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가디르급 잠수정]]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잠수함/정 | <colbgcolor=#fefefe,#2d2f34>P-4급, 상어급, 연어급, 유고급, 033형급, 위스키급U, 8.24 영웅함(신포급), 김군옥영웅함(신포 C급), {북한 신형 원자력 잠수함} | |
어뢰정 | 셰르셴급U, P-6급, 신남급, 신흥급, 구성급, 청진급 공습 어뢰정 | ||
경비정 | T급, 마양급, 대청-(I · II)급, 하이난급, 초도급, 청주급, S·O-1급 초계정, 상하이-II급, 신포급, K-48급, 청진/차호급, 샨토우급 | ||
고속정 | 소흥급, 오사-I급, 소주급, 황봉급, 용도급 연안 고속정, 농어급, 해삼급, 신형 대잠 고속정, 신형 미사일 고속정, 신형 VSV 스텔스 고속정 | ||
초계함 | 사리원급, 트랄급U | ||
호위함 | 서호급, 크리박급U, 압록급, 두만급 | ||
구축함 | 나진급, {최현급} | ||
상륙정 | LCM/LCU | 흥남급 LCU, 한태급 LCM, 한촌급 LCM | |
LCVP | 남포급 LCVP | ||
LCPA | 공방-(I · II · III)급, 남포급(A/B) | ||
소해함 | 프로젝트 53급U, 육도급 | ||
구조함 | 고원급 | ||
기타 | 대동-B급 반잠수정, 인간어뢰 | ||
{{{#!wiki style="display:inline" dark-style="display:none" | |||
※ 둘러보기: | }}}}}}}}} |
1. 개요
연어급 잠수정은 북한이 개발한 130톤급 잠수정이다. 유고급 잠수정의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미국에서 건조한 같은 이름을 가진 새먼급 잠수함과는 별개이다.2. 제원
이전급 | 유고급 잠수정 |
최초 운용 | 1965년 |
운용 | 10여 척 |
수상배수량 | 70 ~ 95t |
수중배수량 | 120t |
전장 | 20 ~ 22m |
전폭 | 2.75m |
흘수 | 1.6m |
추진 장치 | 1축 프로펠러 결합식 MTU제 디젤 엔진 |
수상 최고 속력 | 10 ~ 11kn (약 19 ~ 20km/h) |
수중 최고 속력 | 4 ~ 8kn (약 7.4 ~ 14.8km/h) |
승조원 | 8명 |
무장 | 533mm 어뢰 발사관 2문 기뢰 ?발 |
3. 상세
선체가 매우 작아 연안에서도 아주 제한적인 작전만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최고 속도는 수상 10노트, 수중 8노트 수준이며 항속 거리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매우 짧을 것으로 예상된다. 적이 확인되면 출항하는 연안방어나 짧은 시간 동안의 기습 작전 외에는 임무 수행이 거의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작은 선체를 이용해 모선(母船, Mother Ship)에 실려있다가 이탈하는 방법으로 운용도 가능하다.무장은 533mm 어뢰 발사관 2문을 주무장으로 탑재한다.[1] 2010년 3월 26일 천안함 피격 사건이 연어급 잠수정의 533mm 중어뢰 CHT-02D 공격으로 발생했다. 필요시 어뢰 대신 기뢰를 탑재할 수 있다.
북한은 연어급 잠수정을 10척 가량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침투 전용 잠수정을 우선시하는 정책 등으로 미루어보아 30척까지 있을 수 있다는 추정도 있다. 대한민국 국방부는 연어급이 실제로 존재하는 함급이라고 밝혔다.
연어의 어감 때문에 연어급 잠수정이라는 명칭을 이상하게 여기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북한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에서 해군 함정에 수산물의 이름을 붙인 사례가 많다. 미합중국 해군도 이전에는 연어(새먼급 잠수함), 가다랑어(스킵잭급 잠수함), 홍어(스케이트급 잠수함) 등의 명칭을 사용했다.
4. 천안함 피격 사건
|
천안함 음모론에서는 북한군의 열악한 실태를 들어 '북한 잠수함이 천안함을 요격할 능력이 있나?'라는 의문을 제기한다. 하지만 국내외 군사 전문가나 밀덕들은 북한의 잠수함 전력을 조선인민군 해군의 가장 강력한 전력으로 손꼽고 있다. 로미오급 잠수함을 90년대에 복제 생산까지 할 정도로 개조나 생산 능력이 우수하고, 오래 운용한 경험이 있어 전투 능력은 낙후된 장비 이상일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북한은 이란 해군에 잠수정 수출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디르급 잠수정이 있다. #
130t급의 연어급 잠수정이 중어뢰를 탑재할 수 없다는 박선원의 주장이 있었다.[2] 하지만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한 돌고래급 잠수정도 150톤 남짓한 배수량으로 483mm 어뢰 두 발을 운용했기에 의미없는 주장이다.
또한 천안함(PCC-722)이 왜 북한 잠수정을 탐지하지 못했냐는 의혹에 대해 대잠수함 작전의 어려움을 들어 당시 천안함이 북한 잠수정을 탐지할 수 없다고 반박할 경우, 그렇다면 연어급 잠수정은 어떻게 천안함을 탐지했냐고 묻는 경우가 있다. 수상함이 잠수함을 찾는 것과 잠수함이 수상함을 찾는 것은 다르다. 먼저, 수상함은 디젤 엔진과 가스터빈 엔진을 사용하기 때문에 자함의 소음으로 인하여 소나의 성능을 100% 쓸 수 없다. 괜히 21세기 들어서 수상함들인 디젤 엔진과 가스터빈도 모자라서 전기추진시스템까지 채용하는 것이 아니다. 전기추친시스템으로 모터를 돌려서 항행할 경우 수상함의 소음이 크게 줄어 소나의 효율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북한 잠수함의 소음 억제 기술이 떨어진다한들, 전기 모터의 특성상 수상함의 가스터빈보다는 훨씬 조용하다. 만일 북한의 연어급 잠수정이 전기 모터마저 끄고 해저에 착저했거나 조류에 함체를 맡기고 표류했을 경우 모터에서 나는 소음은 사라진다. 소나가 아니더라도 잠망경을 빼들어 열상장비로 천안함을 포착 했을 수도 있다. 포항급 초계함의 레이더는 1970년대 녀석이고 먼 해상에서 사람 머리통 만한 잠망경을 탐지 못했거나 소프트웨어에서 해면 클러스터로 처리했을 가능성이 크다.[3] U보트의 전사에서도 수상함은 잠수함을 발견 못했는데 잠수함이 먼저 발견한 사례가 매우 많다.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의 활약이나 위에 언급된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의 039형 잠수함(쑹급 잠수함)이 2006년에 미합중국 해군의 항공모함 전단에 침투한 사례를 예로 들 경우 잠수함의 성능 차이를 언급하며 북한의 잠수정이 그렇게 성능이 좋을 리 있냐고 우기는 경우가 있다. 물론 장보고급 잠수함이나 039형 잠수함이 연어급 잠수정 보다 성능이 좋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천해에서 재래식 잠수함의 장점은 모터를 끄고 해저에 착저하거나 수중에 떠서 조류에 몸을 맡기고 표류할 수 있는 점이다. 이 경우 재래식 잠수함은 수중의 바위와 다를 바가 없다. 아무런 소리도 안 내는데 무슨 수로 찾겠는가? 림팩 훈련에서 대한민국 해군의 장보고급 잠수함이 이 방법을 사용하자 미합중국 해군은 족족 격침 당했다.
하지만 단점도 명확하다. 재래식 잠수함의 단점으로, 느린 속도, 자체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의 한계 등이 있다. 잠수함도 잠항 중에는 소리말고는 자체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가 없다. 잠수함이 작으면 작을수록 탑재 가능한 소나도 작고 그 소나의 신호를 처리할 전투 시스템 또한 작다. 연어급 잠수정은 매우 작기 때문에 좋은 소나 시스템을 달 수 없다. 잠수함 또한 눈을 감을 채 귀만 열고 전투를 수행해야 하며 수중 속도도 느리다. 그렇다는 것은 매복한 포인트를 벗어나 수상함대를 추격할 수 없다는 이야기다. 전시에 수상함대는 북한 잠수함이 매복할 만한 포인트 밖으로 고속으로 달려버리고 공중에 끊임없이 대잠초계기와 대잠헬기를 띄우고 소노부이를 투하하면 북한 잠수함은 할 수 있는 게 없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U보트도 처음에는 전과를 올리며 날아다녔지만 호송선단은 고속으로 갈 길을 가고 헌터킬러 전단이 끝까지 유보트를 추적하며 항공모함을 동원하여 에어갭을 없어버리고 대잠초계기가 날아다니며 소노부이를 떨구며 움직임을 봉쇄해버리자 궤멸해버렸다. 전시에 한미연합해군이 외해에서 고속 항해를 하면서 대잠항공기를 띄울 경우 북한 잠수함대도 같은 운명을 맞이할 것이다.
5. 수출
이란 해군의 가디르급 잠수정
군이나 언론에서는 이란 해군의 가디르급 잠수정을 연어급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나 이란은 북한과 군사무기 교류가 많으니...
대북제재가 심해져 수출길이 막히자 잠수정을 소말리아 해적에게 판매하려 한 정황도 포착되었다.판로 개척에 중국인을 내세워 북한 개입 사실을 감추려 했다. 중국인이 개입해 거래를 중계하다 보니 해적과 거래관계를 만드는 게 어렵다며 판매하진 못했지만 해적에게도 판매할 수 있는 가능성이 확인된 것이다. 다만 소말리아 해적이 연어급을 구입해서 어디에 사용하려는지는 의문이다.
심지어 대만 해군에게도 팔려고 시도했다고 한다. # 北, 대만 잠수함 도입사업 입찰했으나 불발 北, 작년 대만 잠수함 사업에 입찰…자체개발 연어급·상어급 제시 정확히 북한이 지난해(2018년) 대만의 잠수함 도입 사업에 연어급과 상어급을 제시하며 입찰을 시도했지만, 대만이 대북 제재 위반 우려로 북한 기술을 배제하면서 입찰이 무산되었다고 한다. 北, 작년 대만 잠수함 사업 입찰 참여 심지어 그당시 북한은 대만에 소형 잠수함 및 공기불요추진체계(AIP) 기술 판매 의향까지 타진했다고 한다. # "북한, 대만에 잠수함·AIP 기술 수출 의사 타진"
하지만 북한이 대만에 연어급을 판매하려고 했다는 뉴스는 사실이 아닐 것으로 보이는데, 대만의 잠수함 도입 계획은 미국도 참여하는 입찰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무기 수출이 금지되어 있는 북한이 입찰에 참여한다? 현실성이 전혀 없는 뉴스이다. 당장 미국에서 사실상 대만 대사관 역할을 하는 대만 경제문화대표부의 대표가 대만이 북한 잠수함이나 잠수함 관련 기술을 구매한 적이 없다고 밝히면서 대만은 유엔 회원국이 아니지만,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대북제재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 애초에 상어급 잠수정과 연어급은 수백 톤밖에 안되는 잠수정에 불과한 반면에 대만의 잠수함 계획은 2500~3000톤 정도의 체급을 가지고 있다. 상어급,연어급의 기술을 이전받는다고 하더라도 이정도 체급의 잠수함을 건조하는 것은 별개의 문제이다. 더구나 북중관계를 봐서도 북한이 대만에 잠수함 기술을 판매하려고 했다는 주장은 전혀 설득력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