. 다만 '자신이 만든 건프라를 상처 입히고 싶지 않다는 마음'이 일종의 봉인구가 되어 제대로 싸우지 못했다. 작중 슬쩍 나오는 파이터 능력표에서는 세이를 C, 레이지를 A-로 측정했다. 하지만 세계 대회에서 레이지가 싸우는 모습을 보며 경험치를 확보하자 건프라 이브 에피소드 즈음이 되어 폭풍 같은 레벨업에 성공, 정신적인 봉인이 있는 상태에서도 레이지보다 조금 못한 수준으로 배틀을 하는 수준에 이르렸다.

그리고 마지막 화에서 레이지의 충고로 건프라를 상처 입히더라도 이기겠다는 각오를 다져 정신적인 봉인을 풀자, 현역 세계관 최강자라 할 수 있는 유우키 타츠야를 압도했다.[7] 마지막 싸움에서 세이의 회피 모션은 1화에서 걍을 상대하던 레이지의 모습을 뱅크 씬으로 활용한 것인데, 이는 자신이 이상적인 전투법이라 여기던 레이지의 싸우는 모습을 결국 세이가 해냈다는 점에서 주인공의 성장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연출이라 할 수 있다. 뱅크 씬은 이럴 때 쓰는 거다 뱅크패왕류야

최근 국내 더빙되면서 간접 광고 금지 모자이크 처리 때문에 졸지에 성인용품 미성년 알바생이 되어버렸다.

트라이에서 빌더로서의 대단함이 드문드문 나오기에, 농담 삼아 이오리아 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8]

슈퍼로봇대전 X-Ω에서는 다원 우주 미궁에 당한다. 문제는 그 세계가 다름 아닌 각종 건담 세계관들이 짬뽕된 세계들이었다는 것. 여기서 퍼건 이외의 다른 작품들 대사도 다 암기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마지막에는 역대 건담 주인공들을 전부 불러 싸운다.

7. 둘러보기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주인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우주세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기동전사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1979)
아무로 레이
파일:기동전사 Z 건담.png 기동전사 Z 건담 (1985)
카미유 비단
파일:기동전사 건담 ZZ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ZZ (1986)
쥬도 아시타
파일: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1988)
아무로 레이
파일: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속의 전쟁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80: 주머니 속의 전쟁 (1988)
알프레드 이즈루하 크리스티나 맥켄지 버나드 와이즈먼
파일:Gundam_F91_Logo.png 기동전사 건담 F91 (1991)
시북 아노
파일:기동전사 건담 0083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1991)
코우 우라키
파일:기동전사 V 건담 로고.png 기동전사 V건담 (1993)
웃소 에빈
파일:기동전사 건담 08MS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1996)
시로 아마다
파일:기동전사 건담 UC.png 기동전사 건담 UC (2010)
버나지 링크스
파일:Gundam Thunderbolt Logo.png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2016~2017)
이오 플레밍 대릴 로렌츠
파일:Mobile_Suit_Gundam_Twilight_Axis_HD_Logo.png 기동전사 건담 Twilight AXIS (2017)
아를렛 알마쥬
파일:MSG_NT_logo.png 기동전사 건담 NT (2018)
요나 바슈타
파일:섬광의 하사웨이_로고_png.png 극장판 기동전사 건담: 섬광의 하사웨이 (2021)
하사웨이 노아(마프티 나비유 에린)
파일:기동전사 Gundam GQuuuuuuX 로고(화이트).svg 기동전사 Gundam GQuuuuuuX (2025)
아마테 유즈리하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비우주세기 헤이세이 3연작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G-gundam logo.png 기동무투전 G건담 (1994)
도몬 캇슈
파일:Gundam_Wing_Logo_Small.png 신기동전기 건담 W (1995)
히이로 유이
파일:기동신세기 건담 X 로고 small.png 기동신세기 건담 X (1996)
가로드 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비우주세기 신건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gundam_seed_logo.gif 기동전사 건담 SEED (2002)
키라 야마토 아스란 자라
파일:gundam_seed_d_logo.png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2004)
신 아스카 키라 야마토 아스란 자라
파일:gundam_seed_stargazer.png 기동전사 건담 SEED C.E.73 STARGAZER (2006)
셀레네 맥그리프 스웬 칼 바얀
파일:기동전사 건담 00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00 (2007)
세츠나 F. 세이에이
파일:attachment/logo_2.png 기동전사 건담 AGE (2011)
1부
플리트 아스노
2부
아세무 아스노
3부
키오 아스노
파일:철혈의 오펀스 로고-1.png 기동전사 건담 철혈의 오펀스 (2015)
미카즈키 아우구스 올가 이츠카
파일: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수성의 마녀 (2022)
슬레타 머큐리 미오리네 렘블랑
파일: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로고.png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2024)
키라 야마토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토미노 오리지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턴에이 건담 로고.png ∀ 건담 (1999)
로랑 세아크
파일:건담 G의 레콘기스타 로고.png 건담 G의 레콘기스타 (2014)
벨리 제남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건프라 배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external/gundam-bf.net/logo_gbf.png 모형전사 건프라 빌더즈 비기닝 G (2009)
이레이 하루
파일:external/gundam-bf.net/logo_gbf.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2013)
이오리 세이 레이지
파일:attachment/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logo_gbf_2nd.png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 (2014)
카미키 세카이 코우사카 유우마 호시노 후미나
파일:header_link01.png 건담 빌드 다이버즈 (2018)
미카미 리쿠
건담 빌드 다이버즈 리라이즈 (2019)
쿠가 히로토
건담 빌드 메타버스 (2023)
호조 리오

}}}}}}}}} ||



[1] TV로 건담이 방영된 경우 중에서는 박로미로랑 세아크 이후 건담 시리즈의 주인공을 맡은 2번째 여성 성우.[2] 이쪽도 한국에서 방영된 건담 중에서 양정화카트르 라버바 위너채민지키오 아스노 이후 3번째로 주역을 맡은 여성 성우이다. 단 메인 주인공으로서는 키오 아스노 이후 2번째. 원작의 소년다운 목소리와 귀여움이 살아나 초반부 진히로인이라 부르는 팬도 있다.[3] 1/144풀 프레임을 구현하는 RG급 정밀도를 수작업으로 만들어낸다. 현실의 RG가 3D프린팅으로 제작된다는 걸 고려하면 그야말로 괴수급.[4]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에서 카미키 세카이가 사용[5] 이 중 이지스 건담후속작에서 이지스 건담베이스로 한 주역기로 등장한다.[6] 대부분 열혈 속성인 타 작품 주인공들과 다르게 약간 내성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7] 하지만 그 이후로는 격차가 꽤 벌어지는지 유우키 타츠야와 대전 할 때마다 세이 쪽이 열세이다. 아무래도 기존의 빌드 스트라이크를 개수하며 계속 사용하는 세이와, 건프라 크리에이터라는 이명답게 다양한 상황에 맞춰 여러 건프라를 사용하는 타츠야의 차이인 듯.[8] 그리고 덤으로 라이벌인 메이징 카와구치(유우키 타츠야)도 가면 캐릭터+쓸데없이 진지한 개드립과 기행 덕에 중2병 명인으로 불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