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7 11:53:45

짐 스나이퍼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10px -10px"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ee><tablebgcolor=#eee> 파일: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로고.pngU.C.0079.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등장 메카닉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30%; min-height:2em"
{{{#!folding [ 지구연방군 ]
{{{#!wiki style="margin:-5px 0 -5px; letter-spacing: -1px; font-size:.95em"
파일:지구연방 국기.png 지구연방군
육전형 건담 건담 Ez-8 육전형 짐 짐 스나이퍼 초기형 짐
양산형 건탱크 볼 K형 제트 코어 부스터 74식 호버트럭 61식 전차
}}}}}}}}}
[ 지온공국군 ]
}}} ||
RGM-79[G]
짐 스나이퍼
ジム・スナイパー │ GM Sniper
<bgcolor=#fff>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GM-79%28GM_SNIPER%29.jpg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s_gmsniper_b.gi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4935c><colcolor=#fff> 형식번호 RGM-79[G]
분류 선행 양산형 모빌슈트
제작 지구연방군
설계
소속
배치 U.C.0079
조종 상반신 안 콕핏에 1명
파일럿 지구연방군 병사
크기 두정고: 18.0m
중량 본체중량: 53.8t
전비중량: 66.0t
장갑재질 루나 티타늄 합금
동력원 미노프스키 이오네스코형 열핵 반응로
제네레이터 출력 1,150kW
스러스터 추력 49,000kg
센서 유효반경 6,000m
무장 X.B.Sa-G-03 빔 사벨 x 2
BLASH XBR-X-79YK 롱 레인지 빔 라이플
RGM*S-Sh-WF/S-00109 실드
디자이너 오오카와라 쿠니오 }}}}}}}}}

1. 개요2. 작중 활약3. 롱 레인지 빔 라이플4. 모형화5. 게임에서의 짐 스나이퍼6. 관련 문서

1. 개요

OVA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에 등장하는 MS. RGM-79[G] 육전형 짐의 베리에이션이다.

장거리 저격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육전형 짐을 베이스로 센서의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롱 레인지 라이플을 위한 OS를 설치하는 등의 개량을 가하였다. 그밖에는 기체 전체를 녹색으로 도장한 것 외에 육전형 짐에서 크게 달라진 것은 없었으며 짐 스나이퍼라는 명칭도 야전에서 편의상 붙인 것이다. 때문에 짐 스나이퍼 커스텀과 같은 본격적인 커스텀기와는 달리 전체적 성능은 육전형 짐 정도에 머물렀다.

2. 작중 활약

2.1.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10화에서 4기가 배치된 것이 나오고 최종화에서 이전에 파괴되어버린 양산형 건탱크를 대신해 저격임무에 투입된다. 아프사라스Ⅲ가 선빵을 치자 호출명 스나이퍼 2로 불린 기체가 빅 트레이급 육상전함 위에서 병원선인 잔지바르급 순양함 케르게렌을 격추한다. 유폭한 케르게렌에서 겨우 살아남아 추락하던 구프 플라이트 타입마저 발포 명령을 받자마자 무자비하게 그어버리는 것이 압권.[1] 이후 스나이퍼 2가 도보로 산을 올라 아프사라스Ⅲ의 후방으로 몰래 접근하여 동체 우측과 미노프스키 크래프트를 차례대로 저격하여 제압한다. 그야말로 작중 등장한 육전형 짐들의 한을 풀 듯 엄청난 활약상을 보여주지만 회수할 속셈이었던 아프사라스Ⅲ 대신 시로의 처형을 우선시한 상부의 명령에 의해 건담 Ez-8를 저격하다가 결국 재가동한 아프사라스Ⅲ의 빔 사격에 콕피트가 직격당해 그대로 전사한다.

재밌게도 기니어스 사할린이 그토록 예찬하던 무적의 아프사라스Ⅲ의 처절한 한계를 몸소 보여준 기체이다. 애당초 우주에서 강하하며 강습하는 것이 주요 전술이던 기체가 무리해서 전장 한복판에 풍선처럼 떠다녔고 큰 크기에 비해 방어 수단이 전무했기에 후방을 잡은 짐 스나이퍼 고작 한 대에게 꽤 심한 타격을 입고 제압당할 수밖에 없었던 것.[2] 향간에서 08소대 시청자들이 구프 커스텀과 본 기체를 해당 작품의 진 주인공 기체로 예찬하는 이유의 8할 가까이가 이 때문이라는 낭설이 있다.

별 의미는 없지만, 얼굴도 안나오고 통신상으로 몇 마디만 한 짐 스나이퍼 파일럿의 성우는 치바 잇신.

3. 롱 레인지 빔 라이플

<nopad>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gm-79g-sniper.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Rgm-79g-sniper-beamrifle.jpg
BLASH XBR-X-79YK 스나이퍼 빔 라이플[3]

외부로부터 에너지와 냉각제를 공급받는 방식의 장거리 저격용 빔 라이플.

고고도의 대형 목표를 수초간 조사()할 수 있는 사정거리와 나름대로 높은 위력[4]을 자랑하지만 전술한 출력, 냉각 문제로 인해 사실상의 고정포대로밖에 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단, 조사 시간을 낮추면 위력이 낮아지긴해도 단독으로도 사용할 수는 있다[5][6]. 기동전사 건담전기 Lost War Chronicles에서는 이와 같은 스탠드 얼론[7] 방식으로 짐 스나이퍼 II가 운용했다.

재미있는건 이 짐 스나이퍼는 그냥 국방색 도장에 OS만 개선되었고, 이 롱 레인지 빔 라이플이 본체라고 할 수 있는 물건이라 다른 작품에서 볼일은 거의 없지만 이 롱 레인지 빔 라이플은 여기 저기 작품에서 연방군 저격용 빔 무기로 등장률이 높은 편이다.

4. 모형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짐 스나이퍼/모형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게임에서의 짐 스나이퍼

5.1.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짐 스나이퍼/G제네레이션 시리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관련 문서


[1] 사실 이때 이산 라이야가 아프사라스Ⅲ의 저항을 보고 선수를 빼앗겼다고 말하여 애당초 케르게렌을 멀쩡히 보내줄 생각 따위는 없었다는 걸 드러낸다.[2] 때문에 현장에 짐 스나이퍼가 2대 이상이 출격 했었더라면 아프사라스는 그 자리에서 최후를 맞이했을 것이다.[3] 공식 명칭은 스나이퍼 빔 라이플 이지만, 팬들에겐 롱 레인지 빔 라이플 (LONG -RANGE BEAM RIFLE / ロングレンジ・ビーム・ライフル)로도 알려져있다.[4] 작중 대기권 이탈 중인 케르게렌을 격추한 건 로켓 연료가 가득찬 옵션 부스터의 연료탱크 부분을 일자로 쭉 긁어서 유폭시킨 것이지 한 발 뿅 쏴서 터트린게 아니다.[5] 고화력 1발분을 보통 화력 2~3발분으로 나눠 쏠 수 있다는 것.[6] 작중에서도 제네레이터 연결없이 출격한 짐 스나이퍼가 아프사라스에게 1발, EZ-8 격추를 명령받고 1발을 쏘고 나머지 1발도 쏘려고했다가 아프사라스에게 콕핏이 공격당해 기동을 정지한다. 발포 자세를 취한 것으로 보아 적어도 3발은 쏠 수 있었다는 것.[7] 선술한 고정포대식 운영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