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수원 장안 | 수원 권선 | 수원 팔달 | 성남 수정 | 성남 중원 |
| 박종희 | 신현태 | 남경필 | 이윤수 | 조성준 | |
| 성남 분당 갑 | 성남 분당 을 | 의정부 | 안양 만안 | 안양 동안 | |
| 고흥길 | 임태희 | 홍문종 | 이종걸 | 심재철 | |
| 부천 원미 갑 | 부천 원미 을 | 부천 소사 | 부천 오정 | 광명 | |
| 안동선 | 배기선 | 김문수 | 최선영 | 전재희 | |
| 평택 갑 | 평택 을 | 동두천·양주 | 안산 갑 | 안산 을 | |
| 원유철 | 정장선 | 목요상 | 김영환 | 천정배 | |
| 고양 덕양 갑 | 고양 덕양 을 | 고양 일산 갑 | 고양 일산 을 | 과천·의왕 | |
| 유시민 | 이근진 | 정범구 | 김덕배 | 안상수 | |
| 구리 | 남양주 | 오산·화성 | 시흥 | 군포 | |
| 전용원 | 조정무 | 강성구 | 박병윤 | 김부겸 | |
| 하남 | 이천 | 파주 | 용인 갑 | 용인 을 | |
| 김황식 | 이희규 | 이재창 | 남궁석 | 공석 | |
| 안성 | 김포 | 광주 | 연천·포천 | 여주 | |
| 이해구 | 박종우 | 박혁규 | 이한동 | 이규택 | |
| 가평·양평 | |||||
| 정병국 | |||||
| 선거 결과 | |||||
| * 의정부 문희상 사퇴 (2003.3.8.) * 광명 손학규 사퇴 (2002.5.27.) * 고양 덕양 갑 곽치영 의원직 상실 (2002.12.9.) * 용인 을 김윤식 의원직 상실 (2003.12.26.) * 안성 심규섭 사망 (2002.1.31.) | |||||
| ◀ 제15대 제17대 ▶ | }}}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여주군 여주군 일원 驪州郡 Yeoju |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72,180명 (2000) | |||||
| 상위 행정구역 | 경기도 | |||||
| 관할 구역 | 여주군 일원[1] | |||||
| 신설년도 | 1988년 | |||||
| 이전 선거구 | 여주군·이천군·용인군 | |||||
| 폐지년도 | 2004년 | |||||
| 이후 선거구 | 이천시·여주군 | |||||
1. 개요
경기도 여주군을 관할하던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이다. 소선거구제가 도입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제16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존속했다.2. 역대 국회의원 목록
| <rowcolor=#fff>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 제13대 | 정동성 |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 제14대 | 이규택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 제16대 | [[한나라당| 한나라당 ]]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2.1. 제헌 국회의원 선거
| 경기도 제21선거구 여주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조용택(趙鏞澤) | 10,991 | 2위 |
| | 33.34% | 낙선 | |
| | | 사퇴 | |
| 대한독립청년단 | |||
| 3 | 원용한(元容漢) | 21,967 | 1위 |
| [[대동청년단| 대동청년단 ]] | 66.65%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불명] | 투표율 [불명] |
| 투표 수 | [불명] | ||
| 무효표 수 | [불명] | ||
2.2. 제2대 국회의원 선거
2.3. 제3대 국회의원 선거
2.4. 제4대 국회의원 선거
2.5. 제5대 국회의원 선거
2.6.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여주군 여주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정동성(鄭東星) | 21,561 | 1위 |
| | 45.60% | 당선 | |
| 2 | 이규택(李揆澤) | 19,934 | 2위 |
| [[통일민주당| 통일민주당 ]] | 42.16% | 낙선 | |
| 3 | 조종오(趙鍾五) | 1,007 | 4위 |
| [[평화민주당| 평화민주당 ]] | 2.12% | 낙선 | |
| 4 | 권혁준(權赫俊) | 4,776 | 3위 |
| | 10.10%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62,273 | 투표율 76.89% |
| 투표 수 | 47,882 | ||
| 무효표 수 | 604 | ||
3선 현역 의원인 민주정의당 정동성 후보와 해직기자 출신인 통일민주당 이규택 후보 간 첫 맞대결이었다. 첫 대결에서는 농촌의 보수 표심과 조직력을 갖춘 정동성 후보가 승리하였다. 하지만 정동성 의원의 높은 인지도와,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 후보가 김영삼 후보를 여주군에서 두배 이상의 격차로 제친 것을 고려하면 이규택 후보가 엄청 선전한 것이었다.
2.7.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여주군 여주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정동성(鄭東星) | 21,310 | 2위 |
| [[민주자유당| 민주자유당 ]] | 44.69% | 낙선 | |
| 2 | 이규택(李揆澤) | 26,368 | 1위 |
| [[민주당(1991년)| 민주당 ]] | 55.30% | 당선 | |
| 계 | 선거인 수 | 63,223 | 투표율 76.60% |
| 투표 수 | 48,456 | ||
| 무효표 수 | 778 | ||
4년 만에 벌어진 리턴매치에서 민주당 이규택 후보가 설욕에 성공하였다.
2.8.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여주군 여주군 일원[여주]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정동성(鄭東星) | 18,232 | 2위 |
| | 40.32% | 낙선 | |
| 2 | 민호영(閔浩榮) | 2,214 | 4위 |
| [[새정치국민회의| 새정치국민회의 ]] | 4.89% | 낙선 | |
| 3 | 이규택(李揆澤) | 19,399 | 1위 |
| | 42.90% | 당선 | |
| 4 | 허정남(許正男) | 5,364 | 3위 |
| [[자유민주연합| 자유민주연합 ]] | 11.86%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67,748 | 투표율 69.36% |
| 투표 수 | 46,987 | ||
| 무효표 수 | 1,778 | ||
1승 1패를 주고 받은 가운데 치러진 두 후보 간 마지막 대결. 신한국당 정동성 후보는 여당의 조직력과 농촌 특유의 보수 표심에 기대를 걸었고, 현역 의원인 통합민주당 이규택 후보는 의정 활동 홍보와 당 대변인 경력으로 쌓은 인지도가 강점이었다. 선거 운동 기간 중 정동성 후보가 자신의 불법선거운동 비디오를 갖고 있다는 이유로 통합민주당 선거운동원을 가스총으로 위협하는 사건이 벌어졌고, 결국 이 사건이 최종 결과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이 되었다.
투표 종료 후 예측조사에서는 정동성 후보의 우세가 예상되었으나, 실제 개표 결과 1100여표 차로 이규택 후보가 재선에 성공하였다. 그리고 당선 직후 신한국당에 입당한다.
2.9.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여주군 여주군 일원 |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 1 | 이규택(李揆澤) | 17,537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41.68% | 당선 | |
| 2 | 조성우(趙成禹) | 12,431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9.55% | 낙선 | |
| 4 | 허정남(許正男) | 12,099 | 3위 |
| | 28.76% | 낙선 | |
| 계 | 선거인 수 | 72,180 | 투표율 59.60% |
| 투표 수 | 43,008 | ||
| 무효표 수 | 941 | ||
||<-8><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0a8><bgcolor=#0000a8> 16대 총선 경기 여주군 개표 결과 ||
| <colbgcolor=#eee,#353535> 정당 | 한나라당 | 새천년민주당 | 무소속 | 격차 (1위/2위) | 투표율 (선거인/표수) |
| 후보 | 이규택 | 조성우 | 허정남 | ||
| 득표수 (득표율) | 17,537 (41.68%) | 12,431 (29.55%) | 12,099 (28.76%) | + 5,106 (△12.13) | 43,008 (59.58%) |
| 여주읍 | 39.69% | 29.47% | 30.84% | △8.85 | 54.93 |
| 점동면 | 47.24% | 28.25% | 24.51% | △18.99 | 64.04 |
| 가남면 | 36.23% | 27.19% | 36.58% | ▼0.35 | 56.65 |
| 능서면 | 45.57% | 31.87% | 22.56% | △13.70 | 62.44 |
| 홍천면 | 48.76% | 29.30% | 21.93% | △19.46 | 64.59 |
| 금사면 | 48.43% | 24.45% | 27.12% | △21.32 | 66.87 |
| 산북면 | 50.41% | 28.25% | 21.34% | △22.16 | 64.45 |
| 대산면 | 35.76% | 29.91% | 34.32% | △1.44 | 64.01 |
| 북내면 | 43.98% | 28.92% | 27.10% | △15.06 | 54.53 |
| 강천면 | 40.72% | 33.59% | 25.69% | △7.13 | 66.30 |
| 후보 | 이규택 | 조성우 | 허정남 | 격차 | |
| 부재자투표 | 42.50% | 38.75% | 18.75% | △3.7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