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4 00:25:43

그라브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243951><tablebgcolor=#243951> 파일:건담0079.png[[1년전쟁|
U.C. 0079.-0080.
1년전쟁
등장 메카닉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letter-spacing: -1px; font-size: 0.9em"
<colcolor=#fff> 소속 [[지구연방(우주세기)|
파일:EFSF_1.png
]]
지구연방
[[지온 공국|
파일:지온 공국 국기.png
]]
지온 공국
모빌슈트 RX-78-2 건담
(G.P.A.R.T.S G파이터 | FF-X7 코어 파이터)
MS-06S 샤아 전용 자쿠 II MS-06F 자쿠 II
MS-05 자쿠 I MS-07 구프
MS-09 MS-09R 릭 돔
RX-77-2 건캐논 YMS-14 선행 양산형 겔구그 MS-14 겔구그
RX-75-4 건탱크 YMS-15 MSM-07 즈고크
RGM-79 MSM-03 곡그 MSM-04 앗가이
MSM-10 족크 MSN-02 지옹
모빌아머

기동병기
RB-79 MAM-07 그라브로 MAN-03 브라우 브로
M61 MBT 61식 전차 MA-05 비그로 MA-08 빅 잠
미데아 MAX-03 앗잠 MAN-08 엘메스
건페리 MA-04X 자쿠레로 HT-01B 마젤라 어택
DFA-03 팻 엉클
P01B 룻군 도다이 YS
큐이
▶︎ 함선
※ 1979년작 「기동전사 건담」에 출연한 기체만을 망라.
}}}}}}}}} ||
MAM-07
그라브로
グラブロ │ Graubro[1]
파일:MAM-07 그라브로 설정화 전면.png 파일:MAM-07 그라브로 설정화 후면.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제원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32921><colcolor=#fff> 형식번호 MAM-07
분류 수중전용 시작형 모빌아머
제작 지온 공국 MIP
소속 지온 공국군
배치 U.C. 0079
조종 본체 내 콕핏에 1명
파일럿 프라나간 븐
크기 전장: 40.2m
전폭: 26.1m
중량 본체중량: 324.1t
전비중량: 793.7t
장갑재질 불명
동력원 미노프스키 이오네스코형 열핵 반응로
제네레이터 출력 11,000kW
스러스터 추력 불명
무장 클로x2
7연장 분진 어뢰 발사관x2
대공 미사일x2
디자이너 }}}}}}}}}

1. 개요2. 설정3. 작중 활약4. 베리에이션
4.1.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사양
5. 모형화
5.1. 건프라
5.1.1. 구 키트
6. 게임에서의 그라브로

1. 개요

기동전사 건담에 등장하는 지온 공국군의 수중전용 모빌아머.

2. 설정

우주용인 MA-05 비그로와 비슷한 형태이나 건담과의 격투 장면을 보면 그 크기는 훨씬 크다. 무장은 대공 미사일[2]과 어뢰, 그리고 거대한 플렉시블 클로. 클로에는 아이언 네일이 달려 있으며, 이는 수중에서 건담의 다리를 잡고 고속으로 휘두르는 민첩성과 건담의 무릎 관절을 부러뜨리는 파워를 겸비한 위협적인 격투병기다.

수중에서 은밀히 지구연방군의 기지를 미사일로 폭격하는 모습은 마치 잠수함을 연상시키며, 두 개의 크로암, 그리고 유선형의 매끄러운 갈색 몸체는 마치 갑각류를 연상시킨다.[3]

3. 작중 활약

TVA 기동전사 건담에선 프라나간 븐이 손수 타고 즈고크 2기를 이끌고 발진해 자브로로 향하는 화이트 베이스를 가로막았으며, 대공 미사일로 화이트베이스의 캐터펄트 바닥을 관통시키거나 상술한 대로 건담을 잡아채 휘두르며 갖고 놀지만, 그러다 무릎이 부서져 움직임이 자유로워진 건담에게 콕핏에 빔 사벨을 맞고 작동을 정지, 바다 속에 가라앉다 폭발한다. 그래도 여태까지 거의 무적의 방어력이던 건담에게 람바 랄의 구프가 히트 로드로 발을 자르고 콕핏에 흠집을 낸것이 지금껏 건담에게 가장 많은 손상을 입힌 것인데, 다리 하나를 부순거니 꽤 선전한 셈이다.

코믹스 모빌슈트 건담 디 오리진에서는 프라나간 븐이 아닌 다른 병사가 조종했으며, 디자인이나 격파 과정 등은 기본적으로 원작과 유사하나 부리 부분이 위아래로 열리며 4연장 미사일 런처가 드러나는 기믹이 추가되어 있다. 또 원작과는 달리 격파 후 가라앉지 않고 그대로 떠올라서 건담이 그 위에 앉아있는 모습이 그려지기도 했다.

4. 베리에이션

  • MAM-07-X3 그라브로 시작 수중 비트 탑재형
    MSV-R에 등장. 사이코뮤 시스템이 탑재된 그라브로의 개수기. 동체 좌우에 장착된 클로를 제거하고, 그 공간에 새로운 개발된 유선식 수중용 비트가 장착되어 있다. 선체 후방에는 비트 원격 조작을 위한 복합 전송 시스템이 추가, 선체 전면 하부에는 소나돔이 추가되었다. 유선식 수중용 비트는 시작 수중형 비트로, 선체에서 분리되면 안정익을 전개하고 워터젯 추진으로 수중을 이동한다.

4.1.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사양

파일:MAM-07 그라브로(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설정화 전면.png 파일:MAM-07 그라브로(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설정화 후면.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클로 암 전개 설정화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MAM-07 그라브로(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클로 암 전개) 설정화 전면.png 파일:MAM-07 그라브로(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 (클로 암 전개) 설정화 후면.png }}}}}}}}}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에서 오랜만에 활약하는데, 원본과는 달리 비그로처럼 기수에 메가입자포가 장비되어 있으며, 물 속에서도 발사할 수 있을 정도의 고출력이다. 클로 암 안쪽에도 빔 포로 추정되는 무장이 장비되었다.

첫 등장부터 장거리에서 메가입자포 저격으로 이오 플레밍아틀라스 건담의 레일건을 날려버린 뒤 곧장 어뢰로 견제를 하는데, 아틀라스 건담이 머신건으로 대응하자 어뢰가 터지며 생긴 폭연을 가림막 삼아 접근해 서브레그 째로 아틀라스 건담의 방패를 붙잡아 옴짝달싹 못하게 만든다. 직후 클로 암의 빔포로 방패를 지지며 메가입자포를 충전하는데, 이오가 머신건을 쏘자 반대편 클로 암으로 간단히 막으면서 안전하게 충전을 끝내고는 바로 메가입자포를 쏴버린다. 그런데 이오가 서브레그를 퍼지하는 기지를 발휘하며 클로 암에서 탈출하고, 그라브로가 다시 클로 암으로 붙잡으려고 들자 발차기로 클로 암을 쳐낸 뒤 빔 사벨로 칼침을 내버려서 그 한 방에 그라브로는 콕핏이 침수되며 가라앉고 만다.

이후 수압을 버티지 못하고 공 모양으로 압축되면서 등장은 끝나지만, 나름 수륙양용으로 만들어진 연방의 건담을 상대로 시종일관 우위를 점한 것이 대단하다는 평이 많다. 실제로 그라브로의 메가입자포 때문에 서브레그를 잃고 다리의 슬러스터까지 파손된 아틀라스는 전투에서 승리했음에도 수면 위로 올라가기는커녕 그라브로와 똑같이 해저로 가라앉는 중이었고, 임기응변으로 빔 사벨을 추진기 삼아 어느 정도 상승하기는 했지만 금세 빔 사벨이 에너지 고갈로 작동이 멈추는 바람에 다시 가라앉게 되었다. 비앙카가 건캐논 아쿠아에 다시 타고 잠항해서 구해주지 않았더라면 이오도 그라브로처럼 압사 당했을 것이다.

5. 모형화

큰 덩치의 모빌아머라서 모형화는 상당히 적은 편이다. 건프라는 방영 후에 발매된 구 키트가 유일하다. 완성품 쪽에서도 가샤폰 등만 있을 뿐, 리얼 타입의 액션 피규어는 없다.

여담으로, SD 건프라는 SD건담 G제네레이션 시리즈 판촉용으로 2000년 "G제네 보너스 프라모델 프레젠트" 캠페인[4]의 스테이지 1(전 8종)[5]에 포함되어 증정된 적이 있다.

5.1. 건프라

5.1.1. 구 키트

파일:1/550 그라브로 패키지.jpg
<colbgcolor=#832921><colcolor=#fff> 스케일 1/550
발매 1981년 10월
가격 3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83292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성형색이 꽤 이질감이 있고 가동도 클로 암이 단순하게 될 뿐이다. 전용 베이스, 클로의 전개용 파츠 등이 부속되어 있다.

그라브로의 유일한 건프라 키트이다보니 아쉬운 품질을 커버하는 도색 작례를 종종 찾아볼 수 있다.

6. 게임에서의 그라브로

게임 기렌의 야망 시리즈가 그나마 그라브로를 볼 수 있는 작품이지만 지온 수륙양용 모빌슈트들이 한가닥하는 본 겜에서도 그라브로는 수중이동력만 끝내주게 좋고 정작 중요한 공격력이나 연비는 시원찮은 기체이고 비싸서 안쓰인다. 주 먹이감인 연방군의 잠수함들도 죽기 싫어서 미노프스키 입자를 왕창 뿌려대는지라 안그래도 공격력도 낮은데 연비는 꽝이라 공격을 많이 하지도 못하는데 죄다 빗나가서 비싼 값을 못해준다. 설정대로 대공 미사일(부메랑 미사일)도 재현되어있지만 이쪽은 명중률이 더 처참해서 에너지 낭비이니 쓰지 않는 것이 낫다.
[1] MSV, MSV-R 등의 일부 설정집에서는 Grublo로 소개하기도 한다.[2] 특이하게도 양 옆에 칼날이 달려 있어 부메랑처럼 약간 각도를 틀 수 있다. 이 때문인지 몇몇 매체 및 설정집에서는 '부메랑 미사일(ブーメラン・ミサイル)'로 명명하기도.[3] 작품 내 지온 공국군의 수륙양용 모빌슈트들도 해양생물의 느낌이 많이 나기에 연장선이라고 볼 수 있다. 평행세계 작품인 기동전사 건담 썬더볼트에 등장하는 이오 플레밍은 "랍스터 자식"이라고 부르기도 했다.[4] SD 건담 BB전사 제품 구매 시 1키트당 1개 보너스 프라모델 증정[5] 사이코 건담(헤드), 발바로, 라플레시아, 그라브로, 마젤라 어택, 엘메스, 볼, 아프사라스 II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