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10:38:12

이도현(기업인)

이도현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이도현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9d800>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판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4~1995)
김형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9)
이용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5)
이철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2017)
백승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22)
<rowcolor=#f9d800> 6대 7대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워드마크.svg
허병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2023 )
이도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 ||
}}} ||
<colbgcolor=#034f36><colcolor=#f9d800> 전북 현대 모터스 단장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영문 워드마크.svg
파일:이도현 전북 현대 모터스 단장 프로필 사진.jpg
이름 이도현
Lee Do-hyun
출생 1974년 3월 26일 ([age(1974-03-26)]세)
국적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학력 경기고등학교 (졸업 / 89회)
국민대학교 (경제학 / 학사)
성균관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현직 전북 현대 모터스 단장
경력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외국인 선수 통역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홍보팀장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사무국장
대한양궁협회 기획실장
대한양궁협회 사무처장
아시아 양궁 연맹 사무부총장

1. 개요2. 생애
2.1.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1.1. 외국인 선수 통역 시기2.1.2. 홍보팀장-사무국장 시기
2.2. 대한양궁협회, 아시아 양궁 연맹2.3. 전북 현대 모터스
2.3.1. 단장 시기
3. 경력4. 여담5. 관련 기사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기업인. 現 전북 현대 모터스 단장.

2. 생애

대학 졸업 후 스포츠 마케팅 회사에 입사했다.

2.1.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1.1. 외국인 선수 통역 시기

2002년 9월에 프로 농구단인 현대모비스 피버스 농구단외국인 선수 통역으로 입사했다.

당시 박승일 코치가 현대모비스 농구단의 코치 겸 통역을 맡기로 했는데 급작스레 루게릭병에 걸렸다. 그래서 구단에서 대체 인원을 물색했고 이전에 협업한 바 있는 스포츠 마케팅 회사의 직원이었던 이도현에게 통역 업무를 제안해서 이직하게 된 것이었다.

2.1.2. 홍보팀장-사무국장 시기

입사 후에 사무국 인원이 많지 않아서 통역을 비롯해 국제 업무, 홍보, 운영 등 여러 분야를 경험했다. 능력을 인정 받아 구단의 홍보팀장을 맡게 됐는데 업무에서 탁월함을 보여 사무국장의 자리까지 올랐다.

특히 2015-16 시즌부터의 사무국장 재임 시기에는 한 직장에서 오랜 기간 손발을 맞춰 온 장수 사령탑 유재학 감독을 보조하며 2018-19 시즌 통합 우승에 기여했다.

입사 후 챔피언 결정전 우승은 여섯 차례, 통합 우승은 네 차례나 경험했다.

2.2. 대한양궁협회, 아시아 양궁 연맹

2019년에는 모기업 현대자동차그룹 본사로부터 발탁 받아서 대한양궁협회의 기획실장과 사무처장을 역임했다. 대한양궁협회 소속일 당시 아시아 양궁 연맹에서의 직책 중 사무부총장직도 겸임했다.

2.3. 전북 현대 모터스

2.3.1. 단장 시기

2023년 10월 30일에 현대자동차가 산하 축구단 전북 현대 모터스의 명가 재건을 위해 이도현 사무처장을 신임 단장에 선임했다. 기존에 맡고 있던 대표이사직에 백승권 단장 사임 이후 단장직까지 겸임했던 허병길의 단장직 후임이다.

전북의 30주년을 맞아 레전드 초청 행사들은 물론, 이적 시장에서도 과감한 투자를 단행했으나 한때 12위까지 떨어지는 등 현재 팀의 성적이 저조한 상태다. 결국 수원 FC와의 홈경기 종료 후 이도현 단장이 직접 전주성 N석에 가서 팬들에게 사죄하고 앞으로의 계획을 이야기 한데 이어 단 페트레스쿠 감독의 후임으로 지난 시즌 감독 대행으로 좋은 성과를 보여준 김두현을 감독으로 데려오면서 팬들의 마음을 다시 돌리는데 성공하는듯 했다. 그러나...

중국에서 복귀 후 K리그 복귀를 준비하고 있었던 손준호가 전북이 아닌 수원 FC로 이적한다는 단독 보도가 나오면서, 급격히 팬들의 민심이 추락하게 되었다. 전북과는 세부 조건에서 차이가 있어 결렬되었고 마침 수원 FC의 단장인 최순호 단장이 직접 찾아가 이전부터 정성을 보였다는 사실까지 알려지면서 더더욱 까이는 중. 당연히 전북 팬들은 손준호가 한국 복귀 이후 전북 클럽하우스에서 재활을 한 데 이어, 전주대와의 연습경기에서도 뛰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전북으로 돌아올 것으로 다들 예상했기 때문에 충격은 더욱 큰 상황이다.

하지만 이후 밝혀진 바에 따르면, 연봉과 계약 기간이 아닌 중국에서 있었던 일에 대해 서로의 이견을 좁히지 못해 협상이 결렬되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단장과 프런트의 문제를 지적했던 전북 팬들은 어쩔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해를 하기 시작했으며 오히려 에이전트발 언론플레이에 팬들이 휘둘렸던 상황이 되어버린 꼴이 되었다.

3. 경력

4. 여담

  • 현대모비스 농구단 재직 시기 중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오랫동안 함께한 유재학 감독과 유대가 깊다. 이도현 당시 사무국장이 양궁협회로 자리를 옮긴다는 소식을 전하던 날 저녁에 함께 소주를 마셨는데 둘이서 정말 펑펑 울었다는 일화가 있을 정도다. 기사
  • 주위 또래처럼 AFKN스포츠 뉴스 등을 빠짐없이 챙기는 소위 'NBA 키즈'였다. 학창 시절에는 친구들과 함께 다른 학교를 찾아다니며 매일같이 농구장을 누볐다. 대학 졸업 후 희망 진로 역시 1순위는 프로 농구 관련 업무였다.

5. 관련 기사

'무관 굴욕' K리그1 전북, 신임 이도현 단장 중심으로 쇄신 박차
K리그1 전북 신임 단장에 이도현 전 양궁협회 사무처장
양궁협회"체육회 제공 도시락, 도쿄 현지 우리 선수들에 큰 힘 돼"
첫 '비대면 양궁대회' 코로나 이후 새로운 대회 모델 될까?
아쉬움 안고 친정 떠나는 현대모비스 이도현 사무국장
모비스가 일군 기적, 2014 윌리엄존스컵 우승
모비스 홈구장 NBA급 코트비전 보는재미 쏠쏠
'김두현 감독 선임' 전북 이도현 단장 "서정원 감독과 청두 측에 감사, 김두현 감독과 멋진 모습 그려나갈 것"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34f36> 사무국 직원
<rowcolor=#f9d800>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대표이사 정유석 (Chung Yoo-s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5년 9월
단장 이도현 (Lee Do-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4년 3월 26일
테크니컬 디렉터 박지성 (Park Ji-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년 3월 30일
<rowcolor=#034f36> 코칭스태프
<rowcolor=#f9d800>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감독 김두현 (Kim Do-H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년 7월 14일
코치 박원재 (Park Won-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4년 5월 28일
조성환 (Cho Sung-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2년 9월 10일
신용주 (Shin Yong-j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골키퍼 코치 최은성 (Choi Eun-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1년 4월 5일
피트니스 코치
<rowcolor=#034f36> 지원 스태프
<rowcolor=#f9d800>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의무 담당관 지우반 올리베이라 (Gilvan Oliveira) 파일:브라질 국기.svg 1981년
김재오 (Kim Jae-o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년 5월 29일
김병선 (Kim Byeong-s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년 5월 6일
이규열 (Lee Gyu-yueo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통역 김민수 (Kim Min-s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년 6월 8일
문건호 (Mun Geon-h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최동은 (Choi Dong-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분석관 이선구 (Lee Sun-g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김기현 (Kim Gi-hy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키트 매니저 이민호 (Lee Min-h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상
<rowcolor=#034f36> B팀 코칭스태프
<rowcolor=#f9d800> 직책 성명 국적 생년월일
B팀 감독 안대현 (Ahn Dae-hye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년 8월 20일
B팀 코치 정혁 (Jung Hy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년 5월 21일
B팀 골키퍼 코치 정부선 (Jung Boo-s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년 6월 11일
B팀 트레이너 박정훈 (Park Jung-h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3년 5월 27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