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2022년 개봉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브로커(영화) 문서 참고하십시오.
1. 개요
broker, 仲介人[1]도매상처럼 소비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중간 상인. 그러나 이들은 상품을 직접 제공하거나 구매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중개상은 판매자에게서 상품을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반면 브로커는 유통 과정에서 구매자, 판매자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정보만 판매한다.
한편 대리점과의 차이점도 들 수 있는데 대리점은 구매자 혹은 판매자 중 한 쪽을 대표하는 입장이지만 브로커는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거래를 중개하는 매개인이다.
2. 한국에서의 부정적 뉘앙스
한국에서는 범죄 조직과 수요자를 중개해 주고 수수료를 챙기는 사람이라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예를 들어 병역 브로커, 승부조작 브로커, 장기 밀매 브로커, 금융 브로커 등등이 있다. 북한에는 아예 탈북을 시켜주는 브로커가 있다. 이는 대한민국 언론이나 수사기관에서 이런 범죄를 저지르는 중개인을 굳이 '브로커'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뇌물죄, 알선수재죄, 변호사법 제111조 위반죄에서 자주 사용된다. 반면 앞서 말한 합법적인 중개인은 상법상에 중개상이라는 용어가 있다. 좀 속되게는 일본어 잔재론에서 파생된 '나까마'(仲間)라고도 한다.[2]
합법적 병역 브로커라는 신조어도 있는데, 일반적인 병역 브로커가 불법으로 병역비리를 알선하는 사람이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병역면제 혜택이 걸린 국제경기(주로 올림픽)에서 뛰어난 활약을 펼쳐 동료들의 병역면제에 큰 공로를 세운 선수를 지칭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대표적으로 이승엽이 있다.
이러한 불법적인 일을 해결하는 해결사를 영어로는 픽서라고 부르기도 한다.
본래 브로커에 해당하는 한국어 단어인 거간꾼이 있었으나 부정적 뉘앙스가 너무 강해 현재는 정치계에서 거의 멸칭으로만 쓰이고 있다.
3. 세부 업종
특정 상품을 원하지만 판매자를 모르는 구매자, 특정 상품을 제공할 수 있지만 구매자 정보를 모르는 판매자, 이 두 사람만 존재한다면 어떤 업종이든 브로커가 존재한다.- 인력 파견, 인력 소개
- 전문직 브로커
4. 북한에서의 브로커
관련 문서: 대북송금, 탈북
북한의 인터넷 통제 | 탈북민 인터뷰 #4 (탈북민 박진하, 통화브로커) |
전화 브로커를 통해 연락이 닿은 南 엄마 北 딸의 실제 통화 | 이제 만나러 갑니다 681 회 |
북한측 브로커는 현금[4]을 받아 북한 가족에게 전달하는데 만약 북한 가족이 내륙에 살고 있으면 직접 찾아가 가족들을 국경 쪽으로 데려와야 한다. 문제는 보위부가 탈북민 가족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고 있으며, 브로커가 찾아온다는 걸 역이용해 탈북민 가족에게 함정수사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잘 아는 북한 가족들은 진짜 브로커가 왔어도 보위부 스파이로 의심해 문전박대하기 일쑤이며 브로커는 의심을 해소하기 위해 사전에 탈북민에게 알아둔 가족들만 아는 비밀을 대기도 한다. 이렇게 감시를 피해 가족을 북중국경 쪽으로 데려오면 전화 통화를 시키고 사진을 찍어 돈이 잘 전달되었음을 인증한다.
북한에서의 브로커 활동은 거의 목숨을 내놓고 하는 것과 다름없다. 북한 정권이 인신매매범[5]이나 남조선과 내통한 간첩 혐의를 씌워 정치범수용소행이나 사형당할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는 이유는 당연히 돈. 보통 브로커가 챙기는 송금 수수료가 30%이고 코로나 봉쇄 이후로 북한 정권의 감시와 통제가 심해져 위험 부담 때문에 수수료가 50%에 달하게 되었다. 한 번 송금할 때마다 수십~수백만 원씩 벌 수 있으니 북한에서는 엄청나게 큰 돈이기 때문이다.
2010년대 중반 이후 중국에서도 스마트폰이 상용화되고 카메라 성능도 좋아짐에 따라 위챗이 주로 사용된다. 위챗을 통해 영상통화도 가능해졌고 한국에 있는 탈북민들에게 가족의 사진과 편지, 동영상도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대용량 파일 전송도 가능해져서 북한 내부 문서가 사진으로 유출되어 대북소식통으로 이용되기도 하고 한국 드라마와 영화가 유입되는 경로로도 이용되고 있다. 물론 보위부도 손놓고 가만히 있는 건 아니다.#
2020년 코로나 사태 이후로 북중국경 지역에서 대대적인 봉쇄와 함께 보위부가 집중 단속을 벌여 브로커의 90%가 사라졌다고 한다. 브로커 수가 급감하고 처벌 수위가 강해져 40~50%로 급등한 송금 수수료가 2023년에도 내려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5. 관련 문서
[1] 중개인.[2] 원래는 직역하면 동료라는 뜻이다.[3] 북한 사람으로 보통 밀수꾼도 겸한다.[4] 주로 위안화[5] 실제로 북한 여성을 일자리 알선을 미끼로 속여 중국 남성들에게 팔아먹는 사례도 빈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