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01:16:02

에레트나 왕조



1. 개요2. 역사
2.1. 성립2.2. 전성기2.3. 쇠퇴2.4. 카디 부르한 알 딘의 찬탈기2.5. 멸망


아나톨리아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상고대 미탄니 히타이트 트로이 미케네 문명
히타이트
신 히타이트 프리기아 리디아, 리키아, 카리아 그리스
(이오니아 / 도리스 / 아이올리스)
신아시리아 제국 리디아
메디아
고전 고대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마케도니아 제국
헬레니즘 국가
(안티고노스 / 리시마코스 / 셀레우코스 / 프톨레마이오스 / 아탈로스 / 비티니아 / 갈라티아 / 폰토스 / 카파도키아 / 콤마게네)
로마 제국
{{{#!wiki style="margin: -16px -11px" 중세 동로마 제국
우마이야 칼리파국 동로마 제국
아바스 칼리파국
동로마 제국
셀주크 제국 / 1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스미르나 / 다니슈멘드 / 멩귀치 왕조 / 아르투크 / 샤아르멘 / 살투크)
킬리키아
아르메니아
룸 술탄국 동로마 제국
룸 술탄국

니케아 제국 라틴 제국 트라페준타
제국
동로마 제국
맘루크 2차 아나톨리아 베이국
(오스만 / 카라만 / 아이딘 / 잔다르 / 게르미얀 / 에레트나 / 멘테셰 /
사루한 / 카라시 / 하미드 / 둘카디르 / 에슈레피 / 자니크 / 아히 형제단)
동로마 제국
라마잔 카라만 / 잔다르 / 둘카디르 오스만 술탄국
}}} ||
근현대 오스만 제국
앙카라 정부
[[튀르키예 독립 전쟁|
그리스
영국
이탈리아
프랑스
]]
튀르키예 공화국 }}}}}}


1. 개요

1336년부터 1381년/1399년까지 아나톨리아 중동부 지역을 통치했던 왕조. 왕조를 개창한 에레트나는 본래 일 칸국의 장군 출신이였다. 14세기 중반에 카라만 왕조와 함께 아나톨리아 내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 중 하나였으나, 에레트나 사후 벌어진 내전으로 인하여 쇠퇴하였다. 이후 1381년 권신 카디 부르한 알 딘에게 술탄위를 찬탈당했으며, 1399년 오스만 술탄국의 술탄 바예지트 1세의 침공으로 완전히 멸망했다.

2. 역사

파일:Beylicats_d%u2019Anatolie_vers_1330-en.svg

2.1. 성립

에레트나 왕조의 시조인 에레트나는 본래 일 칸국아나톨리아 총독이던 하산 부즈루그의 휘하 장군이였다. 그러나 하산 부즈루그가 일 칸국 중앙 정권의 정쟁에 개입하여 자리를 비우게 되자, 1336년에 아나톨리아의 새로운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하지만 에레트나 왕조는 당시 일 칸국의 붕괴로 혼란하던 주변의 정세로 인해 주변의 침략을 받게 되었다. 1330년대부터 1340년대 초까지 둘카디르 왕조, 추판 왕조 등의 주변 세력들이 에레트나 왕조를 공격해왔으며, 특히 추판 왕조는 에르진잔, 에르주룸 등을 점령하고 에레트나를 크게 위협했다. 다행히 1343년 에레트나가 추판 왕조의 침공군을 크게 물리쳤으며, 에레트나는 술탄을 칭하고, 카이세리수도로 정하여 완전한 독립을 선포하게 된다. 엄연한 술탄국인데도 불구하고 다른 아나톨리아 베이국과 동급 취급을 받는다

2.2. 전성기

건국 이후 에레트나 왕조는 과거 일 칸국아나톨리아 내에서 가지고 있던 세력을 계승하여 앙카라 동쪽부터 에르진잔까지 이르는 광활한 영토를 확보해 사실상 아나톨리아 동부 지역을 석권하였다. 에레트나는 일 칸국 붕괴 이후의 내전에서는 본래 자신의 상관이였던 하산 부즈루그가 세운 왕조인 잘라이르 왕조를 지지하였고, 1343년 이후 추판 왕조는 점차 쇠퇴하였으며, 잘라이르 왕조가 추판 왕조를 격파하고 1357년에는 끝내 멸망시키면서 에레트나 왕조는 외세의 위협에서 벗어나게 된다. 에레트나 왕조는 아나톨리아 최강국으로서 스미르나 십자군 때 아이딘 왕조를 지원하는 등 기존에 카라만 왕조가 하고 있던 아나톨리아의 왕초 노릇을 대신했고, 1350년에 카라만 왕조의 베이 아흐메트를 죽이고 콘야를 잠시 점령하는 등 카라만 왕조를 에레트나 왕조의 신질서 아래에 편입시키는데 성공하였다.

2.3. 쇠퇴

1352년 왕조의 시조 에레트나는 사망했고, 그의 아들 기야스 알 딘 메흐메트가 술탄위를 계승하였다. 그러나 이후 에레트나 왕조는 1354년 메흐메트의 이복동생 자파르가 술탄위를 찬탈하는 것을 시작으로 내전에 휩싸여 쇠퇴하기 시작한다. 내전에 패배하여 술탄위를 찬탈당한 메흐메트는 카라만 왕조로 달아났다가 1355년 아히 베이국의 도움을 받아 술탄위를 되찾았고, 자파르는 맘루크 왕조 치하의 이집트로 쫓겨났다. 이로 인해 맘루크 왕조와 에레트나 왕조의 관계가 악화되었고, 1361년 메흐메트는 맘루크 왕조를 두려워하던 둘카디르 왕조와 동맹을 맺고 당시 맘루크 왕조의 영토이던 말라티아를 공격하기에 이른다. 메흐메트는 말라티아를 점령하는데 성공하였으나, 다마스쿠스의 맘루크 총독이 이끌고온 2만4천 대군에게 패하여 말라티아를 잃고 만다.

메흐메트의 원정이 실패로 돌아간 이후 그의 정치적 입지는 몰락했고, 1363년에 또 다시 반란이 일어나자 메흐메트는 이번에는 맘루크 왕조의 영토인 시리아로 달아난다. 이후 메흐메트는 1365년에 또 다시 복위에 성공하지만, 그 직후 그의 13살짜리 아들 알리를 술탄으로 옹립한 반군 세력에 의하여 살해당하고 만다. 메흐메트의 치세 이후 에레트나 왕조의 영토는 점차 축소되었다. 흑해 연안의 카닉 베이국이 에레트나 왕조의 영향권에서 독립해나갔으며, 아마시아와 에르진잔 등의 주요 도시들도 독립하였다. 서쪽과 동쪽 끝의 영토는 오스만 베이국백양 왕조에 의하여 상실하였다.

2.4. 카디 부르한 알 딘의 찬탈기

1381년, 에레트나 왕조의 마지막 술탄이던 메흐메트 첼레비가 사망하였고, 에레트나 왕조의 권신이던 카디 부르한 알 딘이 에레트나 왕조의 세력을 장악하고 술탄을 칭했다. 이후 카디 알 부르딘은 독립했던 에르진잔을 비롯한 에레트나 왕조의 실지를 일부 수복하는데 성공하였다. 카디 부르한 알 딘의 통치 기간 동안에는 오스만 술탄국, 카라만 왕조, 잔다르 왕조, 맘루크 왕조, 백양 왕조 등과의 치열한 전쟁이 벌어졌다. 1387년, 카디 부르한 알 딘은 맘루크 왕조와의 전쟁에서 패한 뒤 맘루크 왕조의 패권을 인정하고, 맘루크 왕조와 힘을 합쳐 동쪽의 영토를 위협하던 백양 왕조에 대항하는 것으로 노선을 변경한다. 그러나 아마시아와 에르진잔이 그의 지배에 반기를 들자 카디 부르한 알딘은 이번엔 백양 왕조와 동맹을 맺고 반군을 진압하였다. 한편 이 시기 서부 아나톨리아를 사실상 평정한 오스만 술탄국의 술탄 바예지트 1세는 당시 오스만 술탄국의 봉신이던 동로마 제국의 황제 마누일 2세까지 종군시켜 1391년 에레트나를 침공하였다. 그러나 카디 부르한 알 딘은 바예지트 1세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었고, 이는 바예지트 1세의 동진을 멈추는 결과를 낳았다. 이렇듯 카디 부르한 알 딘은 유연한 외교 정책과 출중한 군사 능력으로 20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계속되는 외세의 침략을 막아내며 에레트나를 지켜내었다.

2.5. 멸망

1398년, 카이세리에서 카디 부르한 알 딘에 대항한 반란이 일어났고, 이와 동시에 백양 왕조가 대대적으로 에레트나를 침공해왔다. 이러한 동시다발적인 위협을 이겨내지 못한 카디 부르한 알 딘은 결국 백양 왕조와의 전쟁에서 패배했고, 포로가 된 후 처형당했다. 그의 사후 그의 아들인 알 아비딘이 술탄위를 계승하였지만, 오스만 술탄국의 침공을 막지 못하여 점복당하면서 에레트나는 1399년에 최종 멸망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