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0:03:14

아퀴타니아어

아퀴타니아어
Aquitanian language
<colcolor=#000000,#eeeeee><colbgcolor=#8ef6f6,#000000> 주요 사용 지역 프랑스 가스코뉴 지방, 아키텐 지방
스페인 바스크 지방
사멸 중세 초기
원어민 없음
계통 바스크어의 고대형(고유럽 제어)
언어
코드
<colcolor=#000000,#eee><colbgcolor=#8ef6f6,#000000> ISO 639-3 xaq
[clearfix]

1. 개요2. 특징3. 어휘 비교

1. 개요

아퀴타니아어중세 초까지 피레네산맥 북동부에서 쓰였던 언어다.

2. 특징

아퀴타니아어는 피레네산맥 일대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사용되었는데, 오늘날의 바스크어 사용 지역보다도 화자들의 분포가 넓어서 스페인카스티야 지방과 프랑스가스코뉴 지방 및 아키텐 지방의 일부에도 화자가 살았다.

기원전 1세기경에 제작된 아퀴타니아어로 된 금석문에서 바스크어와 유사한 어휘가 대거 발견되었기 때문에, 당초부터 이 언어가 바스크어와 친연 관계에 있을 것이라는 설이 있었다. 이에 대해 미국 태생의 영국 언어학자인 래리 트라스크와 미국의 언어학자인 라일 캠벨은 이 언어가 바스크어의 조상일 가능성을 제시했다. 하지만 스페인의 언어학자인 호세 이냐시오 우알데는 현대 바스크어는 아퀴타니아어와는 직접적인 조상-후손 관계가 아닌 같은 어족일 가능성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바스크어족(Vasconic language) 가설을 제기했다. 그러던 중에 2024년에 발표된 연구 결과에 의해, 바스크어의 자매 언어가 아니라 고대형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이 언어가 바스크조어(Proto-Basque language)와 동일한 언어거나 그 후기형일 가능성이 커졌다.

한편, 이와는 별개로 어휘면에서 이베리아어와 상당히 유사한 부분이 많아서 아퀴타니아어와 그 후계 언어인 바스크어와 함께 바스크어족을 이룬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 2020년에 미국의 컴퓨터공학자인 레지나 바질레이와 중국언어학자인 뤄자밍이 공동으로 연구한 바에 의하면, 바스크어와 이베리아어가 친연 관계가 아니라고 하므로, 양자가 언어동조대 혹은 차용 관계에 불과했을 가능성이 커졌다. 그리고 아퀴타니아어가 바스크어보다도 분포 범위가 넓었다는 점에 착안해서, 독일의 언어학자인 테오 펜네만이 아퀴타니아어의 조어인 원시 바스크어가 프랑스어독일어 등의 현대 유럽 제어들의 기층언어바스크어 기층설을 제시했으나, 주류 언어학계는 바스크어가 역으로 인도유럽어족 계통 언어로부터 어휘를 받아들인 부분도 많아서[1], 이 가설에 대해 회의적으로 보는 편이다. 다만, 브리튼 제도선주민들의 언어가 원시 바스크어였다는 가설은 주류 학계에서도 많은 지지를 받는다[2]. 그러나 여기에도 브리튼 제도 선주민의 언어가 이베리아어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계열 언어이거나, 또다른 미지의 언어라는 이설이 존재한다.

3. 어휘 비교

아래는 스페인언어학자콜도 미첼레나[3]가 재구한 바스크조어를 바탕으로 만든 어휘 비교표이다.
아퀴타니아어 바스크조어 현대 바스크어
adin *adiN adin 나이, 판단
andere, er(h)e *andere andre 숙녀, 여성
andos(s), andox *andoś 군주, 지도자
arix *aris aritz 떡갈나무
artahe, artehe *artehe arte Quercus rotundifolia(떡갈나무의 일종)
atta *aTa aita 아버지
belex *beLe bele 까마귀
bels ?*bels beltz 검은색
bihox, bihos *bihos bihotz 마음, 심장
bon, -pon *boN on 좋은
bors *bors bost 다섯
cis(s)on, gison *gisoN gizon 남성
-c(c)o *-Ko -ko 지소접미사
corri, gorri *goRi gorri 빨강
hals- *hals haltza 오리나무
han(n)a? *aNane anaia 남자 형제
har-, -ar *aR ar 남성
hars- *hars hartz
heraus- *herauś herauts 멧돼지
il(l)un, ilur *iLun il(h)un 어두운
leher *leheR leher 소나무
nescato *neśka neska, neskato 소녀, 젊은 여성
ombe, umme *unbe ume 어린이
oxson, osson *otso otso 늑대
sahar *sahaR zahar 늙은
sembe *senbe seme 아들
seni *śeni sein 소년
-ten *-teN -ten 지소접미사(화석어)
-t(t)o *-To -t(t)o 지소접미사
-x(s)o *-tso -txo, -txu 지소접미사


[1] 대표적으로 도끼를 뜻하는 바스크어 단어인 aizkora는 동일한 의미의 라틴어 단어인 asciola에서 차용한 어휘다.[2] 일례로, 고대 아일랜드어을 뜻하는 adarc가 바스크어 adar의 차용어라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3] 바스크어바스크 문화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학자로, 그 자신도 바스크족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