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011 스타 버닝 건담 スターバーニングガンダム | Star Burning Gundam |
|
[clearfix]
1. 개요
건담 빌드 파이터즈 GM의 역습의 주역 건프라.2. 제원
Star Burning Gundam profile | ||
형식번호 | SB-011 | |
전고 | 18.2m | |
중량 | 78.9t | |
무장 | 빔 라이플 x1 빔 사벨 x2 실드 x1 헤드 발칸 x2 | |
빌더 | 이오리 세이 | |
파이터 | 이오리 세이 / 스포일러 | |
디자이너 | 오오카와라 쿠니오 |
3. 설명
이오리 세이가 레이지가 쓰길 기대하며 만든 완전 오리지널 건프라.[1][2] 기본적으로는 전통적인 건담의 장비만을 갖추고 있으나, 레이지가 조종할 걸 상정했기에 RG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고, 격투전에도 능하다.필살기는 "하이퍼 스타 버닝 너클".
기체의 생김새에서 단번에 알 수 있지만, 이 기체는 뒷 시간대의 건담 빌드 파이터즈 트라이의 주역기 빌드 버닝 건담의 전신이 된 건프라다. 트라이의 설정에 의하면 세이는 후에 이 기체로 제 11회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한 것 같다.
4. 작중 활약
4.1. 건담 빌드 파이터즈 시리즈
4.1.1. 건담 빌드 파이터즈 GM의 역습
건프라 마피아에 대항하여 사라진 빌드 스트라이크 코스모스의 대용으로 이오리 세이가 사용하며, 작중 세이의 언급으론 아직 제작 중이던 미완성 기체였다고 한다. 각각의 난관을 돌파하고 마피아가 훔친 빌드 스트라이크 코스모스를 상대로도 꿀리지 않는 모습을 보여줬다. 그러나 마피아가 연이어 꺼내온 사이코 짐의 맹공에 열세에 밀리고, 프라프스키 입자를 조종한 비겁한 수[3]에 위기에 몰리나 ...때마침 아일라의 아리스타를 빌려 세이의 세계에 찾아온 레이지의 활약으로 위기를 벗어나 아리스타로 입자를 재생성, 멋지게 사이코 짐을 격파한다. 이후 레이지와 세이는 약속을 지키기 위해 빌드 스트라이크 코스모스(세이) VS 스타 버닝 건담(레이지)이 맞붙게 된다.
이제는 서로 호각의 실력을 보이며, 서로의 필살기를 부딪친 뒤의 결과는 그려져 있지 않다.[4]
이후 1년 후, 세이가 세이호 학교를 졸업할 때 후속기인 빌드 버닝 건담을 만들어 트로피에 숨겨지게 된다.[5]
4.2. 다른 건담 작품
4.2.1. 건담 빌드 메타버스
3화에서 레이지와 함께 오랜만에 출현. 하지만 특별한 활약은 하지않았다.
5. 모형화
5.1. 건프라
5.1.1. HG
| |
<colbgcolor=#d23d3d><colcolor=#FFFFFF> 브랜드 | High Grade Build Fighters |
스케일 | 1/144 |
발매 | 2017년 8월 26일 |
가격 | 1,600엔 |
링크 | 제품 페이지 |
리뷰 |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
HGBF 빌드 버닝 건담의 관절 등을 유용했지만 대다수는 신규 조형으로 이루어졌다. 그래서 백팩을 비롯해 정크 부품이 제법 남는 편.
빌드 버닝 건담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썼기 때문에 가동 범위도 준수하고, 특히 손 부품이 그대로이기 때문에 포징하는 재미도 원본과 거의 같다. 고정성 좋은 클리어 파츠와 다수의 커스텀용 3mm 조인트는 덤. 다만, 빌드 계열의 고질적 어깨 빠짐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
다만 빔 라이플은 파츠 분할이 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니버스 부스터처럼 흰색 통짜 무기가 되었으며, 이 때문에 빔 라이플에 그레이와 메탈 그린 부분 도색[6]이 필수다.
6. 기타
빌드 버닝 건담이 스타 버닝 건담을 개조한 기체인지, 별개의 기체인지는 불확실하다.레이지를 위해서라고 하기에는 레이지가 사격을 절대 못하는 것도 아니고[7][8] 무기가 없어서 다른 사람의 무기를 빌린 적도 있는데 왜 모든 무기를 제거한 격투에 특화된 빌드 버닝 건담을 만든 것인지는 불명.[9][10]세이의 네이밍 센스를 생각하면 본래 스타 버닝이 아닌 빌드 버닝 건담이 되어야하겠지만[11] 그 빌드 버닝 건담이 트라이에 먼저 등장했기에 스타 버닝이란 이름이 되어버린 것으로 보인다.[12]
굳이 해석하자면, 스타 버닝 건담은 건담 빌드 파이터즈 GM의 역습 엔딩 직후 레이지가 들고 가버렸고,[13] 그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빌드 버닝 건담을 완전히 새로 만들어서 자신의 건프라의 잠재력을 레이지처럼 올바르게 다룰 수 있는 누군가를 위해 만들었을 가능성도 있다. 무장 같은 경우는 빌드 버닝 건담을 찾는 이의 취향을 위해서 배제했다고 해석할 여지는 있다.[14]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 애니메이션 작품별 주역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쇼와 (昭和)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 |||||||||||
건담 | ||||||||||||
| ||||||||||||
건담 Mk-II | Z 건담 | |||||||||||
| ||||||||||||
Z 건담 | ZZ 건담 | 강화형 ZZ 건담 | 풀 아머 ZZ 건담 | |||||||||
| ||||||||||||
리가지 | 뉴 건담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헤이세이 (平成) 1 (1989~2004)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 |||||||||||
자쿠 II 改 | 건담 NT-1 | |||||||||||
| ||||||||||||
건담 F91 | ||||||||||||
| ||||||||||||
건담 시작 1호기 | 건담 시작 3호기 | |||||||||||
| ||||||||||||
빅토리 건담 | V2 건담 | |||||||||||
| ||||||||||||
샤이닝 건담 | 갓 건담 | |||||||||||
| ||||||||||||
윙 건담 | 윙 건담 제로 | |||||||||||
| ||||||||||||
육전형 건담 | 건담 Ez-8 | |||||||||||
| ||||||||||||
건담 X | 건담 X 디바이더 | 건담 DX | ||||||||||
| ||||||||||||
윙 건담 제로(EW) | ||||||||||||
| ||||||||||||
턴에이 건담 | ||||||||||||
| ||||||||||||
스트라이크 건담 | 프리덤 건담 | |||||||||||
| ||||||||||||
임펄스 건담 | 데스티니 건담 |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 인피니트 저스티스 건담 | |||||||||
| ||||||||||||
요르문간드 | 힐돌브 | 주다 | 제곡크 | |||||||||
옥고 | 빅랭 | 61식 전차 | 육전 강습형 건탱크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레이와 (令和) (2019.5~)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 | |||||||||||
코어 건담 | 코어 건담 II | |||||||||||
| ||||||||||||
크시 건담 | ||||||||||||
| ||||||||||||
건담 에어리얼 | 건담 에어리얼 개수형 | 건담 캘리번 | ||||||||||
| ||||||||||||
라 건담 | ||||||||||||
| ||||||||||||
라이징 프리덤 건담 | 스트라이크 프리덤 건담 2식 | |||||||||||
| ||||||||||||
자쿠 II F형 | 무식별형 자쿠 II | |||||||||||
| ||||||||||||
GQuuuuuuX |
[1] 설정은 이렇지만 머리는 빼도박도 못할 샤이닝 건담이다. 다만 머리를 제외하면 건담 Mk-II의 실루엣도 보인다.[2] RG를 발동했을 때의 황금색 프레임, 발동후 전개되는 클로의 모습으로 봤을 때 빌드 버닝이 알게 모르게 갓 건담의 이미지를 가지고 온 것을 고려해서 샤이닝 건담의 모습을 차용한 듯 싶다.[3] 건프라에 공급되는 프라프스키 입자를 끊어서 움직임을 저하시키는 것.[4] 단 필살기를 사용할 때 레이지의 몸이 입자화되는 연출이 있었음을 감안하면 결착이 나기 전에 레이지가 사라졌을 가능성도 있다[5] 다만 카미키 세카이와 호시노 후미나가 발견했을 때는 겉에 돔의 장갑의 씌워져 위장되어있는 상태였던 것으로 봐선, 미리 돔의 장갑을 씌운뒤 트로피에 숨긴 걸지도.[6] 특히 빔 라이플의 메탈 그린 슬릿은 스티커로 보완할 수 있는 부분인데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7] 빔 라이플과 실드는 없어도 되지만 빔 사벨은 딱히 사라질 이유가 없다.[8] 게다가 개수된 트라이 버닝 건담 또한 무기가 없고 라이벌 격인 디나이얼 건담도 우리가 아는 빔 사벨 형태는 아니지만 유니콘 건담의 빔 톤파처럼 쓸 수 있는 빔 사벨은 기본적으로 장비했다.[9] 이건 세이가 만드는 건프라들과 비교해봐도 다소 이질적인데, 세이가 만든 오리지널 건프라들은 이 스타 버닝을 포함해 빌드 스트라이크도 빌드 건담 마크 2도 범용성을 중점으로 만든 건프라다. 이는 빌드 스트라이크의 최종형인 스타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 갤럭시 코스모스에 이르러서도 변하지 않은 점이다. 빌드 버닝 건담은 그런 이오리 세이의 건프라들 중에서도 매우 이질적인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결국엔 선제작된 빌파트 때문이라고 봐야 한다.[10] 아니면 무기를 미리 제작해뒀지만 돔의 안에 숨겨놨기 때문에 조달받지 못했다고라고 생각해볼 순 있겠지만 세이가 언급될때 세카이가 빌드 버닝 건담을 쓰는걸 이미 아는 듯 했으며 결정적으로 세이가 바보도 아니고 알면서도 일부러 빌드 버닝의 예비 파츠를 조달할 때 무기만 빼고 조달했을 리 없다.[11] 빌드 스트라이크 건담과 빌드 건담 Mk-2의 경우를 보면 알 수 있듯 세이는 자신의 오리지널 건프라에게 빌드라는 이름을 붙인다.[12] 아니면 이 건프라도 기존의 다른 건프라를 개조한 물건인 걸지도 모른다. 이경우 머리 외의실루엣이 건담 Mk-Ⅱ과 닮은 것을 감안할 때 빌드 건담 Mk-Ⅱ가 개조되었을 것이다. 실제 뒷설정으로 세계 대회로 일정이 미뤄지긴 했지만 빌드 건담 Mk-Ⅱ는 컬러링 변경 등의 개조가 예정되어있다. 거기에 이미 무버블 프레임이 구현되어있어 RG 시스템의 탑재도 쉽다고.[13] 비정사이긴 하지만, 건담 빌드 메타버스 후반에 레이지가 스타 버닝을 들고 깜짝 등장했다.[14] 작품 외적으로 HG 빌드 버닝에 3mm 조인트가 있는 부분이 여럿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