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5 22:09:02

육전형 자쿠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43951><tablebgcolor=#243951> 파일:건담0079.png[[기동전사 건담|
기동전사 건담
등장 메카닉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font-size: 0.9em"
<colcolor=#fff> 소속 [[지구연방(우주세기)|
파일:EFSF_1.png
]]
지구연방
[[지온 공국|
파일:지온 공국 국기.png
]]
지온 공국
모빌슈트 RX-78-2 건담
(G.P.A.R.T.S G파이터 | FF-X7 코어 파이터)
MS-06S 샤아 전용 자쿠 II MS-06F 자쿠 II
MS-05 자쿠 I MS-07 구프
MS-09 MS-09R 릭 돔
RX-77-2 건캐논 YMS-14 선행 양산형 겔구그 MS-14 겔구그
RX-75-4 건탱크 YMS-15 MSM-07 즈고크
RGM-79 MSM-03 곡그 MSM-04 앗가이
MSM-10 족크 MSN-02 지옹
모빌아머

기동병기
RB-79 MAM-07 그라브로 MAN-03 브라우 브로
M61 MBT 61식 전차 MA-05 비그로 MA-08 빅 잠
미데아 MAX-03 앗잠 MAN-08 엘메스
건페리 MA-04X 자쿠레로 HT-01B 마젤라 어택
DFA-03 팻 엉클
P01B 룻군 도다이 YS
큐이
▶︎ 함선
※ 1979년작 「기동전사 건담」에 출연한 기체만을 망라.
}}}}}}}}}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e><tablebgcolor=#eee> 파일: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로고.pngU.C.0079.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등장 메카닉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지구연방군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 -1px; font-size:.95em"
파일:지구연방 국기.png 지구연방군
육전형 건담 건담 Ez-8 육전형 짐 짐 스나이퍼 초기형 짐
양산형 건탱크 볼 K형 제트 코어 부스터 74식 호버트럭 61식 전차
}}}}}}}}}
[ 지온공국군 ]
}}} ||
파일:external/cfs9.blog.daum.net/470d70f50cd47&filename=476.jpg
MS-06J/JC Zaku II Ground Type

1. 개요2. 제원3. 모형화
3.1. HG
3.1.1. 구 HG (1996)3.1.2. HGUC (2002)
3.1.2.1. HG U.C. HARD GRAPH
3.1.3. HGUC 리바이브 (2020)
3.2. MG
3.2.1. Ver.1.03.2.2. Ver.2.0

1. 개요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에 등장하는 양산형 모빌슈트로, 자쿠 II F형의 우주용 스러스터를 제거하고, 대기권 내의 기동을 위하여 출력을 늘렸다. 이 문서에서는 J형 뿐만 아니라, OVA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에 등장하는 개량형인 JC형도 함께 설명한다.

수중 임무를 수행할 수는 있지만 본격적인 수륙양용 모빌슈트인 앗가이 등에는 못 미쳤다.[1] 주로 동남아시아 전선과 오스트레일리아 전선에 배치되어 자브로 공략전 중 펜릴 대에서 상당수 사용되었다.

동남아시아 전선, 즉 <08소대>에서는 J형을 약간 개량한 기체인 JC형이 등장한다. 원래는 그냥 육전용 자쿠였으나, 기존의 J형과는 다른 점이 많아서 나중에 J형의 개량형 MS라는 설정이 붙게 되었다. J형과 다른 점이라면, 오른쪽의 자쿠 쉴드에 근접전용 스파이크 3개가 달려 있고, 콕핏 해치도 일반 J형보다 훨씬 간소화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2] 작중 JC형의 네임드 파일럿은 노리스 팩커드와 8화에서 등장하는 톱 소대의 아스와 델 정도다.

<기동전사 건담 MS IGLOO 시리즈>에서도 당연하다는 듯 등장했다. 1편 2화에서 연방군의 비정규전 부대인 세모벤테 여단이 사용하여 북아메리카 대륙에 주둔한 지온 공국군의 물자 집적소를 털고 다니다가 힐돌브의 실전 운용 시험 중이었던 603부대와 교전했다. 그리고 오뎃사 작전 이후를 다룬 1편 3화에서는 완전 지상용 기체를 가지고 조정없이 우주로 도망쳤기 때문에 그냥 허우적거리다가 에게 일방적으로 학살당하는 모습이 묘사되었다. 그 외 <중력전선>에 등장한 화이트 오거도 육전형 자쿠다.

<기동전사 건담 외전 THE BLUE DESTINY>의 소설판에서는 연방군 노획 버젼의 자쿠가 등장하여 필립과 서머너가 사용하는 내용이 나오며, 소설판 설정을 차용한 게임 <G제네레이션 F>와 만화판에서도 운용 장면이 등장한다.
만화판에서는 러시아에 있는 HLV 발사기지를 공격하기 위해 합류한 연방군 기지에서도 노획기(배치 지역이 지역이다 보니 한랭지 사양이라고 한다)를 사용하는 장면이 나온다. 설정상 이 시기는 대반공 작전을 위해 제식기인 계열기들은 최대한 주력부대에 몰아주던 시기라 변경이지만 MS가 필요한 부대에는 노획한 자쿠로 땜빵을 시키는 경우가 많았다고 한다. 실제로 해당 부대에는 지휘관용으로 짐 커맨드 한대만 배치됐을 뿐 나머지 부대원은 전부 자쿠를 타고 있다.

아크 퍼포먼스의 FSS 연작 중 하나인 <광망의 아 바오아 쿠>에서는, 사이드 3에서 자비 가문에 반대하다가 연방으로 귀순한 사이드 3 출신자들로 이루어진 부대에 역시 나포한 자쿠를 배치해 주는 내용이 있는데, 사이드 3 출신자들도 지온을 부정한다는 프로파간다를 위해 미디어 노출이 많다보니 의외로 빠른 시기에 짐을 수령했기에 짐과 자쿠를 병용[3]했다. 어디까지나 프로파간다 부대인지라 상대적으로 전투는 적게 벌인 편인데 아 바오아 쿠에서는 기함 직속 호위함대 소속으로 데긴 공왕의 에스코트에 동원되었다가 콜로니 레이저 공격에 전멸했다고 한다.

연방군 나포 버젼 자쿠의 경우, 제식 채용기가 아닌 긴급사용 형태라 큰 개수는 가해지지 않은 채 도색과 소속군 표시, 통신장비 정도만 바꾸고 연방군 공용 실드 정도를 배치해 주었다. 그래도 MS를 필요로 하는 부대가 워낙 많다 보니 적지 않은 수가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후 등장하는 구프는 육전형 자쿠를 기반으로 만든 기체였다.

참고로 지구에서의 세력이 연방군에 유리해 져 더이상 지구에 전력을 투입할 일이 없게 되자, 구형이 된 데다가 쓸모가 없어진 육전형 자쿠의 핵융합로를 옥고에 사용했다고 한다.

2. 제원

MS-06J Zaku II Ground Type Profil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형식 번호 MS-06J/MS-06JC
기체 명칭 자쿠 II 육전 타입
기체 타입 양산형 육전 모빌슈트
제작 지오닉사
설계 지오닉사
소속 지온공국군
사용 지온공국군
파일럿 노리스 팩커드

아스
발주시기 UC. 0079.
최초배치 UC. 0079.
높이 17.5 m
무게 건조중량 56.2 t
전비중량 74.5 t
동력 미노프스키 타입 초밀도 핵융합 엔진
출력 976 kw
추력 로켓 스러스터 48500 kg
가속 최대 스러스터 0.65 g
센서 범위 3200 m
MS-06J Zaku II Ground Type Armaments
120mm 머신건
280mm 바주카
175mm 마젤라 어택 캐논
히트 호크
미사일 포드
크래커
MS-06J Zaku II Ground Type Picture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s-06jc.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S-06JC%28ZAKU_II%29_back.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Ms-06jc-dell.jp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s-06jc-ash.jpg
모빌슈트 설정화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Ms06jcbazookamagazine_08th.png 파일:external/vignette4.wikia.nocookie.net/Ms09_p03.jpg
극중 모습
}}} ||

3. 모형화

3.1. HG

3.1.1. 구 HG (1996)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쿠 II/모형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s-3.2|3.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 HGUC (2002)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쿠 II/모형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s-3.2.1|3.2.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2.1. HG U.C. HARD GRAPH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쿠 II/모형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s-3.2.1.1|3.2.1.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1.3. HGUC 리바이브 (202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쿠 II/모형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s-3.2.2|3.2.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MG

3.2.1. Ver.1.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쿠 II/모형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s-3.4.1|3.4.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7

3.2.2. Ver.2.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쿠 II/모형화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s-3.4.2|3.4.2]]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쿠 II/모형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최초의 수륙양용 MS인 자쿠 마린 타입이 400m까지 밖에 잠수를 못했다고 하니 그 미만일 것이다.[2] 일반 자쿠는 콕핏 해치가 가슴 왼쪽 부분이 열리는 형식인데, JC형은 가슴의 장갑판 부분이 통째 위로 열리는 방식으로 되어 있다.[3] 1소대가 짐, 2~3소대가 자쿠를 썼다고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