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02:55:11

아프로아시안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문서는 단순히 아프리카 흑인과 아시아의 모든 인종 사이에서 태어난 인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특정 언어 집단인 아프리카아시아어족(Afro-Asiatic)}}}에 대한 내용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문서는 단순히 아프리카 흑인과 아시아의 모든 인종 사이에서 태어난 인구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서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특정 언어 집단인 아프리카아시아어족(Afro-Asiatic): }}}[[아프리카아시아어족]]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파일:C83D692E-8B6F-4CEA-BE2B-ECD18D401E74.jpg
수리남의 중국인 남성과 아프리카계 크리올 여성으로 이루어진 가정
아프로아시안(Afro-Asian)은 아프리카인아시아인 사이에서 태어난 사람을 뜻한다. 보통 아프로아시안에서 아프리카인은 흑인만을 뜻하고, 아시아인은 말 그대로 아랍인, 중국인, 인도인아시아 대륙에 있는 모든 민족을 뜻한다. Blasian(블레이시안)이라고도 한다.

2. 지역별 아프로아시안

2.1. 서아시아

2.1.1. 사우디아라비아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인구 약 10%가 사우디 아랍인과 흑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프로아시안이다.# 자발적으로 이주하거나 귀화한 흑인의 후손도 있지만, 대부분 노예무역으로 유입된 흑인들의 후손이다.#

3. 남아시아

3.1. 인도/파키스탄/스리랑카

인도 반도의 아프로아시안 민족으로 시디족(Siddis)이 있다. 파키스탄에서는 쉬디(Sheedis), 스리랑카에서는 카피르(Kaffirs)라고 부르는데, 시디족은 서기 628년, 현재의 파키스탄 발루치스탄 지역에 아랍 상인이 끌고 온 흑인 노예가 현지인들과 통혼한 것이 시초라고 한다. 그 외에도 흑인 선원, 아프리카 상인, 계약직 하인들도 시디족의 조상으로 추정된다. 현재는 인도에 약 7만명, 파키스탄에 최대 100만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4. 동남아시아

4.1. 필리핀

아프리카계 필리핀인들은 필리핀 사회에서 별다른 이슈와 갈등 없이 수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런 현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필리핀의 원주민인 아에타족과 네그리토 등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흑인과 생김새가 유사한 집단이라는 점이 꼽힌다.

5. 유럽

5.1. 영국

과거 영국령이었던 남아시아계 영국인과 나이지리아계 영국인 사이에서 태어난 아프로아시안이 가장 많다. 남아시아계 중에서는 인도계가 가장 많고, 자메이카 등지의 카리브 출신 흑인 계열도 적지 않은 편이다.

6. 동아시아

6.1. 대한민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 흑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 흑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한국 흑인#|]][[한국 흑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 일본

오키나와류큐인주일미군 사이에서 태어난 경우가 많았으며, 이후 미국으로 이주하는 사례도 잦았다.

7. 아프리카

중국인, 일본인, 인도인 등이 아프리카로 이주하여 태어난 아프로아시안들이 있었다. 인도인은 과거 영국에 의해 관리자와 노동자로 고용되어 아프리카로 많이 이주했고, 중국인은 중국의 경제 발전과 팽창 정책에 따라 아프리카와의 교역과 인프라 건설을 위해 노동자들이 아프리카로 많이 갔다.

1970년대 구리와 코발트 수요가 증가하자 일본은 콩고민주공화국의 카탕가 주 남동부 지역에 투자했고, 10년 동안 1,000명 이상의 일본인 광부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했다. 가족 없이 콩고에 온 광부들은 전원 남성이었으며 규율이 빡빡한 숙소에서 살았고, 이성 관계를 원하던 광부들이 현지 여성과 관계를 맺으며 아프로아시안 아기들이 태어났다. 그런데 이 아기들의 대부분이 출생 직후 사망하는 일이 발생했고, 지역 주민들은 일본인 주치의와 간호사에 의해 독살당했다고 보았다.#

7.1. 마다가스카르

오스트로네시아계인 말라가시인과 아프리카계인 반투족의 교류가 많았던 만큼 혼혈도 많다. 이외에도 인도인도 많이 진출해 있다.

8. 실존 인물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9. 가상 인물


[1] 이쪽은 1/4만 한국계인 쿼터다. 아버지가 흑인이고 어머니가 한흑혼혈이기 때문이다. 다만 어린 시절부터 양조모 밑에서 한국인으로 살아왔고 한국 국적이기 때문에 혈통상으로만 흑인에 더 가까울 뿐 법적으로, 정신적으로는 완벽한 한국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