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3:28:35

아돌프 프레드리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7C 0%, #006AA7 20%, #006AA7 80%, #00377C); color: #fff; min-height: 31px"
{{{#fe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화시대 국왕
<rowcolor=#fff> 문쇠 왕조 스텐실 왕조
승리왕 에이리크 올로프 솃코눙 아눈드 야코프 노인 에문드 스텐실
<rowcolor=#fff> 스텐실 왕조
에리크 7세 할스텐 스텐실손 아눈드 고르드셰 호칸 뢰데 잉에 1세
에리크 8세
블로트 스벤 잉에 1세 필리프 할스텐손 잉에 2세 랑발드
<rowcolor=#fff> 에스트리드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에스트리드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망누스 1세 스베르케르 1세 에리크 9세 망누스 2세 칼 7세
<rowcolor=#fff> 에리크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크누트 1세 스베르케르 2세 에리크 10세 요한 1세 에리크 11세
<rowcolor=#fff> 에리크 왕조 폴쿵 왕조
크누트 2세 에리크 11세 발데마르 망누스 3세 비르예르 망누손
<rowcolor=#fff> 폴쿵 왕조 메클렌부르크 왕조 칼마르 동맹
망누스 4세 알브렉트 마르가레타 에리크 13세 크리스토페르
에리크 12세
호칸
<rowcolor=#fff> 칼마르 동맹 바사 왕조
칼 8세 크누트손 크리스티안 1세 요한 2세 크리스티안 2세 구스타브 1세 바사
<rowcolor=#fff> 바사 왕조
에리크 14세 요한 3세 시기스문드 칼 9세 구스타브 2세 아돌프
<rowcolor=#fff> 바사 왕조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크리스티나 여왕 칼 10세 구스타브 칼 11세 칼 12세 울리카 엘레오노라
<rowcolor=#fff> 헤센카셀 왕조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프레드리크 1세 아돌프 프레드리크 구스타브 3세 구스타브 4세 아돌프 칼 13세
<rowcolor=#fff> 베르나도테 왕조
칼 14세 요한 오스카르 1세 칼 15세 오스카르 2세 구스타프 5세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칼 16세 구스타프 }}}}}}}}}}}}
<colbgcolor=#a80d53><colcolor=#ffffff>
스웨덴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초대 국왕
아돌프 프레드리크
Adolf Fredrik
파일:Adolf_Fredrik_by_Lorens_Pasch_d.y._-_no_frame_(Nationalmuseum,_15309).png
출생 1710년 5월 14일
슐레스비히 공국 슐레스비히 고토르프 성
사망 1771년 2월 12일 (향년 60세)
스웨덴 스톡홀름 스톡홀름 왕궁
재위기간 스웨덴 국왕
1751년 3월 25일 ~1771년 2월 12일
서명 파일:아돌프 프레드리크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80d53><colcolor=#fff> 가문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
아버지 홀슈타인고토르프의 크리스티안 아우구스트
어머니 바덴두를라흐의 알베르티나 프레데리카 공녀[1]
형제자매 요하나 엘리자베트[2],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3], 게오르크 루트비히
배우자 프로이센의 루이제 울리케 공주 (1744년 결혼)
자녀 구스타브 3세, 칼 13세, 프레드리크 아돌프, 소피아 알베르티나
종교 루터교회 }}}}}}}}}

1. 개요2. 생애
2.1. 식탐으로 인한 어이없는 사망
3. 가족관계
3.1. 자녀

[clearfix]

1. 개요

스웨덴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의 초대 국왕이자 225년만에 등극한 올덴부르크 왕조계의 스웨덴 국왕이다.

러시아 제국의 여제 예카테리나 2세의 외삼촌이기도 하다.

2. 생애

1727년부터 1750년까지 뤼베크영주 주교였고, 1739년 사촌인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4]가 사망하자 조카 카를 페터 울리히[5]를 보좌하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가문의 시종으로 발탁되었다. 1741년 집권한 러시아 제국옐리자베타 페트로브나는 카를 페터 울리히를 차르 후계자로 지명했다. 덕분에 그는 자신이 스웨덴 왕위 계승자가 되는데 힘을 보태 줄 후원자를 확보할 수 있었다. 1741~1743년 러시아-스웨덴 전쟁에서 패배한 스웨덴은 1743년 6월 23일, 옐리자베타 여제의 요구에 따라 그를 스웨덴 왕위 계승자로 지명했다. 1744년, 프로이센 왕국프리드리히 빌헬름 1세의 6녀 루이제 울리케(1720년 ~ 1782년)와 결혼했다. 따라서 프리드리히 대왕은 그의 처남이다. 이 젊은 부부는 처음엔 하타르당을 지지했지만 얼마 후 거리를 두었다.

1751년 3월 25일 프레드리크 1세가 자녀 없이 사망하자 스웨덴 왕위를 계승했다. 그는 옐리자베타 여제의 의도와는 달리 러시아의 꼭두각시가 될 생각은 추호도 없었고 왕비의 조언에 따라 스웨덴의 권력을 틀어쥐고 있는 하타르당을 견제하기 위해 뫼소르당을 후원했다. 또한 백성들의 지지를 끌어내기 위해 스웨덴 전역을 여행했다. 그러나 이러한 왕의 행보에 의회가 반발하면서, 행정이 거의 마비되었다.

1756년 6월, 국왕 지지파는 권력을 잡기 위한 정변을 계획했으나 실패했고 그들 중 몇 명이 처형되었다. 왕과 왕비는 그들의 왕권 강화 노력을 중단하거나 물러나라는 최후 통첩을 받았다. 결국 의회가 모든 권력을 쥐는 것을 허용하는 조건으로 왕위를 유지하는 쪽을 택했다.

이후 1766년 안데르스 쉬데니우스의 주도로 언론자유법(tryckfrihetsförordning)이 제정되는 것을 허용했으나, 1768년 장남 구스타브의 도움에 힘입어 의회로부터 왕권을 되찾는데 성공했다.

2.1. 식탐으로 인한 어이없는 사망


하지만 이렇게 간신히 되찾은 왕권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다가 1771년 2월 12일 폭식의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사순절이 시작되는 2월 13일 재의 수요일 이전에 기름진 고기 등을 맘껏먹는 기름진 화요일이라는 축제가 있었는데, 이미 만찬으로 고기와 랍스터 같은 요리들을 거하게 즐긴 상황에서 디저트로 나온 셈라라는 을 정신없이 무려 14그릇이나 먹어치운 것이 사망의 원인이 되었다.

셈라는 속재료부터 많이 차있는 빵이기 때문에 보통 아무리 많이 먹어도 하나 이상을 먹기 힘들지만, 주변의 궁정 신하와 하녀들도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어렸을 적부터 식탐이 대단했다고 증언했다. 이후 침소로 돌아온 아돌프 프레데리크는 어지럽고 속이 메슥거린다고 호소하다 쓰러졌고 끝내 사망하고 만다. 증세로 보면 폭식으로 인해 유발된 뇌졸중이 사인으로 추정된다. 특히 당시 기준으로는 고령에 속하는 만 60세였으니...

다만 이에 대해서는 루머라는 반론도 있다.

3. 가족관계

3.1. 자녀

자녀 이름 출생 사망 배우자 / 자녀
1남 구스타브 3세
(Gustav III)
1746년 1월 24일 1792년 3월 29일 덴마크의 소피 마그달레네 공주
슬하 2남[6]
2남 칼 13세
(Charles XIII)
1748년 10월 7일 1818년 2월 5일 홀슈타인고토르프의
헤트비히 엘리자베트 샤를로테
3남 외스테르예틀란드 공작 프레드리크 아돌프
(Frederick Adolf, Duke of Östergötland)
1750년 7월 18일 1803년 12월 12일
1녀 크베들린부르크 수녀원장 소피아 알베르티나
(Sophia Albertina, Abbess of Quedlinburg)
1753년 10월 8일 1829년 3월 17일

[1] 칼 9세의 딸 카타리나 공주의 후손이다.[2]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나 2세의 어머니.[3] 아들 빌헬름이 올덴부르크 대공국의 초대 대공이다. 본인은 올덴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1세.[4] Karl Friedrich von Holstein-Gottorp 1700~1739. 스웨덴 국왕 칼 11세의 외손자로, 원래는 이모인 울리카 엘레오노라보다도 왕위계승권이 앞섰던 사람이다.[5] 훗날 러시아 제국표트르 3세[6] 구스타브 4세 아돌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