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7 13:41:32

에드손 알바레스

에드손 알바레즈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749><tablebgcolor=#002749>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2025-26 시즌 스쿼드
}}} ||
1 에리바야트 · 4 찰라르 · 5 윅세키 · 7 프레드 · 8 얀다시 · 9 아크튀르크올루ㆍ10 J. 두란
11 알바레스 · 16 뮐뒤르 · 17 카흐베지 · 19 엔네시리 · 21 M. 아센시오 · 22 메르잔 · 23 토순
24 오스터르볼더25 체틴 · 25 엘마즈 · 27 세메두 · 31 에데르송 · 33 브라운 · 37 슈크리니아르
45 도르겔레스 · 50 베캉ㆍ53 시만스키 · 70 아이딘 · 94 A. 탈리스카 · 95 악치체크
감독
파일:UEFA GER.png 도메니코 테데스코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에드손 알바레스의 역임 직책
{{{#!folding ▼
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기예르모 오초아
(2023~2024)
에드손 알바레스
(2024~)
현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 bordercolor=#000>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북중미카리브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주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트라욘

파일:가이아나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로난
오테르빌

파일:Ligue Guadeloupéenne de Football.png
헤라르도
고르디요

파일:Guatemala_National_Football_team_badge.png
AJ
패터슨

파일:Grenada_FA_Logo.png
후안
바레라

파일:니카라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타노
보닌

파일:Dominican Republic football federation.png
글렌슨
프린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ominica_FA.png
세바스티안
크레티누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tinique_FA.png
에드손
알바레스

파일:멕시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
라일
테일러

파일:몬트세랫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크리스천
풀리식

파일: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J.C.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irgin_islands_soccer.png
라샤드
줄스

파일:Barbados Football Association.png
레슬리
세인트플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ahamas_FA.png
단테
리버록

파일:BermudaFA.png
이안
가이나르

파일:벨리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공석
파일:ederashon Futbòl Bonairiano.png
케빈
존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int-Martin_FA_%282014%29.png
페르날
윌리엄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aint_Lucia_FA.png
코넬리우스
스튜어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t.vincent_football.png
라힘
소머셀


파일:attachment/001_4.png
라이언
동크

파일:수리남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요바니
안토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int-Maarten_FA.png
에릭
압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rubaanse_Voetbal_Bond.jpg
조니
플라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ederation_Haitienne_de_Football.png
퀸튼
그리피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ntigua_and_Barbuda_Football.png
공석
파일:앵귈라 축구 대표팀 아이콘.png
알렉스
롤단

파일:엘살바도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트로이
케이사

파일: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로멜
퀴오토

파일:온두라스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안드레
블레이크

파일:Jamaica JFF.png
알폰소
데이비스

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조슈아
프레더릭찰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ayman_Islands_FA.png
케일러
나바스

파일:코스타리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2022~).svg
아리첼
에르난데스

파일:쿠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쿠코
마르티나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ura%C3%A7ao_Federation.png
빌리
포브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Turks_%26_Caicos_Islands_Football_Association_%282015%29.png
칼림
하일랜드

파일:Trinidad_and_Tobago_Football_Association.png
해럴드
커밍스

파일:Panamanian Football Federation.png
자레크
발렌틴

파일:푸에르토리코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티에리
드네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French_Guiana_LFG.png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아시아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북중미카리브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미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오세아니아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주장
}}}}}}}}} ||
}}} ||
에드손 알바레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gc-dark-horizontal-s-en.svg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
파일:GzBopujXgAAUWrh.jpg
<colbgcolor=#002749><colcolor=#ffef00> 페네르바흐체 SK No. 11
에드손 알바레스
Edson Álvarez
본명 에드손 오마르 알바레스 벨라스케스
Edson Omar Álvarez Velázquez
출생 1997년 10월 24일 ([age(1997-10-24)]세)
멕시코주 틀랄네판틀라 데 바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멕시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멕시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멕시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7cm / 체중 73kg
포지션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2749><colcolor=#ffef00> 유스 클루브 아메리카 (2014~2016)
선수 클루브 아메리카 (2016~2019)
AFC 아약스 (2019~2023)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23~ )
페네르바흐체 SK (2025~ / 임대)
국가대표 94경기 7골[1] (멕시코 / 2017~ )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2749><colcolor=#ffef00> 등번호 멕시코 대표팀 - 4번
AFC 아약스 - 4번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 4번, 19번
페네르바흐체 SK - 11번
후원사 아디다스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같이 보기

1. 개요

멕시코 국적의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수비형 미드필더.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드손 알바레스/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드손 알바레스/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드손 알바레스/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2017년 2월 8일, 아이슬란드와의 친선경기로 국가대표팀에 데뷔하였다. 이후 멕시코 대표팀의 오른쪽 풀백 위치에서 주전 자리를 차지하며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에도 참가하였다.

대한민국과의 조별리그 2차전에서도 풀타임 출전해 준수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3차전 스웨덴전에서는 0-2로 뒤쳐지던 상황에서 자책골을 넣으며[2] 멕시코의 16강 전망을 어둡게 만들었으나 대한민국이 카잔의 기적을 시전하면서 역적이 되는 것은 피했다.

수비형 미드필더로 포지션을 변경한 이후에도 팀의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2019년 CONCACAF 골드컵 우승에 공헌했다. 2021년 대회에서도 결승에 진출했으나 미국에 패배해 준우승을 거뒀다.

한편, 카타르 월드컵 최종예선에서도 맹활약하며 월드컵 본선 진출을 견인했고, 조별리그에서는 2차전을 제외한 나머지 경기를 출전했으나 대표팀은 조 3위로 16강 진출에 실패했다.

2024 코파 아메리카 미국 조별리그 1차전 자메이카햄스트링 부상[3]을 입으며 30분 만에 루이스 로모와 교체되었다. 이후 꽤 큰 부상이었는지 남은 조별리그 2경기를 출전하지 못했고, 대표팀은 조 3위[4]를 기록하며 8강 진출에 실패했다.

2025 CONCACAF 골드컵 1차전 도미니카 공화국과의 경기에서 전반 44분 선제골을 넣었고, 후반 8분에는 세사르 몬테스의 골을 어시스트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로 3선에서 수비적인 역할을 도맡는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를 소화하지만, 센터백도 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가대표 선배인 라파엘 마르케스와 닮았다.

190에 가까운 큰 피지컬과 수비력을 갖춘 홀딩 미드필더로, 4백 앞에 위치해 그들을 보호하고 수비 시 위치를 선점한 후 공을 끊어내거나 1대1 대인수비를 통해 경합을 자주 시도한다. 특히 키가 큰 선수라, 마테이스 더리흐트 이적 후 세트피스나 공중볼 등 높이를 활용하는 지표에서 열세를 드러내는 아약스에서 돋보인다.

또한 아약스 시스템에서 주전으로 뛸 정도로 발밑을 잘 갖추었고 볼 배급력도 상당하다. 수비진 앞에 위치해 있을 때, 빌드업 시 한 칸 아래로 내려와서 빌드업의 수를 늘려주는 라볼피아나 움직임을 자주 가져간다. 공을 골키퍼로부터 받은 이후 패스를 배급하는데, 전진패스를 많이 시도하지만, 상대의 파이널 서드로 바로 향하는 등 위협적인 로빙 패스보다는 안정적인 숏패스와 스루패스를 시도한다. 때에 따라서는 과감하게 롱패스를 뿌려주거나 본인이 직접 드리블로 공을 운반하는데, 특히 22-23시즌에는 에러디비시 볼 운반 시도 1위를 달성했을 정도.[5]

다만, 발이 빠른 편은 아니라 마크 맨을 놓칠 때 역습을 그대로 허용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발이 느린 대신 수비 위치선정을 바탕으로 수비를 하지만, 종종 볼을 운반하거나 압박 수비가 벗겨진 후에 수비로 전환하는 속도가 너무 느리다. 이 때문에 카드를 수집하는 횟수도 많은 편.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 맨시티가 드림 클럽이며 어렸을 때부터 가장 좋아했던 팀이라고 밝혔다. 또한 언젠가 프리미어 리그에서 뛰고 싶다고 말하며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클럽인 맨시티에서 뛴다면 완벽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6]

7. 같이 보기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페네르바흐체 SK 2024-25 시즌 스쿼드
<rowcolor=#002749>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르판 칸 에리바야트 İrfan Can Eğribayat
4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찰라르 쇠윈쥐 Çağlar Söyüncü
5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마엘 윅세키 İsmail Yüksek
7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프레드 Fred
8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르트 하칸 얀다시 Mert Hakan Yandaş
11 MF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드손 알바레스 Edson Álvarez [1]
13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타륵 체틴 Tarık Çetin
17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르판 잔 카흐베지 Irfan Can Kahveci
18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르트 뮐뒤르 Mert Müldür
19 FW 파일:모로코 국기.svg 유세프 엔네시리 Youssef En-Nesyri
20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젠기즈 윈데르 Cengiz Ünder
21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르코 아센시오 Marco Asensio
22 MF 파일:독일 국기.svg 레벤트 메르잔 Levent Mercan
23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젠크 토순 Cenk Tosun
24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제이든 오스터펠더 Jayden Oosterwolde
28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르투 엘마즈 Bartuğ Elmaz
31 GK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데르송 Ederson
33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치 브라운 Archie Brown
37 D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밀란 슈크리니아르 Milan Škriniar
39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엔긴 잔 비테르게 Engin Can Biterge
40 GK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c Livakovic
50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호드리구 베캉 Rodrigo Becão
53 MF 파일:폴란드 국기.svg 세바스티안 시만스키 Sebastian Szymański
54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스만 에르투울 체틴 Osman Ertuğrul Çetin
70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우즈 아이딘 Oğuz Aydin
77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오그넨 미모비치 Ognjen Mimovic
94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안데르송 탈리스카 Anderson Talisca
95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유수프 악치첵 Yusuf Akçiçek
구단 정보
회장: 에롤 빌레지크 / 감독: 도메니코 테데스코 / 홈 구장: 페네르바흐체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출처: 페네르바흐체 SK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09월 02일

[1]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

}}}}}}}}} ||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루이스 말라곤
Luis Malagón
1997년 3월 2일 ([age(1997-03-02)]세) 6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아메리카
12 라울 랑헬
Raúl Rangel
2000년 2월 25일 ([age(2000-02-25)]세) 2 0 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
13 기예르모 오초아
Guillermo Ochoa
1985년 7월 13일 ([age(1985-07-13)]세) 150 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AEL 리마솔
DF 2 호르헤 산체스
Jorge Sánchez
1997년 12월 10일 ([age(1997-12-10)]세) 45 1 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
3 세사르 몬테스
César Montes
1997년 2월 24일 ([age(1997-02-24)]세) 49 1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5 요한 바스케스
Johan Vásquez
1998년 10월 22일 ([age(1998-10-22)]세) 29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제노아 CFC
6 헤수스 오로스코
Jesús Orozco
2002년 2월 19일 ([age(2002-02-19)]세) 7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
23 브라얀 곤살레스
Bryan González
1997년 10월 31일 ([age(1997-10-31)]세) 1 0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파추카
26 로드리고 우에스카스
Rodrigo Huescas
2003년 9월 18일 ([age(2003-09-18)]세) 1 0 파일:덴마크 국기.svg FC 코펜하겐
27 헤수스 앙굴로
Jesús Angulo
1998년 1월 30일 ([age(1998-01-30)]세) 17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
MF 4 에드손 알바레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Edson Álvarez
1997년 10월 24일 ([age(1997-10-24)]세) 80 5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7 루이스 로모
Luis Romo
1995년 6월 5일 ([age(1995-06-05)]세) 56 4 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
8 카를로스 로드리게스
Carlos Rodríguez
1997년 1월 3일 ([age(1997-01-03)]세) 54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
14 마르셀 루이스
Marcel Ruiz
2000년 10월 26일 ([age(2000-10-26)]세) 1 0 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15 세바스티안 코르도바
Sebastián Córdova
1997년 6월 12일 ([age(1997-06-12)]세) 18 3 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
16 디에고 라이네스
Diego Lainez
2000년 6월 9일 ([age(2000-06-09)]세) 29 3 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
17 오르벨린 피네다
Orbelín Pineda
1996년 3월 24일 ([age(1996-03-24)]세) 76 11 파일:그리스 국기.svg AEK 아테네 FC
18 안드레스 과르다도
Andrés Guardado
1986년 9월 28일 ([age(1986-09-28)]세) 180 28 파일:멕시코 국기.svg 클루브 레온
19 오시엘 에레라
Ozziel Herrera
2001년 5월 25일 ([age(2001-05-25)]세) 7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티그레스 UANL
20 에릭 리라
Érik Lira
2000년 5월 8일 ([age(2000-05-08)]세) 5 0 파일:멕시코 국기.svg 크루스 아술
24 오베드 바르가스
Obed Vargas
2005년 8월 5일 ([age(2005-08-05)]세) 1 0 파일:미국 국기.svg 시애틀 사운더스 FC
25 로베르토 알바라도
Roberto Alvarado
1998년 9월 7일 ([age(1998-09-07)]세) 43 5 파일:멕시코 국기.svg CD 과달라하라
FW 9 라울 히메네스
Raúl Jiménez
1991년 5월 5일 ([age(1991-05-05)]세) 105 3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10 알렉시스 베가
Alexis Vega
1997년 11월 25일 ([age(1997-11-25)]세) 32 6 파일:멕시코 국기.svg 데포르티보 톨루카 FC
11 헤르만 베르테라메
Germán Berterame
1997년 3월 24일 ([age(1997-03-24)]세) 1 0 파일:멕시코 국기.svg CF 몬테레이
21 세사르 우에르타
César Huerta
2000년 12월 3일 ([age(2000-12-03)]세) 19 3 파일:벨기에 국기.svg RSC 안데를레흐트
22 기예르모 마르티네스
Guillermo Martínez
1995년 3월 15일 ([age(1995-03-15)]세) 7 2 파일:멕시코 국기.svg 푸마스 UNAM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5일
}}}}}}}}}}}} ||
[1] 2025년 9월 7일 기준[2] 더군다나 헛발질을 하고 손에 맞고 들어갔다.[3] 파일:알바레스 햄스트링 부상.jpg[4] 3경기 동안 1실점에 그치며 탄탄한 수비를 보여주었지만, 문제는 득점도 1회에 그치는 빈공에 시달린 탓에 조별리그 탈락을 면치 못했다.[5] 총 798회를 시도했으며, 2위는 780개를 시도한 동료인 위리엔 팀버르.[6] 출처[7] 둘 다 성이 알바레스고 번호도 19번으로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