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6125><tablebgcolor=#fff,#1c1d1f><width=700><bgcolor=#ff6125>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 ||
| <bgcolor=#cccc99>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 <bgcolor=#ffc0cb>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 <bgcolor=#e84f98> 2023 | 2024 | 2025 |
| 2025년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 TOP 10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순위 | 캐릭터 | 성우 | 출전 작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colbgcolor=#ff6125><colcolor=#ffffff> 투표 기간 | 2025년 11월 19일 ~ 2025년 12월 29일 |
| 참가 작품 및 캐릭터 | 2025년 1~4분기 애니플러스,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작 + 애니플러스 개봉 극장판 총 000작품 0000명 |
| 애캐토 2025 공식 홈페이지 | |
1. 개요
2025년에 애니플러스와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방영한 신작들과 극장판 개봉작, 특별편을 대상으로 한 제13회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 전개
2.1. 예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5년/예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5년/예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2. 본선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5년/본선#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애니플러스 캐릭터 토너먼트/2025년/본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3. 최종 순위
3. 전망 및 경과
최근 모에 토너먼트계는 작년부터 동양권에서 대두된 단일 장르의 무쌍과 이에 맞선 다른 진영간의 패권 싸움이 고착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밴드물은 24년 국사모에서 압도적인 성과를 거두고 25년 국사모에서도 그 기세를 이어가는 반면, 서양권에서 치뤄지는 BGC에서는 오히려 힘을 못 쓰는 양상이다. 비록 2020년대 초반까지의 위상을 잃어버린 애캐토이긴 하지만, 같은 동양권 메이저 모토에 속했던 만큼 해외에서 치열히 전개 중인 장르전 양상이 그대로 나타날지가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사전 예상으로는 걸밴크 무쌍에 타 진영이 추풍낙엽처럼 쓸려나간 작년처럼 비슷한 양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는 평과, 아직 비 밴드 럽코 장르 히로인(키타가와 마린, 요르 포저)과 애캐토 데뷔 무대를 가지는 하츠네 미쿠, 쿄애니의 희망 칸나 카무이 등 타 컨텐더들이 있어 상황이 다르다는 의견이 공존하고 있다.3.1. 1분기
작년 1분기보다 전체적으로 참가자들의 체급이 높아졌으며, 특히 중화권에서 대활약 중인 마이아베를 앞세운 뱅드림이 21년 미나토 유키나의 우승 이후 지난 2년(22, 23)의 예선 탈락의 부진을 씻고 진영 첫 2회 우승에 도전할 것으로 보인다. 그 중 사키코는 프리렌과의 2025 주요 대회 실적 경쟁에서, 아논은 아리사 미하일로브나 쿠죠와의 2025 연도별 실적 경쟁[1]에서 우세를 점하기 위해 팬덤 차원의 동기가 충만할 것이다. 한편 리제로의 에밀리아는 세월의 무게와 락라인 탈출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또 한 번 떠안게 되었다.- BanG Dream! Ave Mujica: 토가와 사키코, 치하야 아논, 와카바 무츠미, 미스미 우이카
- 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3기: 에밀리아, 렘, 베아트리스
- 길드의 접수원인데, 야근이 싫어서 보스를 혼자 토벌하려고 합니다: 아리나 클로버
- 전수.: 히로세 나츠코
- 나 혼자만 레벨업 -ARISE FROM THE SHADOW-: 성진우, 차해인
3.2. 2분기
작년과 달리 가장 라인업이 부실한 분기다. 그동안 애니플러스에서 꾸준히 수입했던 우마무스메 애니메이션 시리즈는 신데렐라 그레이가 넷플릭스 단독으로 넘어가버렸고, 또 다른 2분기 수작인 아포칼립스 호텔은 아예 국내 미방영작으로 남았기 때문.- 남녀의 우정은 성립할까? (아니 하지 않아!!): 이누즈카 히마리
- 닌자와 암살자의 동거: 쿠사가쿠레 사토코, 코가 코노하
- 록은 숙녀의 소양이기에: 스즈노미야 리리사, 쿠로가네 오토하
- mono: 아마미야 사츠키
3.3. 3분기
향꽃 애니의 와구리 카오루코, 무리무리 애니의 아마오리 레나코, 타코피의 원죄의 쿠제 시즈카 등 많은 후보들이 타 회사 방영으로 참가가 불발되었음에도, 워낙 황금 분기였는지 1분기에 버금가는 두터운 히로인 라인업이 포진되어 있다.-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2기: 키타가와 마린
- 단다단 2기: 아야세 모모
- 사일런트 위치 침묵의 마녀의 비밀: 모니카 에버렛
- 여친, 빌리겠습니다 4기: 미즈하라 치즈루
- Summer Pockets: 나루세 시로하
- 청춘 돼지는 산타클로스의 꿈을 꾸지 않는다: 사쿠라지마 마이
3.4. 4분기
양 회사에 있어서 2분기만큼 부실한 라인업으로 그나마 3년차를 맞이한 스파팸이 분기의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다.3.5. 극장, 특별편
만약 작년과 달리 당년에 극장, 특별편이 다시 출전하게 된다면 이 곳에도 꽤 강력한 컨텐더들이 포진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두 회사 주도로 수입되지 않은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의 레제는 영화계에 열풍을 불러일으켰음에도 참가가 불가능하게 되었다.- 영화 러브 라이브! 니지가사키 학원 스쿨 아이돌 동호회 완결편 제1장: 타카사키 유우, 우에하라 아유무, 유키 세츠나
- 극장판 진격의 거인 완결편 더 라스트 어택: 미카사 아커만, 리바이 아커만, 엘런 예거
- 극장판 프로젝트 세카이 부서진 세카이와 전해지지 않는 미쿠의 노래: 하츠네 미쿠
-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카마도 네즈코, 카마도 탄지로, 아카자
- 영화 코바야시네 메이드래곤 외로움쟁이 용: 칸나 카무이, 토르, 이루루
3.6. 최종 우승
4. 반응
4.1. 작품별
4.2. 캐릭터별
5. 기타
- 지난 번 대회에 비해 전체적으로 체급 높은 우승 후보급 뿐만 아니라 다크호스로 예상되는 참가자들까지 많다는 평. BGC 전시 경기에서 활약한 아리나 클로버, 히로세 나츠코, 모니카 에버렛과 국사모 노바의 나루세 시로하 등이 대표적인 캐릭터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