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30 17:46:21

안드레 블레이크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필라델피아 유니언 2025 시즌 스쿼드
<colcolor=#000,#000>
파일:south africa_circle_ver.png 브래들리 카넬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안드레 블레이크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MLS 로고.svg
2016 · 2020 · 2022
}}} ||
파일:A.Blake_2022.png
필라델피아 유니언 No. 18
안드레 블레이크
Andre Blake
<colbgcolor=#001b2d><colcolor=#c1a76d> 본명 안드레 제이슨 블레이크
Andre Jason Blake
출생 1990년 11월 21일 ([age(1990-11-21)]세)
자메이카 메이 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자메이카|{{{#!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자메이카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자메이카}}}{{{#!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3cm / 체중 88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오른발
소속 <colbgcolor=#001b2d><colcolor=#c1a76d> 유스 스포르팅 센트럴 아카데미
하버 뷰 FC
선수 필라델피아 유니언 (2014~ )
국가대표 88경기 (자메이카 / 2014~ )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1b2d><colcolor=#c1a76d> 등번호 자메이카 축구 국가대표팀 - 1번
필라델피아 유니언 - 18번
학력 코네티컷 대학교 (2011~2013)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자메이카필라델피아 유니언 소속 축구 선수. 현재 자메이카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장을 맡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자국의 유스 팀에서 성장한 뒤 미국으로 건너가 코네티컷 대학교에 입학하였고, 유콘 허스키스의 축구부에서 3년간 선수 생활을 하며 NCAA 최고의 골키퍼로 이름을 날렸다.

2014 MLS 슈퍼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필라델피아 유니언에 지명되었다.

2.2. 필라델피아 유니언

주전 골키퍼로 활약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필라델피아가 알제리 대표팀 주전 골키퍼인 라이스 음볼리와 계약을 맺으면서 벤치에 앉게 되었다. 이후, 비공식 경기이긴 했지만 7월에 있었던 크리스탈 팰리스와의 친선 경기를 통해 처음으로 경기를 나서게 되었고, 몬트리올 임팩트를 상대로 MLS 데뷔전에 나서 클린시트를 기록, 1:0 승리를 견인하였다.

2015 시즌까지는 음볼리의 백업으로 머무르다가 다음 시즌에 그가 떠나면서 비로소 주전 자리를 꿰차게 되었다. 그리고 풀타임 첫 시즌부터 뛰어난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MLS 베스트 XI에 선정된 것은 물론, MLS 올해의 골키퍼상을 수상하면서 풀타임 첫 시즌부터 리그 수위급 골키퍼로 발돋움하게 되었다.

2020 시즌에는 더욱 향상된 기량을 선보이며 생애 두 번째 리그 베스트 XI과 올해의 골키퍼상을 수상하였고, 팀 또한 MLS 서포터즈 쉴드 우승을 차지하는 겹경사까지 누렸다.

그리고 2022 시즌이 끝난 현재까지 MLS를 대표하는 리그 최정상급 골키퍼로 군림하고 있다.

2024년 5월 23일, 필라델피아 유니언과 재계약을 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6 시즌까지이며 1년 연장 옵션이 존재한다.

3. 국가대표 경력

각 급의 연령대 대표팀을 두루 거쳐왔으며, 2014년 3월 2일 바베이도스와의 경기를 통해 성인 대표팀에 데뷔하였다. 그는 당해 열린 2014 카리비안 컵에서 훌륭한 활약으로 대회 최우수 골키퍼로 선정되었고, 대표팀 주전으로 발돋움하였다.

2017 CONCACAF 골드컵에서는 주장으로 참가하여 후방을 단단히 지키며 결승전에 진출시키는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비록 결승전에서 미국에게 패하여 우승에는 실패했지만, 그를 위시로 한 자메이카 대표팀의 활약은 상당히 인상적이었다. 그리고 이 대회에서 그는 최우수 골키퍼 및 베스트 XI에 선정되었다.

이후, 2019 CONCACAF 골드컵2021 CONCACAF 골드컵에 주장으로 참가하였으나, 두 대회 모두 토너먼트에서 미국에게 덜미를 잡혔다. 이쯤되면 미국 대표팀이 앙숙으로 느껴질 듯하다.

4. 플레이 스타일

뛰어난 반사신경과 순발력, 큰 키에서 나오는 긴 리치 등을 활용해 박스 안을 장악하는 능력이 좋은 골키퍼. 키가 상당히 크기에, 공중볼 처리나 다이빙을 통한 사각 지대로 들어오는 공에 대한 선방력도 좋다. 특히, 핸들링이 좋아서 박스 안에서의 안정감이 상당하다.

5. 여담

  • 독실한 크리스천 신자이며 슬하에 두 아이를 두고 있다.
  • 2022년 넷플릭스에서 방영된 '캡틴스'[1]라는 다큐멘터리에 자메이카 대표팀 주장으로 출연하였다.[2]

6. 둘러보기

파일:자메이카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000>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colbgcolor=#000><colcolor=#FFE000> GK 1 샤퀀 데이비스
(Shaquan Davis)
2000년 11월 11일 ([age(2000-11-11)]세) 1 0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마운트 플레즌트 FC
13 코니아 보이스-클락
(Coniah Boyce-Clarke)
2003년 3월 1일 ([age(2003-03-01)]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딩 FC
23 자말리 웨이트
(Jahmali Waite)
1998년 12월 24일 ([age(1998-12-24)]세) 8 0 파일:미국 국기.svg 엘패소 로코모티브 FC
24 안드레 블레이크 파일:주장 아이콘.svg
(Andre Blake)
1990년 11월 21일 ([age(1990-11-21)]세) 70 0 파일:미국 국기.svg 필라델피아 유니언
DF 17 다미온 로우
(Damion Lowe)
1993년 5월 5일 ([age(1993-05-05)]세) 58 3 파일:미국 국기.svg 필라델피아 유니언
3 마이클 헥터
(Michael Hector)
1992년 7월 19일 ([age(1992-07-19)]세) 36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찰턴 애슬레틱 FC
5 에단 피녹
(Ethan Pinnock)
1993년 5월 29일 ([age(1993-05-29)]세) 17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렌트포드 FC
2 덱스터 렘비키사
(Dexter Lembikisa)
2003년 11월 4일 ([age(2003-11-04)]세) 14 0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하트 오브 미들로시언 FC
22 그렉 리
(Greg Leigh)
1994년 9월 30일 ([age(1994-09-30)]세) 1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옥스퍼드 유나이티드 FC
6 디숀 버나드
(Di'shon Bernard)
2000년 10월 14일 ([age(2000-10-14)]세) 11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셰필드 웬즈데이 FC
25 아마리 벨
(Amari'i Bell)
1994년 5월 3일 ([age(1994-05-03)]세) 17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루턴 타운 FC
MF 3 바비 데코르도바리드
(Bobby Decordova-Reid)
1993년 2월 2일 ([age(1993-02-02)]세) 27 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레스터 시티 FC
8 다니엘 존슨
(Daniel Johnson)
1992년 10월 8일 ([age(1992-10-08)]세) 23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토크 시티 FC
15 조엘 라티보디에어
(Joel Latibeaudiere)
2000년 1월 6일 ([age(2000-01-06)]세) 1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번트리 시티 FC
10 케이시 팔머
(Kevon Lambert)
1996년 11월 9일 ([age(1996-11-09)]세) 3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번트리 시티 FC
16 캐로이 앤더슨
(Karoy Anderson)
2004년 10월 1일 ([age(2004-10-01)]세) 2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찰턴 애슬레틱 FC
9 레날도 세파스
(Renaldo Cephas)
1999년 12월 8일 ([age(1999-12-08)]세) 1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MKE 앙카라귀쥐
FW 11 샤마르 니콜슨
(Shamar Nicholson)
1997년 3월 16일 ([age(1997-03-16)]세) 44 16 파일:프랑스 국기.svg 클레르몽 푸트 63
7 코리 버크
(Cory Burke)
1991년 12월 28일 ([age(1991-12-28)]세) 31 7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레드불스
18 미카일 안토니오
(Michail Antonio)
1990년 3월 28일 ([age(1990-03-28)]세) 14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12 데머레이 그레이
(Demarai Gray)
1996년 6월 28일 ([age(1996-06-28)]세) 10 5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에티파크 FC
20 자말 로우
(Jamal Lowe)
1994년 7월 21일 ([age(1994-07-21)]세) 6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셰필드 웬즈데이 FC
- 베일리 카다마르테리
(Bailey Cadamarteri)
2005년 5월 9일 ([age(2005-05-09)]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셰필드 웬즈데이 FC
- 카하임 딕슨
(Kaheim Dixon)
2004년 10월 4일 ([age(2004-10-04)]세) 0 0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아네트 가든스 FC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8월 24일
}}}}}} ||

파일:필라델피아 유니언 로고.svg
필라델피아 유니언 2025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번호 포지션 국적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비고
2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DF 이안 글라비노비치 Ian Glavinovich 2001.10.27
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MF 요반 루키치 Jovan Lukić 2002.01.20
5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DF 야콥 글레스네스 Jakob Glesnes 1994.03.25
6 파일:미국 국기.svg MF 캐번 설리번 Cavan Sullivan 2009.9.28 홈그로운
7 파일:덴마크 국기.svg FW 미카엘 우레 Mikael Uhre 1994.09.30
8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MF 제주스 부에노 Jesús Bueno 1999.04.15
9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FW 타이 바리보 Tai Baribo 1998.1.15
11 파일:미국 국기.svg MF 알레한드로 베도야 Alejandro Bedoya 1987.04.29 주장
14 파일:미국 국기.svg MF 제레미 라파넬로 Jeremy Rafanello 2000.04.14 홈그로운
15 파일:카메룬 국기.svg DF 올리비에 음베조 Olivier Mbaizo 1997.08.15
16 파일:미국 국기.svg MF 벤 벤더 Ben Bender 2001.03.07 제너레이션 아디다스
17 파일:미국 국기.svg MF 크리스토퍼 제임스 올니 주니어 Christopher Olney Jr 2006.12.16
18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GK 안드레 블레이크 Andre Blake 1990.11.21
19 파일:미국 국기.svg MF 인디애나 바실레프 Indiana Vassilev 2001.2.16
20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FW 브루누 다미아니 Bruno Damiani 2002.4.18
21 파일:아이티 국기.svg MF 댄리 장 자크 Danley Jean Jacques 2000.5.20
24 파일:미국 국기.svg MF 닉 파리아노 Nick Pariano 2003.3.16
25 파일:미국 국기.svg FW 크리스 도노반 Chris Donovan 2000.8.8 드래프트
26 파일:미국 국기.svg DF 네이선 해리엘 Nathan Harriel 2001.04.23 홈그로운
27 파일:독일 국기.svg DF 카이 바그너 Kai Wagner 1997.02.15
29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DF 올웨투 마카냐 Olwethu Makhanya 2004.4.30 외국인 선수 슬롯
31 파일:미국 국기.svg GK 조지 마크스 George Marks 1999.10.11
32 파일:미국 국기.svg FW 밀란 일로스키 Milan Iloski 1999.7.29 홈그로운
33 파일:미국 국기.svg MF 퀸 설리반 Quinn Sullivan 2004.3.27 홈그로운
35 파일:미국 국기.svg FW 마커스 안데르센 Markus Anderson 2003.12.11
44 파일:미국 국기.svg MF 닐 피에르 Neil Pierre 2007.10.9
55 파일:미국 국기.svg FW 살 올리바스 Sal Olivas 2006.7.11
76 파일:미국 국기.svg GK 앤드류 릭 Andrew Rick 2006.1.30 홈그로운
77 파일:미국 국기.svg FW 에드워드 데이비스 Edward Davis 2006.6.17
출처: 필라델피아 유니언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10월 10일

}}}}}}}}} ||

[1]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지역예선 기간동안 6개국의 대표팀 주장과 그 외 선수단의 여정을 다룬 이야기이다.[2] 유럽에는 크로아티아 대표팀 주장인 루카 모드리치, 아시아에는 레바논 대표팀 주장 하산 마툭, 남미에는 브라질 대표팀 주장 치아구 시우바, 아프리카에는 가봉 대표팀의 주장인 피에르에메릭 오바메양이 출연하였고, 오세아니아에는 바누아투 대표팀의 주장인 브라이언 칼탁, 블레이크는 북중미 대표팀 중 한 팀인 자메이카 대표팀의 주장으로 출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