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00:36:40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개그콘서트의 코너에 대한 내용은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개그콘서트의 코너:
사이보그지만 괜찮아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박찬욱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펼치기 · 접기 ]

상세정보 링크 열기

역대 베를린 국제 영화제
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은곰상: 알프레드 바우어상
<rowcolor=#000000> 제56회
(2006년)
제57회
(2007년)
제58회
(2008년)
더 마인더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레이크 타호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2006)
I'm a Cyborg, but That's OK
파일:external/pds19.egloos.com/c0026408_4c06029e47cbe.jpg
장르 SF, 멜로/로맨스, 판타지
감독 박찬욱
각본 정서경, 박찬욱
제작 이태헌
조감독 석민우
촬영 정정훈
조명 박현원
편집 김상범, 김재범
동시녹음 정진욱
미술 류성희, 오제관
음악 조영욱
출연 임수정, 정지훈
제작사 모호필름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J엔터테인먼트
제작 기간 2006년 3월 29일 ~ 2006년 8월 11일 #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년 12월 7일
상영 시간 105분
총 관객수 739,481명
월드 박스오피스 $4,642,401
스트리밍 왓챠 | TVING | Wavve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시놉시스3. 예고편4. 출연5. 평가
5.1. 평론가 평
6. 여담7. 인터뷰

[clearfix]

1. 개요

파일:cyborgARTPOSTER.jpg
CGV 용산아이파크몰 아트하우스 박찬욱관에 전시된 아트 포스터 (제작: 프로파간다)

2006년에 개봉한 박찬욱 연출, 임수정, 정지훈 주연의 한국 영화.

2007년 제57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되어 알프레드 바우어상[1]을 수상했다.

2. 시놉시스

신세계 정신병원 선정

우리 둘만 아는 비밀, 그녀는 싸이보그다!

엉뚱한 상상과 공상이 가득한 신세계 정신병원.
이곳에 형광등을 꾸짖고 자판기를 걱정하며 자기가 싸이보그라고 생각하는 소녀 '영군'(임수정)이 들어온다. 남의 특징을 훔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일순’(정지훈)이 새로 온 환자 영군을 유심히 관찰한다.

싸이보그는 밥 먹으면 안돼?

자기도 보통이 아니면서 서로가 더 특별해 보이는 그들!
싸이보그는 밥을 먹으면 안 된다는 생각 때문에 점점 야위어만 가는 영군을 위해 일순은 자신의 능력을 총동원한다. ‘수면 비행법’을 훔쳐 영군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해주고 ‘요들송’ 실력을 훔쳐서 우울해하는 영군에게 노래도 불러준다.
그리고 특별히 영군의 ‘동정심’을 훔쳐 그녀의 슬픔을 대신 느낀다.

찌릿찌릿... 두근두근
우리 사랑은 충전 중!

싸이보그가 고장 나면 언제든지 달려가겠다며 ‘평생 AS 보장’을 약속하는 일순과, 싸이보그는 그러면 안되지만 일순 때문에 자꾸 맘이 설레는 영군. 그래도 영군은 여전히 밥을 거부하며 위험한 지경에 이르고, 일순은 그녀를 위해 최후의 방법을 준비한다.

내가 널 사랑하니까, 네가 날 사랑하니까,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3. 예고편

4. 출연

  • 임수정 - 차영군 역
  • 정지훈 - 박일순 역
  • 김도연 - 간호사 역
  • 김병옥 - 판사 역[우정출연]
  • 김주복 - 오동수 역
  • 김춘기 - 이대평 역
  • 박병은 - 김준범 역
  • 박준면 - 왕곱단 역
  • 손영순 - 영군 외할머니 역
  • 송연수 - 일순 엄마 역
  • 오달수 - 신덕천 역
  • 오태봉 - 사고 운전자 역
  • 이용녀, 유호정[어린시절] - 영군 엄마 역
  • 이경은 - 여환자 역
  • 이영미 - 오설미 역
  • 이정용 - 영군 이모부 역
  • 이지현 - 영군 이모 역
  • 장취하 - 대평 부인 역
  • 조영숙 - 식당 아줌마 역
  • 주유랑 - 아나운서 역
  • 주희 - 손은영 역
  • 천성훈 - 황규석 역
  • 최희진 - 최슬기 역

5. 평가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93208><bgcolor=#f93208> 파일:로튼 토마토 로고 화이트.svg ||
신선도 92% 관객 점수 78%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f6c700><tablebordercolor=#f6c700><tablebgcolor=#fff,#1c1d1f> [[IMDb|
파일:IMDb 로고.svg
]]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14181c><tablebordercolor=#1418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 XXX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c0><bgcolor=#fc0> 파일:알로시네 화이트 로고.svg ||
전문가 별점 3.0 / 5.0 관람객 별점 3.2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00><bgcolor=#000> 파일:키노포이스크 로고(2021).svg ||
별점 7.060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00><#fff,#ddd> 파일:야후! 재팬 로고.svg ||
별점 3.01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333><bgcolor=#333> 파일:엠타임 로고.svg ||
평점 7.4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6699cc><#edf4ec> 파일:더우반 로고.svg ||
별점 6.5 / 1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2.4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50%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57675"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57675;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57675|{{{#!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5.12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6.00 / 10
관람객
없음 / 10
네티즌
5.12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6.7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없음%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5e2a><tablebordercolor=#ff5e2a><tablebgcolor=#fff,#191919><:> [[MRQE|
MRQE
]] ||
평점 없음 / 100



박찬욱의 전작들보다는 쉬운 편이라는 소식에 평이한 영화일 것으로 기대한 사람들이 많아, 개봉 첫주에는 예매 1위를 기록하는 등 선전하였다. 그러나 기대보다 역시 난해한 편으로, 결국 80만명밖에 들지 않았다. 12월 7일에 개봉했는데, 2주 뒤인 21일에 "하루 관객이 5명"이라는 기사가 나왔을 정도.[4] #

비록 흥행에 실패하고, 작품성에 대한 평가도 갈리지만, 임수정이 보여준 연기는 높은 평가를 받았다. 임수정에게 연기파 배우라는 이미지를 각인시켜준 작품이다.

5.1. 평론가 평

★★★
초현실적 소꿉놀이, 챙긴 자의 여유로구먼
박평식
★★☆
맥락이 실종된 알레고리의 허망한 놀이터
유지나
★★★☆
당신의 망상을 즐겨라. 하지만 밥은 먹어라. 옳소!
황진미
★★★☆
영화란 결국 다른 세상을 꿈꾸는 것
이동진
★★☆
‘환자’들의 망상에 대한 ‘비환자’의 망상
남다은

6. 여담

  • 박찬욱은 딸과 함께 볼 수 있는 영화를 만들고 싶었다고 한다.#
  • 박찬욱의 첫 디지털 카메라 촬영 영화다. 사용한 카메라는 톰슨 바이퍼.[6][7] 친절한 금자씨와 텀을 보면 알겠지만, 본인은 부담없이 휴가 내는 기분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극예술연구회가 연극으로 각색했다. 정현주 연출의 <하我얀>으로 2016년 5월 19일부터 21일까지 서울대학교 14동 인문소극장에서 공연했다.
  • 박찬욱의 인터뷰에 총몽최종병기 그녀를 언급한 걸 보면 두 작품을 참고한 부분이 있는 듯 한데, 두 만화에 사이보그 여주인공이 등장한다.
  • 박찬욱의 전작 친절한 금자씨에 출연한 배우들이 나온다. 의사 역의 최희진, 설미 역의 이영미, 영군 엄마 역의 이용녀는 친절한 금자씨에 각각 죄수/입양직원, 원모 엄마, 재경 엄마 역으로 출연했다.
  • 박찬욱 스스로 자신의 진정한 팬을 판단하는 기준은 이 영화의 감상 유무라고 밝혔다.
  • 2007년에 방영한 MBC 무한도전 닥터스 특집에서, 유재석이 초반에 입장하는 박명수에게 왜 의사 가운을 입고 돌아다니냐고 묻자 "춥잖아요"라고 대답하는데 이에 자막으로 "알고보니 싸이코지만 괜찮아 주인공..."이라고 영화 제목을 패러디했다.
    파일:없없무_사괜.png
  • 125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해외 씨네필 트리뷰트 유튜브 채널 i'm cyborg but that's ok가 영화의 영어 제목을 그대로 사용했다. 이 영화와 Funeral Suits의 We Only Attack Ourselves라는 곡을 섞어 만든 트리뷰트가 해당 채널의 첫 번째 영상이다.
  • 극중 영군(임수정)과 최슬기(최희진)는 각각 서로를 '영군이', '최슬기 선생님'이라 불러 영군이 최슬기보다 나이가 어린 것처럼 보이는데, 각 배역을 연기한 임수정과 최희진은 1979년생 동갑내기이다.
  • 정지훈은 극중 영군(임수정)의 총격신 촬영 중 유리 파편이 튀어 부상을 입었다고 한다. #
  • 정신병원 전문의들에게 의학 자문을 받았다. 극중 최희진이 연기하는 정신병원 의사 '최슬기'의 배역명은 의학 자문에 참여한 세브란스정신건강병원 최슬기의 이름을 딴 것으로 보인다. (엔딩 크레딧 참조) 참고로 치과 의사들에게 의학 자문도 받았는데, 아마 극중 등장하는 틀니와 관련된 것일 듯.
  • 임수정은 촬영을 위해 체중을 39kg까지 감량했다.
  • 박찬욱은 이동진과의 인터뷰에서 이 작품을 로맨틱 코미디로 생각하냐는 질문에, "이것이 로맨틱 코미디가 아니면 무엇이 로맨틱 코미디겠냐. 아무도 나의 머릿속을 인정해주지 않는 세계에서 그걸 받아들여주는 사람이 있다면 이것만큼 로맨틱한 일이 없다."고 답했다. #

7. 인터뷰



[1] 현재는 은곰상: 심사위원상으로 대체됐다.[우정출연] [어린시절] [4] 그나마도 배급사의 후속작을 유치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계속 걸은 것뿐이라고 한다.[5] 2005년에 개봉한 영화 안녕, 형아 음악 제작에 참여했다.[6] 이후 박쥐스토커에는 35mm 필름을 다시 쓰며, 아이폰으로 촬영한 영화 파란만장을 제외하면 디지털 카메라로 다시 찍기까지 10년이 걸렸다.[7] 톰슨 바이퍼로 촬영하기 전, 촬영의 결과물을 미리 확인해보기 위해 당시 이 카메라로 촬영한 데이비드 핀처의 영화 조디악 촬영 현장을 박찬욱이 직접 방문했다. 기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