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5 17:52:30

단다단(애니메이션 2기)


[[단다단|
파일:단다단 애니플러스 로고.png파일:단다단 한글 화이트 로고.png
]]


야마시로 후가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00000> 파일:단다단_공식로고(일본어).webp || 파일:단다단_공식로고(일본어).webp ||
[[단다단(애니메이션 1기)|
단다단 (2024)
]]
[[단다단(애니메이션 2기)|
단다단 2기 (2025)
]]

상세 정보 링크 열기
단다단 2기 (2025)
ダンダダン 第2期
Dandadan Season 2
<nopad> 파일:단다단 키 비주얼 제1탄 KR.jpg
{{{#ceff00,#ceff0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20202,#020202><colcolor=#ffffff,#e0e0e0> 장르 오컬트, 퇴마, 배틀, 액션,
코미디 공포, SF, 러브 코미디
원작 타츠 유키노부
감독 야마시로 후가
아벨 공고라
시리즈 구성 세코 히로시
각본
캐릭터 디자인 온다 나오유키
우주인 / 요괴 디자인 카메다 요시미치
미술 감독 히가시 준이치
색채 설계 하시모토 사토시
콘도 마키호(近藤牧穂)
촬영 감독 이즈미타 카즈토
편집 히로세 키요시(廣瀬清志)
음향 감독 키무라 에리코(木村絵理子)
음향 효과 야소 쇼타(八十正太)
녹음 조정 오오타 야스아키(太田泰明)
음악 우시오 켄스케
제작 시바타 미호코(柴田三穂子)
최은영
헤이시 요시히사(瓶子吉久)
니이 유스케(新居祐介)
이와카미 아츠히로(岩上敦宏)
사토 타츠노부(佐藤龍伸)
치프 프로듀서 마에다 토시히로(前田俊博)
후지타 마사키(藤田雅規)
하야시 타츠로(林 辰朗)
사가 하야토(嵯峨隼人)
프로듀서 카메이 히로시(亀井博司)
아오이 히로유키(青井宏之)
사키타 코헤이(崎田康平)
마카베 요시코(真壁佳子)
사이토 소이치로(斉藤壮一郎)
스즈키 사토시(鈴木 聡)
이시카와 타츠야(石川達也)
야마모리 타카코(山守貴子)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반쇼 아야코(番匠彩子)
애니메이션 제작 사이언스 SARU
제작 '''
단다단
''' 제작위원회[1]
방영 기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 07. 04. ~ 2025. 09. 19.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MBS, TBS(슈퍼 아니메이즘 TURBO)
파일:투명.png (금) 00:26[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금) 01:00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81736884|▶]]
#!if 주석 != null
^^자체수입^^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2 != null
^^^^
/ (금) 01:00[3]

[[Laftel|
LAFTEL
]]
#!if 링크 != null
[[https://laftel.net/item/42902|▶]]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laftel.net/item/|▶]]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laftel.net/item/|▶]]
#!if 주석2 != null
^^^^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2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9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9세 이상 시청가
(주제, 언어, 폭력성, 선정성, 모방위험)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일본어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영어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2.1.1. 대한민국2.1.2. 일본2.1.3. 북미
2.2. 키 비주얼
3. 줄거리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5. 설정6. 음악7. 회차 목록8. 회차별 WEB 예고편9. 해외 공개
9.1. 대한민국9.2. 북미
10. 평가
10.1. 방영 전10.2. 방영 후10.3. 총평
11. 기타

1. 개요

일본의 만화 단다단을 원작으로 한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2기. 감독은 야마시로 후가 / 아벨 공고라, 방영 시기는 2025년 7월.

2. 공개 정보

  • 2024년 12월 20일, 1기 최종화 방영 직후 2기의 제작이 결정되었다.#[4]
  • 2024년 12월 21일, 점프 페스타 2025에서 티저 PV가 공개됐다.
  • 2025년 4월 26일, 1차 PV가 공개됐다.

2.1. PV

2.1.1. 대한민국

넷플릭스 코리아 공식 예고편
애니플러스 PV ▼

넷플릭스 코리아 공식 예고편 3

2.1.2. 일본

제2기 결정 CM
티저 PV
PV 제1탄
PV 제2탄
클라이맥스 PV

2.1.3. 북미

공식 영어 더빙 트레일러
공식 영어 더빙 트레일러 제2탄
DAN DA DAN: EVIL EYE | 공식 영어 더빙 극장 예고편
공식 영어 더빙 트레일러 제3탄

===# CM #===
오컬트 & 배틀 PV
우정 & 러브 PV
Blu-ray & DVD 발매 고지 CM

2.2. 키 비주얼

파일:단다단 제2기 티저 비주얼.jpg 파일:단다단 키 비주얼 제1탄 KR.jpg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2탄.jpg
<rowcolor=#ceff00,#ceff00> 티저 비주얼 키 비주얼 제1탄 키 비주얼 제2탄
<rowcolor=#ceff00,#cef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영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파일:단다단 2기 티저 비주얼 EN.jp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티저 비주얼.web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일본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1탄.jp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영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1탄 EN.jpg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1탄.web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영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2탄 EN.jpg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단다단 2기 키 비주얼 제2탄.webp }}}}}}}}}}}}

3. 줄거리

<keepall>
영매사 집안에 태어난 여고생 모모와, 같은 학교에 다니는 오컬트 매니아 오카룽.

차례로 닥쳐오는 압도적인 괴기와 조우하며 숨겨진 힘을 각성한 모모와
저주의 힘을 손에 넣은 오카룽은 유령 때문에 고민하는 모모의 소꿉친구 지지를 돕기 위해
지지네 집에 제령을 하러 가게 되었는데...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3px 3px 6px #767681; color: #fff,#e0e0e0"

{{{#!wiki style="display: inline; text-shadow: 3px 3px 6px #767681; color: #fff,#e0e0e0"

출처: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다단/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단다단 애니플러스 로고.png

'''
'''TV 애니메이션 단다단 2기
[[단다단/등장인물|
등장인물
]] & 성우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ㆍ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단다단 2기 9화.png 파일:단다단 2기 오카룽.jpg
아야세 모모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와카야마 시온 / 파일:미국 국기.svg 애비 트롯
타카쿠라 켄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하나에 나츠키 / 파일:미국 국기.svg A.J. 베클스
파일:지지 단다단 2기.jpg 파일:터보바바 단다단2기.jpg
엔조지 진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카와 카이토 / 파일:미국 국기.svg 알렉스 리
터보 할멈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나카 마유미 / 파일:미국 국기.svg 바바라 굿슨
파일:단다단 2기 세이코.jpg 파일:단다단 2기 시라토리 아이라.jpg
아야세 세이코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미즈키 나나 / 파일:미국 국기.svg 카리 월그런
시라토리 아이라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사쿠라 아야네 / 파일:미국 국기.svg 리사 레이몰드
파일:갯가재성인 단다단2기.jpg 파일:타로 단다단2기.jpg
갯가재 성인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세키 토모카즈 / 파일:미국 국기.svg 브렌트 무카이
타로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스기타 토모카즈 / 파일:미국 국기.svg 케이지 탕
파일:키토나키 단다단2기.jpg 파일:단다단 2기 사안.jpg
키토 나키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이소베 마사코 / 파일:미국 국기.svg 모가나 이그니스
사안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무라 무츠미 / 파일:미국 국기.svg 앤 얏코
파일:단다단 만지로.png 파일:치키티타 단다단 2기.jpg
만지로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요시노 히로유키 / 파일:미국 국기.svg 케빈 앤드루 리베라
치키티타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오오조라 나오미 / 파일:미국 국기.svg 브리태니 라우다
파일:무코&미코 단다단2기.png 파일:미코 단다단 2기.jpg
무코[5]]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토미타 미유 / 파일:미국 국기.svg 아나이리스 키뇨네스
미코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마에다 카오리 / 파일:미국 국기.svg 세라 윌리엄스
파일:단다단 2기 기대밴드.jpg 파일:밤벤 애니.jpg
기대 밴드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니야마 키쇼[A] / 파일:미국 국기.svg 마크 허드슨[A]
밤벤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우치다 나오야 / 파일:미국 국기.svg 커크 손턴
파일:루드리스 단다단 2기.jpg 파일:킨타 애니.jpg
루드리스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타카하시 신야 / 파일:미국 국기.svg 믹 라우어
사카타 킨타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와라 다이치 / 파일:미국 국기.svg 브라이스 패픈브룩
파일:반장 단다단 2기.jpg 파일:단다단 2기 12화 바모라 첫 등장.png
사와키 린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이와미 마나카 / 파일:미국 국기.svg 수지 영
바모라[8]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미공개 / 파일:미국 국기.svg 미공개
}}}}}}}}}

5. 설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다단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설정|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음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다단/애니메이션/음악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애니메이션/음악#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단다단/애니메이션/음악#2기|2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회차 목록

<rowcolor=#fff,#e0e0e0> 회차 제목[9]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3화[10] 大蛇伝説ってこれじゃんよ
이무기 전설이라는 거 이거잖아
허종 야마다 카요나카
(山田加余仲)
노다 토모미
(野田友美)
호리에 유미
(堀江由美)
니시가키 쇼코
(西垣庄子)
许堂
富春
차명준
구자천
暗編先
葉昌
馮亦範
퇀탕
(湯団)
李仰灏桐
k621
銀茄子
- 선행: 2025.06.05.
선행: 2025.06.06.
선행: 2025.06.29.
日/韓/美:
2025.07.04.
하이라이트
제14화[11] 邪視
사안
카와나미 에이사쿠
(河浪栄作)
모리 요시히코
(森 慶彦)
우시마루 케이카
(牛丸圭華)
야부타 유키
(薮田裕希)
李志龍
사쿠라모토 시호
(櫻本詩歩)
이마오카 다이
(今岡 大)
이시모리 겐타
(石守源太)
暗編先
謝小龙
叶昌
馮亦範
선행: 2025.06.05.
선행: 2025.06.06.
선행: 2025.06.29.
日/韓/美:
2025.07.11.
하이라이트
제15화[12] ゆるさねえぜ
용서 못 해
와카노 테츠야 코바야시 유미
(小林由美)
호리에 유미
요시야마 유우
오구라 노리코
(小倉典子)
노다 토모미
우시마루 케이카
김채은
(金採恩)
차명준
謝小龙
暗編先
葉昌
馮亦範
선행: 2025.06.05.
선행: 2025.06.06.
선행: 2025.06.29.
[13]/韓/美:
2025.07.18.
하이라이트
제16화[14] やば過ぎじゃんよ
완전 장난 아니잖아
타나카 히로노리 mosh 日/韓/美:
2025.07.25.
하이라이트
제17화 みんなでお泊まりじゃんよ
다 같이 자러 와
키무라 타쿠
(木村 拓)
츠네오카 슈고
(常岡修吾)
야부타 유키
호리에 유미
우시마루 케이카
김경은
叶昌
김채은
馮亦範
富春
许童
毛缟斑
王渝
陳丹
葉昌
노다 토모미 日/韓/美:
2025.08.01.
하이라이트
제18화 家族になりました
가족이 되었습니다
야마다 카요나카 야부타 유키
이마오카 다이
사쿠라모토 시호
코바야시 유미
김경은
나가토메 아이
(永留アイ)
김채은
노다 토모미
차명준
구자천
暗編先
葉昌
陳丹
馮亦範
- 日/韓/美:
2025.08.08.
하이라이트
제19화 なんかモヤモヤするじゃんよ
잠깐 뭔가 엄청 찝찝하잖아
니시야마 히로미
(西山壮海)
이데우에 요시히데
(井手上義英)
코바야시 유미
노다 토모미
코마츠 마리코
(小松真梨子)
暗編先
葉昌
陳丹
日/韓/美:
2025.08.15.
하이라이트
제20화 がんばれオカルン
힘내라 오카룽
야지마 테츠오 와카노 테츠야
후지쿠라 타쿠야
(藤倉拓也)
모리 요시히코
우시마루 케이카
호리에 유미
노다 토모미
이마오카 다이
야부타 유키
사쿠라모토 시호
모토하시 마리
(本橋茉里)
rhinokino
Shella Loewito
暗編先
葉昌
陳丹
차명준
구자천
日/韓/美:
2025.08.22.
하이라이트
제21화 家を建て直したい
집을 다시 짓고 싶어
허종 모리 요시히코 야부타 유키
김채은
이마오카 다이
사쿠라모토 시호
모모후지
안윤주
윤지휘
에테츠
(えーてつ)
아다치 유키
(足立裕貴)
Shelia Loewito
irismedia
Fincrossed Studio
许童
富春
윤수빈
이예린
권은주
王世林
노다 토모미 日/韓/美:
2025.08.29.
제22화 モテる秘訣はなんだ
인기의 비결은 무엇인가
유키무라 아이
(雪村 愛)
雨蛙 야마나카 마사히로
(山中正博)
히네노 유코
(日根野優子)
Limeros
사이토 코즈에
(斎藤 梢)
아다치 유키
楊鋭
鄭敏熙
王世林
杨中英
茅奕悦
陈岒
- 日/韓/美:
2025.09.05.
제23화 怪獣じゃんよ
괴수잖아
사사키 신사쿠 마츠나가 코타로
(松永浩太郎)
호리에 유미
이데우에 요시히데
오구라 노리코
오오타 코토미
(太田琴美)
야부타 유키
리키토쿠 킨야
(力徳欣也)
馮亦範
暗編先
鄭敏熙
茅奕悦
陳嶺
王梦靈
富春
许童
이예린
Shella Loewito
日/韓/美:
2025.09.12.
제24화 激突! 宇宙怪獣 対 巨大ロボ!
격돌! 외계 괴수 대 거대 로봇!
마에바 켄지
(前場健次)
마에바 켄지
李志龍
馮亦範
야부타 유키
오카자키 아즈사
(岡崎あずさ)
오구라 노리코
Shelia Loewito
mosh [15] /韓/美:
2025.09.19.

8. 회차별 WEB 예고편

<colbgcolor=#020202,#020202><colcolor=#ceff00,#cef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7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8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9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0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1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9. 해외 공개

9.1. 대한민국

첫 세 에피소드를 「단다단: 사안」이라는 제목으로 6월 5일 극장에서 3주간 선행 상영한다. MUSE와 공동 판권 하에 애니플러스에서 수입한다.#

2025년 6월 25일 오후 6시에 공개된 3분기 신작 1차 라인업에서 방영날짜와 시간표가 공개되었다. 1기때와 마찬가지로 애니플러스에서 가져왔으며 방영시간도 1기때와 동일한 시간대로 방송된다. 번역 담당은 1기때와 동일한 두지현, 검수 홍성욱, 종합편집은 최예지가 맡았다.

오프닝/엔딩의 정식가사가 바로 나왔던 1기와는 달리 2기의 오프닝/엔딩곡의 정식번역은 2화 본방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영상을 미리 받아서 작업하는지 MBS ANIMATION(블랙) 인트로 버전과 사이언스 SARU의 인트로 버전이 나온다.

넷플릭스 버전의 번역은 1기에 이어 여전히 낮은 퀄리티를 유지하고있다. 특히 18화(2기 6화)의 오역들로 캐릭터성 훼손이 심한 편으로 지적되었다.[16]

9.2. 북미

GKIDS를 통해 첫 세 에피소드를 「DAN DA DAN: EVIL EYE」라는 제목으로 6월 6일 극장에서 선행 상영한다. 야마시로 후가아벨 공고라의 단독 인터뷰도 진행한다.

10. 평가

10.1. 방영 전

1기에서 호평받았던 감독인 야마시로 후가가 연임하고, 공동 감독으로 사이언스 SARU의 에이스 연출가 및 애니메이터인 아벨 공고라가 내정되면서 1기에서 지적받은 격투 연출 등 일부 단점도 메꿀 수 있는 완전체 퀄리티가 될 것이라 기대하는 반응이 많다.[17]

1차 PV가 공개되고, 시청자들의 반응은 대개 긍정적이며[18], 정식 방영 전 극장 선행 상영회를 통해 본 시즌의 윤곽이 나올 전망이다.

2차 PV 공개 이후로는 우려하던 부분인 끊기는 격투 액션씬을 완벽 보강한 듯한 장면들을 나열함으로서,[19] 팬들의 기대는 더더욱 높은 추세이며, 6월 초 시작되는 극장 선행 상영회에서 이를 증명할지 주목되었고, 실제로 개봉 이후 평가는 기대 이상으로 높은 퀄리티를 선보였다는 평가가 많다. 원작 구성에 충실하면서도 오리지널 장면이 적절히 배치되어 연출의 밀도를 한층 끌어올렸다는 반응이 많으며, 1기와 비교해 액션 연출의 타격감과 움직임이 눈에 띄게 향상되었다는 평가가 대다수이다.[20]

이외에도 전 시즌부터 호평받는 여러 생동감 넘치는 표정 묘사와 절절하면서도 안타까움을 나타내는 회상 장면의 연출도 여전히 호평받는 요소로 자리잡았다.

10.2. 방영 후

13화(2기 1화)는 방영 전에 언급된 더욱 높아진 퀄리티의 영상미와 선행 상영회에서도 엿볼 수 있었던 부드럽고 격렬한 전투 신을 선보였으며, 몽골리안 데스웜의 웅장한 자태도 시선을 끌었고, 새롭게 공개된 오프닝과 엔딩 역시 각각의 테마에 맞는 다양한 영상미를 선보였다.

14화(2기 2화)는 사안의 안타까운 사연을 기괴하면서도 공포스러운 연출로 잘 표현했으며, pv부터 주목받았던 사안의 원혼 (축구)공 시퀀스 장면은 전 시즌에 우려받던 부드럽지 못한 딱딱한 액션씬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는 부드럽고, 강력한 색감을 차용해, 명장면을 만들어 내었다.

이 회차부터 넷플릭스 대한민국 Top 10 순위에도 올랐는데, 전 시즌보다 더 높은 5위에 랭크되었으며,[21][22] 넷플릭스에서 공개한 7월 2주차 글로벌 순위는 4위, 일본에서는 1위를 차지하며 1기와 마찬가지로 매우 좋은 스타트를 보여주었다.[23]

15화(2기 3화)는 선행 상영회 때 화제가 된 오카룽의 20x5 스쿼트 씬과 사안과의 격렬한 전투로 그야말로 2기 2화에 이어 최고의 액션씬을 만들어냈다는 극찬이 나왔으며, 이러한 평가를 계기로 한국에서도 전 회차 보다 하루 빨리 넷플릭스 대한민국 Top 10 순위 5위에 안착했다.

16화(2기 4화)는 드디어 선행 상영회 분량이 끝나고 나온 새로운 회차로, 1~3화에 이은 높은 퀄리티의 격렬한 액션씬[24]과 원작의 여러 장면들을 더 극대화한 애니메이션만의 연출이 시청자들에게 많은 호평을 받았으며, 특히 후반부 모모와 오카룽의 구출, 포옹 장면은 뛰어난 연기와 감정 묘사, OST로 원작을 초월했다는 극찬을 받았다.[25] 모모일행을 구하러온 세이코 일행이 등장했을 때 치키치타가 부르는 노래가 꽤 화제가 되었으며 공식 유튜브에 무려 2시간 버전 영상이 올라왔다.[26]

이후 넷플릭스 대한민국 Top 10 순위에는 9위에 안착하며, 앞선 회차들보다는 아쉽지만, 경쟁작이 애니메이션 뿐만아니라 드라마나 예능 경쟁작들이 매우 늘어나, 어느 정도 선방한 순위로 추정된다.[27][28]

17화(2기 5화)는 스토리 비중이 많은 일상 에피소드 임에도 다양한 시각적인 연출과 원작에서의 개그씬들을 극대화하여, 재미를 강화하였고, 등장인물들의 움직임도 매우 다양하고 많아져, 시각적인 오락성을 더욱 살려 생동감있고, 애니메이션의 개성을 잘 살려냈으며, 종반부 사안의 밥상 뒤집기는 3D연출로 보다 원작보다 풍부한 연출을 해내었다.[29]

넷플릭스 대한민국 Top 10 순위에는 7위에 랭크 되었으며, 시즌 자체의 높은 완성도와 화제성으로 다시 순위가 올라가며, 전 시즌에 이은 높은 흥행세를 잇는 중이다.

18화(2기 6화)는 기대밴드의 공연이 연출되는데, X JAPAN의 紅(X JAPAN)를 레퍼런스한 듯한 노래와 영상미가 잘 어우러져[30] 시청자들에게 찬사를 받았으며 X에서도 실시간 트렌드에 단번에 오르는 등 높은 화제성을 자랑하였다. 계속 고점을 갱신 중이던 와중에 또 다시 높은 이목을 끄는 화제의 에피소드가 만들어졌다는 평.

다만 모티브가 된 X JAPAN의 멤버인 YOSHIKI가 애니메이션 제작진 측에게서 이러한 일에 대해 사전에 그 어떠한 통지도 받지 못하였는지, X(sns)에서 일련의 포스팅을 하면서 불편한 심기를 내비쳤다. 이를 본 넷상에서의 반응도 너무 민감하게 반응한다거나 권리자나 대행자는 따로 있는데 그쪽하고 얘기해봐야 하는 것 아니냐며 의아해하는 모습이었으나, 요시키는 밴드의 이름이 HAYASii 라는 것을 두고도 자신의 본명을 의식해서 쓴 것이라 오해했는지, 돌아가신 아버지를 떠오르게 했다며 괴로워 할 정도로 기분이 상해있었다.[31] 시간이 좀 흐른 뒤 요시키 본인을 비롯 높으신 분들끼리 이야기가 잘 끝났는지 공식 측에 심심한 내용의 포스팅이 올라왔다.# 후일 MBS TV의 종합편성부장이 밝힌 바에 따르면, 애니메이션 제작위원회 관계자들이 직접 요시키 측과 토론회를 가져서 해결했다고 한다. #

18화 방영후 넷플릭스 대한민국 Top 10 순위에는 9위에 랭크되었다. 아쉽게도 전 화보다는 순위는 낮지만, 그만큼 신작 시리즈가 몰리는 상황이었기에, 어느 정도 선방한 흥행세이다.[32]

19화(2기 7화)는 17화처럼 어느 정도 스토리 진행을 위한 에피소드였지만, 팬들의 기대를 잔뜩받은 모에 모에 기공포 장면 이후 클래식 음악을 삽입해 모모가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시간이 도통 가지않는 연출을 독특하게 연출하였으며, 이후 오카룽과 같이 배웅하는 장면은 원작에서의 애틋하면서도 두근두근한 분위기를 잘 살렸다는 호평이 많고[33], 이후 잠시나마, 사안이 등장하는 장면에서는 주변을 압도하는 강력한 기운을 연출하여, 사안의 위엄을 잘 살린 연출로 역시 호평받았다.[34] 이후 20화의 예고편에서 삽입된 시퀀스가 예사롭지 않아 기대와 호평을 동시에 받았다.

20화(2기 8화)는 원작에서도 악명 높은 작화 퀄리티의 음악실 전투 장면을 어느 정도 각색하여,[35] 다양한 연출과 1기 4화의 추격씬을 더 보강한듯한 연출로, 음악을 활용한 높은 몰입도와 격동적인 카메라, 아이라의 유연한 액션을 카메라 워크와 구도로 잘 연출하였으며, 오카룽의 질주 및 액션씬 대부분 찬사에 가까운 호평을 받았다.

이후 pv로 사카타 킨타를 공개하며, 거대한 액션 퀄리티를 예고하는 pv까지 공개하며, 더욱 기대치를 높이고 있다.

21화(2기 9화)는 도입부부터 오카룽과 사안의 2차전으로 시작하여, 단번에 눈길을 끌었고 액션씬은 전 화수에서 힘을 쓴 만큼 분량이 크지는 않지만, 원작 장면을 구현한 오카룽의 마무리 연출과 사안의 저주 받은 집을 원혼화한 공이 여러 개로 분출되어 공격하는 장면 등 다양한 연출로 호평을 받았으며, 원작에서도 특이한 등장 외계인 중 하나인 루드리스를 CG로 표현하여, 원작다운 병맛스러움과 이질적임을 강조한 디자인은 역시 호평 요소이며,[36] 마지막 종반부 사카타 킨타의 등장을 끝으로 다음 화를 예고하며, 이번에도 성공적인 화수를 만들어냈다는 평가가 주된 평가이며, 본 국인 일본에서는 종합 ott 순위에서 전체 인기 순위 1위에 오르는 등 흥행세도 긍정적이다.#

22화(2기 10화)는 본 시즌에서 가장 호불호 갈리는 화수가 될 전망이 높은데, 일단 사카타 킨타의 등장 연출과 개성은 잘 돋보였지만, 원작에서의 장면과 구도를 거의 각색하지 않고, 그대로 옮겼는데, 문제는 1기 5화의 있던 장면들을 그대로 옮겨 놓고 사카타 킨타를 그려넣어서, 혹평하는 쪽은 성의없다는 평가가 많으며, 사카타 킨타 역시 애니메이션의 경우 디자인을 어느 정도 손보면서, 좀 더 살이 빠진 느낌으로 디자인되었으며,[37] 성우 연기까지 호평일색이었으나, 문제는 만화 독자들부터 호불호가 있던 등장인물이어서 그런지, 여러 말이 나오고 있는 추세이긴 하며, 그 외에는 사카타 킨타의 활약상과 추격전은 본 애니메이션의 장점인 만큼 잘 살렸다는 평가가 대다수이며, 종반부 괴수의 거대함과 변신 장면은 잘 연출해내었다는 평가이다.

23화(2기 11화)는 원작에서 없던 괴수 전투씬을 늘려, 몰입감을 증가시켰고,[38] 이후 종반부 사카타 킨타의 그레이트 킨타 보살 제타 버전의 변형 장면은 역동적이면서도, 로봇의 묵직함과 작품 특유의 병맛 개그 분위기와 아기자기하면서도, 뽕이 차오르는 연출로 시청자들과 원작 독자층에게 압도적인 지지와 극찬에 가까운 호평을 받았으며, 2기 시즌을 통틀어도 멋있는 명장면이 탄생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24화(2기 12화)에서는 기대가 높았던 괴수 로봇 대전을 매우 격렬하면서도 중간에 단편적으로 드러냈던 사카타 킨타의 과거사가 더욱 애절하게 묘사되어 서사를 보강하여 더욱 오락성과 서사 및 완성도를 챙긴 장면으로 뽑히면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39]

이외에도 전 시즌과 동일하게 클리프행어 엔딩으로 하되, 전 시즌보다는 높은 완결성[40]과 퀄리티와 1기 1화를 오마주한 클라이막스로 팬덤에서는 호평이 대다수이다.

10.3. 총평

좋은 평가를 받았던 이전 시즌보다 더욱 진보된 모습을 보여줬다. 특히 1~4화까지 이어지는 저주의 집 편, 8화에서의 음악실 전투, 9화에서의 사안과 오카룽의 2차전, 10~12화까지 이어지는 단지의 유령 편은 이전 시즌에 비해 확실히 개선된 액션 연출 및 시퀀스를 보여주었으며 극장 상영 애니메이션을 방불케 하는 우수한 작화로 호평받았다.[41] 또한 이전 시즌에 다소 호불호가 갈렸던 반복 연출은 개그나 일상 파트에 적재적소에 활용되어 이번 시즌에는 오히려 좋은 평가를 받았다.[42]

이전 시즌보다 과감하게 투입된 오리지널 장면이나 연출 역시 작품의 완성도를 한층 더 높였다는 평. 특히 기대 밴드의 연주 장면의 경우 원작에서는 잠깐 지나가는 장면에 불과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엄청나게 박력있는 명장면으로 완성되었다. 11화의 괴수와의 전투 장면에서도 원작의 전투 시퀀스를 해치지 않으면서 적재적소에 고퀄리티의 오리지널 전투 장면이 다수 추가되어 전투의 박진감을 더해주었다. 특히 12화에서의 킨타의 각성과 서사와 괴수 전투씬들은 시리즈 대표의 명장면으로 손꼽힐 정도이다.

다만 아쉬운 부분이 없지는 않은데, 대표적으로 피니시 장면에서 남용되는 정지 화면 연출이 그러하다.[43] 이는 신선한 오리지널 연출보다는 정지 화면 연출로 원작의 박력을 있는 그대로 전달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이지만, 결국 평가가 갈리는 연출인 것은 사실이기에 아쉬움이 남는다.[44] 또 시즌 1과는 다르게 마지막 화의 구성이 풍성했고 결론적으로 큰 사건 하나는 해결하고 끝난 것은 사실이나, 또 다시 다음 시즌을 예고하는 듯한 클리프행어 엔딩으로 끝낸 것 역시 아쉬운 부분으로 지적될 수도 있다.[45][46]

종합적으로 이전 시즌을 뛰어넘는 시퀀스들과 높은 퀄리티의 일상씬들로 최고의 시즌을 넘어, 2025년 최고의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하나로 평가받으며 1기의 흥행세를 이어나갔다. 그 덕분에 시즌이 끝나자마자 바로 시즌3가 확정되었다.[47]

그 이외에도 바모라의 성우는 미공개로 처리되었다. 이유는 불명.[48]

11. 기타


[1] 크런치롤, 넷플릭스, GKIDS[2] 공식 홈페이지와 홍보물에는 2025년 7월 3일부터 매주 (목) 심야 00:26 방영으로 표기되어 있다. 이는, 일본의 방송 시스템은 00:00를 넘겨 날짜가 바뀐다 하더라도 방송 편성 기간이 이어지면서 전날과 같은 날에 방송한 것으로 간주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보통 일본 심야 방송은 대체적으로 새벽 1시, 새벽 2시라는 표현보다는 25시, 26시같은 표현을 더 자주 쓰며, 여기에 TBS 계열은 00:00를 넘기면 심야 0시부터 세서 방송 편성 시간을 나타내기에 실제 방영 시간으로 착각하기가 더 쉽다.[3] 마지막 화수에 경우에는 일본 방영 시간에 맞춘다고, 공개 시간이 연기되었다.[4] 하루 전인 19일에 실수로 2기 제작 결정 PV가 잠시 공개되는 해프닝이 있었다.[5] 오른쪽 여학생이다[A] 보컬 토시로 역[A] 보컬 토시로 역[8] 크레딧에서는 수수께끼의 미소녀로 표기되었다.[9]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 한국어 번역 제목이 다를 경우에는 애니플러스는 'AP', 넷플릭스는 'NF'으로 구분한다. 단, 에피소드 제목이 동일한 경우 구분하지 않는다.[10] 1기에서 화수를 이어 간다.[11] 원화 이데우에 요시히데(井手上義英), 에바타 쿄헤이, 모모후지(百藤), peach, 아벨 공고라 등.[12] 원화: 요시야마 유우, peach, 토미오카 카이토, 아오키 슌스케 등.[13] 일본 TBS 방영 시각이 01:56으로 변경되었다. 사유는 배구 중계로 인한 방영 지연.[14] 원화: 요시다 토오루, 쿠로사키 하야토, 사카이 사토시, 에바타 쿄헤이, 사토 토시유키, 타나카 히로노리 등.[15] 일본 TBS 방영 시각이 01:34으로 변경되었다. 사유는 도쿄 2025 세계육상선수권 6일차 중계로 인한 방영 지연.[16] 당장 전 시즌의 번역이 가히 넷플릭스 애니메이션들 중에서도 안 좋게 번역된 케이스라, 원작 만화를 본 팬들의 반발이 거세다.[17] 단적으로 전 시즌의 9화의 전투 신이 그 예시인데, 정지 컷 및 재사용 컷이 비교적 많았고, 초반부 아이라의 전투 신과 종반부 피니시 장면을 제외하면 나머지 전투 신들은 크게 박진감이 떨어지거나, 동선이 꼬이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번 사안 편에서의 대규모 전투 신들을 재현 가능할까하는 우려가 꽤 있다.[18] 방영 전 우려중 하나인 빠르고 부드러운 전투 신이 될까하는 의문 점을 어느 정도 해소 시킨 PV로 시청자들의 좋은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19] 1차 pv부터 나왔지만, 2차에서는 초반부터 더 세세하게 공개됨으로서, 팬들의 기대치를 높였다.[20] 특히 1기 마지막 화 이후 바로 2기의 1화가 이어지는데, 도입부부터 작화의 디테일이 꽤 달라졌으며, 같은 배경과 인물인데도 느낌이 다르다는 인상을 줄 정도이다. 초반부 키토 일가와 모모의 격투씬 역시 눈에 띄게 움직임이 부드럽고, 하이라이트로 뽑히는 사안과의 전투씬은 앞선 우려를 말끔히 극복해낸 훌륭한 전투 신으로 평가받고, 전 시즌에서도 호평받은 추격 시퀀스는 더 속도감과 공간감 있게 연출되어, 이 역시 호평받는 요소이다.[21] 전 시즌의 최대 순위는 7위로 현 시즌의 경우 여러 화제 드라마와 넷플릭스 최대 흥행 시리즈 오징어 게임까지 있는 시즌이기에, 이 순위는 더욱 높은 의의를 가진다.[22] 대신 인기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사이트인 Laftel에서는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Season 2가 1위를 차지하였기에, Laftel에서 만큼은 전 시즌처럼 분기 인기 순위 1위는 수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23] 대한민국 포함 55개국에서 Top 10에 랭크되었다[24] 사안과 3인방의 1차전 전투씬은 슬로우 모션을 적극 활용해 묵직한 타격감과 임팩트를 잘 살렸으나, 속도감이 느려 아쉽다는 호불호가 어느 정도 있지만, 이후 나오는 아야세 세이코와 갯가재의 합류 전투씬은 이견없는 명장면으로 손꼽힌다.[25] 아벨 공고라 감독이 인터뷰에서 4화가 초반부의 클라이맥스가 될 것이라고 말했는데 1기와 마찬가지로 4화에서 초반부 최고점을 제대로 보여주었다.[26] 어린아이가 아무말이나 멜로디를 붙여 멋대로 부르는 느낌을 제대로 살렸다는 평가이며, 이 노래는 작화진 중 한명이 대충 만들었다고 한다.[27] 단적으로 경쟁작이자 넷플릭스 단독으로 송신되는 사카모토 데이즈는 1쿨의 인기와 달리 순위권에도 못드는 저조한 현상을 보였고, 또 다른 단독 경쟁작 히카루가 죽은 여름은 최대 순위 5위로 단다단 2기와 순위가 같았지만, 아무래도 단독 시리즈인 경향인지, 지속적인 순위 자체는 히카루가 죽은 여름이 높으며, 또 다른 단독 경쟁작 향기로운 꽃은 늠름하게 핀다의 경우에도 2화 공개까지 최대 순위 9위를 기록하며, 넷플릭스 단독 애니메이션 경쟁작들이 매우 많은 상황이다.[28] 이외에도 넷플릭스 단독이 아닌 매주 공개 작품으로 도원암귀괴수 8호, GACHIAKUTA등이 넷플릭스 순위권에 중 상위권으로 올라올 정도로 인기를 누리고 있으며, 분할 2쿨인 닥터 스톤 신작과 위치 워치 역시 매주 공개로 나오고 있어, 경쟁작은 단독 이외에도 많은 상황이며, 심지어 이는 넷플릭스에서의 경쟁이라면, Laftel과 같은 애니메이션 스트리밍 서비스와 같은 여러 곳에 방영되는 본 작의 경우 더 더욱 전 시즌에 비해 우여곡절이 많은 상황이다.피 튀기는 레드 오션이 아닐 수 없다[29] 감독 야마시로 후가 감독이 밝히길 시즌 2는 로맨스, 개그 장면들을 훨씬 대담하게 확장 했다고 인터뷰하여, 이후 남은 회차들에서도 다양한 연출이 어떻게 묘사될 지 귀추가 주목된다.[30] 참고로 기대밴드의 악기 세팅 시퀀스에서 기타 앰프를 설정하고 기타 픽을 비추는 장면은 영화 백 투 더 퓨처 도입부에 나오는 "CRM-114 amplifier" 장면의 구도를 그대로 따왔다.#[31] 기타리스트로 참여한 마티 프리드먼이 YOSHIKI의 게시물에 'X JAPAN에 대한 사랑과 존중으로 참여했다'는 인용을 남기고 이에 대해 YOSHIKI 역시'또 함께 세션하자'는 인용을 남기기는 했지만 감정이 풀린 것은 아니었다.[32] 특히 해당 주 차에 넷플릭스 인기 시리즈 중 하나인 웬즈데이(시즌 2)가 공개되는 주간이었다.[33] 특히 색감을 잘 살렸는데 처음엔 모모가 외로이 있을 때엔 어두워졌는데 오카룽이 오니 점점 밝아지는 것이 특징.[34] 종반부에도 원작에서 설명되는 터보 할멈이 오카룽에게 전투 리듬을 설명하는 장면은 그동안 나왔던 액션 시퀀스들을 나열하면서도, 장면들을 빨리 감기하여, 반복된 연출을 사용하지않았고, 보강되는 장면들로 보다 설명을 이해하기 쉽게, 연출한 것도 나름의 장점 요소로 뽑힌다.[35] 예시로 음악실에서 공연장으로 바뀌는 장면을 원작은 한컷에 담아냈으나, 애니메이션은 어느 정도만 배경으로 삽입하여, 보다 등장인물들과 액션씬에 더 집중하는 연출로 변경하였다.[36] 마치 마인크래프트에 등장하는 스티브가 떠오르는 복장 디자인에 이색적이고 따로노는 CG로 단번에 시선을 사로잡는 씬스틸러 역할을 톡톡히 해내었다.[37] 여기서도 사카타 킨타의 외모가 버프(?)되면서, 원작팬들의 반응도 엇갈렸다.[38] 2기 8화에서도 나왔던 시라토리 아이라의 전투씬을 이어서, 이번 화수에서도 그녀의 유연함과 빠른 속도를 카메라 워크로 세세하게 잡는 연출이 높은 호평을 받았다.[39] 대신에 피니쉬 연출이 작품 특유의 정지컷 완결은 호불호가 다소 갈린다.[40] 단적으로 전 시즌에 경우, 사건이 진행되는 도중에 시즌이 완결되었다면, 이번 시즌에 경우 사건에 전환점이 되는 시점에서 완결이 되면서, 클리프행어보다는 열린 결말 느낌으로 시즌이 완결되었다.[41] 9화의 경우에는 전투 초반에는 다소 움직임이 느리다는 평가도 있었으나, 작품 특유의 피니시 연출을 아주 잘 살린 작화와 색감으로 이 역시 명장면 중 하나로 손꼽힌다.[42] 대표적으로 5화에서 사안의 제령을 시도하는 장면, 사안이 밥상을 뒤엎는 장면 등.[43] 현 시즌에 경우에는 1~4화까지의 액션씬들은 피니시 장면들에서도 정지 화면 연출이 없었으나, 대표적으로 8, 9, 11, 12화에서 피니시 장면에서 정지 화면 연출이 있었는데, 지적을 받은 쪽은 마지막화에 해당되는 12화가 호불호가 가장 갈렸다.[44] 감독인 야마시로 후가가 원작을 최대한 재현하려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45] 물론 전 시즌에 이어보는 시청자 및 독자들이 다수 였고, 국내 커뮤니티에도 1기 마지막 화와 달리 반응이 호의적인 것을 넘어, 호평이 대다수였기에, 큰 결점으로는 뽑히지 않는다.[46] 그리고 이는 전 시즌에도 이러한 엔딩에다, 전 시즌과 같은 감독이 연출하였기에, 팬들은 예상 범위 안이 었고, 실제로도 예상이 들어맞았고, 전 시즌에 클리프행어는 허무하다는 평가와 진행을 하다 말았다는 평가가 대다수였는데 것에반해, 2기는 사건이 끝맺음맺고, 만화의 다음 에피소드를 기대하게 만드는 클리프헹어 이기에, 닫힌 결말을 선호하는 시청자들을 제외하고는 평가가 매우 좋은 수준이다.[47] 대신에 제작사인 사이언스 사루에 경우에도 제작하는 작품들이 대거 포진되어있고, 1기 완결 후 바로 2기 pv 및 포스터가 공개되면서, 방영 시기까지 정혀졌던 것과 달리 3기는 방영 확정 축전을 제외하면 정보가 없고, 이러한 상황을 토대로 다소 시간을 두고 제작될 가능성이 꽤 높다.[48] 실제로 대사 자체를 안하기도 했고, 숨소리 하나 정도 나왔기에, 중복 성우를 한 후, 이후 제대로 성우 캐스팅을 할 가능성도 있다.[49] 여담으로 언급된 두(위치 워치, 사카모토 데이즈)작품들은 본 작의 주연 성우들도 참여하는 작품들이다.[50] 거기에 극장판 애니까지 합친다면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에 참여하는 성우 하나에 나츠키는 본 작의 주인공 오카룽의 담당 성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