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8 07:36:43

케렘 아크튀르크올루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749><tablebgcolor=#002749>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2025-26 시즌 스쿼드
}}} ||
1 에리바야트 · 4 찰라르 · 5 윅세키 · 6 지쿠 · 7 프레드 · 8 얀다시 · 9 아크튀르크올루ㆍ10 J. 두란
11 알바레스 · 16 뮐뒤르 · 17 카흐베지 · 19 엔네시리 · 21 M. 아센시오 · 22 메르잔 · 23 토순
24 오스터르볼더25 체틴 · 25 엘마즈 · 27 세메두 · 31 에데르송 · 33 브라운 · 37 슈크리니아르
45 도르겔레스 · 50 베캉ㆍ53 시만스키 · 70 아이딘 · 94 A. 탈리스카 · 95 악치체크
감독
파일:UEFA GER.png 도메니코 테데스코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케렘 아크튀르크올루의 수상 이력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쉬페르리그 로고.svg
베스트팀
파일:쉬페르리그 로고.svg
}}} ||
<nopad> 파일:20250904_202306.jpg
<colbgcolor=#002749><colcolor=#ffef00> 페네르바흐체 SK No. 9
케렘 악튀르크오을루[1]
Kerem Aktürkoğlu
본명 <colbgcolor=#fff,#191919>무함메트 케렘 악튀르크오을루
Muhammed Kerem Aktürkoğlu[2]
출생 1998년 10월 21일 ([age(1998-10-21)]세)
튀르키예 이즈미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튀르키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튀르키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73cm / 체중 68kg
포지션 윙어, 공격형 미드필더, 세컨드 스트라이커
주발 오른발
유소년 클럽 괼쥑스포르[3] (2011~2013)
히사레인스포르[4] (2013~2014)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14~2015)
소속 클럽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015~2018)
보드룸스포르 (2016~2017 / 임대)
카라자베이 벨레디예스포르[5] (2018~2019)
아나골드 24 에르진잔스포르 (2019~2020)
갈라타사라이 SK (2020~2024)
SL 벤피카 (2024~2025)
페네르바흐체 SK (2025~ )
국가대표 47경기 13골[6] (튀르키예 / 2021~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1. 개요

튀르키예 국적의 페네르바흐체 SK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

2. 클럽 경력

2.1. 유소년 및 경력 초기

바샥셰히르 유스를 거쳤으나, 1군에 데뷔하지 못하고 보두룸스포르로 임대를 떠나야 했다. 임대 복귀 후에도 1군에 정착하지 못하자 2018년에 카라자베이(Karacabey)로 이적하여 활약하였다. 2019-20 시즌 24 에르진잔스포르(24 Erzincanspor)에서 리그 30경기에 나서 20골을 기록하며 3부리그를 평정했고, 특히 리그 컵에서 1부리그 강팀인 베식타스와의 경기에서 활약 등에 힘입어 2020년 10월 2일에 자국의 제일가는 명문팀인 갈라타사라이로 이적할 수 있었다.[7]

2.2. 갈라타사라이 SK

갈라타사라이에 입단한 아크튀르크올루는 11월 20일 카이세리스포르를 상대로 쉬페르리그 무대 데뷔전을 치렀다. 첫 시즌은 29경기에 나서 6골을 기록했고, 팀은 득실에서 딱 1점 모자라 아쉽게도 베식타스에게 리그 타이틀을 내주었다.

2021년 8월 16일, 기레순스포르와의 리그전 도중 후반 21분에 팀 동료 마르캉과 심한 언쟁을 벌였다. 그러다 마르캉이 그에게 달려들어 머리를 들이받은 뒤 주먹으로 가격하는 추태를 보였고, 예상치 못한 상황에 갈라타사라이 선수들은 물론 기레순스포르 선수들까지 나서 두 선수를 말렸다. 주심은 VAR을 거친 끝에 마르캉에게 퇴장을 지시했다. 당연히 이와 같은 황당한 상황에 해외는 물론이고, 갈라타사라이 팬들도 어이없어하며 마르캉을 거세게 비난했다. 결국 마르캉은 후에 SNS에 동영상을 업로드를 하며 사과를 했고, 8경기 중징계 처분을 받았다.

2021-22 시즌 종료 후에는 아스날의 관심을 받기도 했었고 2022-23 시즌 중에는 리버풀와 링크가 뜨고 있다.

2.2.1. 2022-23 시즌

2022-23 시즌에는 무슬레라, 고미에 이어 주장단에도 포함되었으며, 총 38경기 10골 14도움을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를 갱신했으며, 팀의 5년 만의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본인 역시 커리어 첫 우승 트로피와 함께 쉬페르리그 도움왕에 올해의 팀에도 선정되었다.

2.2.2. 2023-24 시즌

이번 시즌에도 주전 미드필더로 나서고 있으며, 팀이 리그에서 무패행진, 챔스에서는 2차 예선부터 시작해 본선까지 진출하는 데에 크게 기여를 하고 있다.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2차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원정에서 1:2로 뒤지던 후반 25분, 바르쉬 알페르 일마즈의 컷백을 원터치 이후 마무리지으면서 동점골을 만들었다. 팀은 이후 마우로 이카르디의 역전골에 힘입어 잉글랜드 원정에서 처음으로 승리를 거뒀다.

시즌 중에는 토트넘 홋스퍼와 링크가 뜨고 있다. 팀 토크에 의하면, 토트넘은 같은 팀 선수인 사샤 보이, 빅토르 넬손과 함께 노리는 자원 중 가장 주목하고 있는 선수라고 한다.

UEFA 챔피언스 리그 조별리그 5차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와의 홈 경기에서 2-3으로 지고 있던 후반 25분 지예흐의 침투 패스를 완벽한 터치 후 벼락 같은 슈팅으로 연결하며 동점골을 성공시켰다.

UEFA 챔피언스 리그 5차전 맨유를 상대로 중거리 골을 만들어냈다.

이번 시즌, 골잡이 마우로 이카르디(32골)에 이어 팀내 최다 득점 2위(15골)로 맹활약하며 쉬페르리그 2년 연속 우승에 크게 기여했다.

2.3. SL 벤피카

2024년 9월 3일, 프리메이라 리가 명문 SL 벤피카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9년까지이며 이적료는 €11m.

2.3.1. 2024-25 시즌

이적하자마자 챔피언스 리그 2경기 연속 득점 등 뛰어난 폼을 보이며 벤피카의 공격 한 축으로 맹활약 중이다.

2025년 8월, 페네르바흐체 SK와 링크가 뜨고 있다.

2.3.2. 2025-26 시즌

페네르바체와의 챔스플레이오프전에 결승골을 기록하면서 팀을 챔피언스 리그에 진출시켰다.갈라타사라이팬의 환희

이후 로마노의 HERE WE GO가 뜨며 페네르바체의 이적이 확정되었다.갈라타사라이팬의 분노

2.4. 페네르바흐체 SK

3. 국가대표 경력

2021년 5월 27일, 아제르바이잔과의 친선전을 통해 A대표팀에 데뷔했다.

2024년 6월 19일, 조별리그 F조 첫 경기인 조지아와의 경기에서 2-1로 앞서던 후반 교체 투입되었다. 그리고 후반 종료를 앞두고 상대 골키퍼 기오르기 마마르다슈빌리까지 골문을 비운 채로 공격에 가담한 코너킥 상황에서 사메트 아카이딘이 박스 바깥에서 볼을 받은 산드로 알투나슈빌리에게 압박을 가해 볼을 빼앗은 뒤 바로 그에게 건냈고, 이후 빠른 스피드로 박스 앞까지 질주한 뒤 여유롭게 빈 골대로 차 넣으면서 쐐기골이자 자신의 국제 메이저대회 데뷔골을 기록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주 포지션은 왼쪽 윙어로, 왼쪽에서 측면 돌파 후 중앙으로 침투하는 인버티드 윙어의 모습을 보여준다.

빠른 스피드를 보유하고 있는데, 특히 순간 가속도가 워낙 빨라서 수비수와의 1대1 상황에서 순간적으로 가속해서 상대방을 재껴낸다.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드리블 시에는 양발을 다 잘 써서 간단한 기술만으로도 수비수들을 잘 벗겨내는 크랙 유형의 윙어다. 킥력도 좋아서 갈라타사라이의 세트피스 키커를 담당하고 있고 필리페 쿠티뉴야닉 카라스코처럼 박스 바깥에서 접고 들어와 감아차는 중거리슛을 자주 보여준다.

다만, 오프 더 볼 상황에서 수비에 가담하는 빈도가 적은 편이고, 피지컬이 작아서 경합 상황에서는 맥도 추리지 못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같이 보기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페네르바흐체 SK 2024-25 시즌 스쿼드
<rowcolor=#002749>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르판 칸 에리바야트 İrfan Can Eğribayat
3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디에구 카를루스 Diego Carlos
4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찰라르 쇠윈쥐 Çağlar Söyüncü
5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마엘 윅세키 İsmail Yüksek
6 DF 파일:가나 국기.svg 알렉산더 지쿠 Alexander Djiku
7 MF 파일:브라질 국기.svg 프레드 Fred
8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르트 하칸 얀다시 Mert Hakan Yandaş
11 MF 파일:멕시코 국기.svg 에드손 알바레스 Edson Álvarez [1]
13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타륵 체틴 Tarık Çetin
17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르판 잔 카흐베지 Irfan Can Kahveci
18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메르트 뮐뒤르 Mert Müldür
19 FW 파일:모로코 국기.svg 유세프 엔네시리 Youssef En-Nesyri
20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젠기즈 윈데르 Cengiz Ünder
21 FW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르코 아센시오 Marco Asensio
22 MF 파일:독일 국기.svg 레벤트 메르잔 Levent Mercan
23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젠크 토순 Cenk Tosun
24 DF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제이든 오스터펠더 Jayden Oosterwolde
28 M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바르투 엘마즈 Bartuğ Elmaz
31 GK 파일:브라질 국기.svg 에데르송 Ederson
33 D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치 브라운 Archie Brown
37 DF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밀란 슈크리니아르 Milan Škriniar
39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엔긴 잔 비테르게 Engin Can Biterge
40 GK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도미니크 리바코비치 Dominic Livakovic
50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호드리구 베캉 Rodrigo Becão
53 MF 파일:폴란드 국기.svg 세바스티안 시만스키 Sebastian Szymański
54 GK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스만 에르투울 체틴 Osman Ertuğrul Çetin
70 FW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오우즈 아이딘 Oğuz Aydin
77 DF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오그넨 미모비치 Ognjen Mimovic
94 FW 파일:브라질 국기.svg 안데르송 탈리스카 Anderson Talisca
95 DF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유수프 악치첵 Yusuf Akçiçek
구단 정보
회장: 에롤 빌레지크 / 감독: 도메니코 테데스코 / 홈 구장: 페네르바흐체 쉬크뤼 사라졸루 스타디움
출처: 페네르바흐체 SK 공식 홈페이지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09월 02일

[1]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에서 임대

}}}}}}}}} ||

{{{#!wiki style="color:#1A2842;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555555"
포지션등번호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생년월일출장클럽
<colbgcolor=#fff> GK <colbgcolor=#fff> 1 <colbgcolor=#fff> 알타이 바이은드르 <colbgcolor=#fff> Altay Bayındır <colbgcolor=#fff> 1998년 4월 14일 ([age(1998-04-14)]세) <colbgcolor=#fff> 10 <colbgcolor=#fff> 0 <colbgcolor=#fff>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12 무하메드 셴게제르 Muhammed Şengezer 1997년 1월 5일 ([age(1997-01-05)]세) 0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23 우우르잔 차크르 Uğurcan Çakır 1996년 4월 5일 ([age(1996-04-05)]세) 29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트라브존스포르
- 베르케 외제르 Berke Özer 2000년 5월 25일 ([age(2000-05-25)]세) 0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윔라니예스포르
DF 2 제키 첼리크 Zeki Çelik 1997년 2월 17일 ([age(1997-02-17)]세) 52 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S 로마
3 메리흐 데미랄 Merih Demiral 1998년 3월 5일 ([age(1998-03-05)]세) 51 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아흘리 SFC
4 사메트 아카이딘 Samet Akaydın 1994년 3월 13일 ([age(1994-03-13)]세) 11 1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13 에렌 엘말르 Eren Elmalı 2000년 7월 7일 ([age(2000-07-07)]세) 12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트라브존스포르
14 압둘케림 바르닥치 Abdülkerim Bardakcı 1994년 7월 7일 ([age(1994-07-07)]세) 16 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
16 에미르한 톱추 Emirhan Topçu 2000년 10월 11일 ([age(2000-10-11)]세) 1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베식타스 JK
18 메르트 뮐뒤르 Mert Müldür 1999년 4월 3일 ([age(1999-04-03)]세) 31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20 페르디 카디올루 Ferdi Kadıoğlu 1999년 10월 7일 ([age(1999-10-07)]세) 22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
- 칸 아이한 Kaan Ayhan 1994년 11월 10일 ([age(1999-11-10)]세) 66 5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
MF 5 오카이 요쿠슐루 Okay Yokuşlu 1994년 3월 9일 ([age(1994-03-09)]세) 46 1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트라브존스포르
6 오르쿤 쾨크취 Orkun Kökçü 2000년 12월 29일 ([age(2000-12-29)]세) 36 2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8 아르다 귈러 Arda Güler 2005년 2월 25일 ([age(2005-02-25)]세) 16 3 파일:스페인 국기.svg 레알 마드리드 CF
10 하칸 찰하놀루 파일:주장 아이콘.svg Hakan Calhanoglu 1994년 2월 8일 ([age(1994-02-08)]세) 94 2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17 이르판 잔 카흐베지 İrfan Can Kahveci 1995년 7월 15일 ([age(1995-07-15)]세) 37 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22 아타칸 카라조르 Atakan Karazor 1996년 10월 13일 ([age(1996-10-13)]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VfB 슈투트가르트
FW 7 케렘 아크튀르크올루 Kerem Aktürkoğlu 1998년 10월 21일 ([age(1998-10-21)]세) 38 1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SL 벤피카
9 베르투 이을드름 Bertuğ Yıldırım 2002년 1월 12일 ([age(2002-01-12)]세) 5 2 파일:스페인 국기.svg 헤타페 CF
11 케난 이을드즈 Kenan Yıldız 2005년 5월 4일 ([age(2005-05-04)]세) 16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15 세미흐 클르츠소이 Semih Kılıçsoy 2005년 8월 15일 ([age(2005-08-15)]세) 3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베식타스 JK
19 아흐메드 쿠투주 Ahmed Kutucu 2000년 3월 1일 ([age(2000-03-01)]세) 3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
21 유누스 아크귄 Yunus Akgün 2000년 7월 7일 ([age(2000-07-07)]세) 11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
- 바르쉬 알페르 일마즈 Barış Alper Yılmaz 2000년 5월 23일 ([age(2005-05-23)]세) 22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갈라타사라이 SK
일정 2024-25 네이션스 리그 B 2024년 10월 11일(금)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2024년 10월 14일(월) 원정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0월 14일
}}}}}}}}}||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Türkiye Milli Futbol Takımı
튀르키예 축구 국가대표팀
(UEFA 유로 2024 - 최종 명단)
1 귀노크 · 2 첼리크 · 3 데미랄 · 4 사메트 아카이딘 · 5 요쿠슐루 · 6 쾨크취 · 7 아크튀르크올루 · 8 귈러 · 9 젠크 토순 · 10 찰하놀루
11 유수프 야즈즈 · 12 바이은드르 · 13 카플란 · 14 바르닥치 · 15 외즈잔 · 16 윅세키 · 17 카흐베지 · 18 메르트 뮐뒤르
19 일디즈 · 20 F. 카디올루 · 21 일마즈 · 22 아이한 · 23 차크르 · 24 클르츠소이 · 25 아크귄 · 26 이을드름
파일:UEFA EURO ITA.png 빈첸조 몬텔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파일:UEFA EURO ITA.png 다니엘레 루소 · 파일:UEFA EURO TUR.png 셀주크 샤힌


[1] 튀르키예어로 아들이라는 의미의 oğlu에서 유무샥 게 (ğ)라는 음가를 고려하면, 악튀르크오을루 혹은 아크튀르크오을루가 정확한 발음이다. 성씨의 뜻은 하얀(Ak), 튀르크인(Türk)의 아들(Oğlu)이다.[2] 튀르키예어의 어말자음은 항상 유성음화된다.[3] Gölcükspor[4] Hisareynspor[5] Karacabey Belediyespor[6] 2025년 9월 8일 기준[7] 이 때, 강력하게 케렘의 이적을 요청한 사람이 갈라타사라이 감독 파티흐 테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