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10:02:32

스피드 스케이팅/선수 목록

스피드 스케이터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스피드 스케이팅

1. 개요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활동한 현역 및 은퇴 선수들을 다루는 문서다.

2. 남자부

2.1. 대한민국

2.2. 국외

2.2.1. 네덜란드

  • 보프 더용[R]: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이자 2연속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2010, 2014). 2018 평창 동계올림픽까지 한국팀 코치를 맡았고 현재는 2019년부터 중국 대표팀 코치로 재직 중이다.
  • 스벤 크라머[R]: 동계올림픽 3연패(2010, 2014, 2018).
  • 요리트 베르스마[현역]: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키얼트 나위스[현역]: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토마스 크롤[R]: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 은메달리스트.
  • 패트릭 루스트[현역]: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은메달, 동메달리스트이자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2.2.2. 캐나다

2.2.3. 핀란드

2.2.4. 일본

  • 나가시마 게이이치로 [R]: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가토 조지 [R]: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모리시게 와타루 [현역]: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시미즈 히로야스[R]: 前 일본 선수.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금메달, 동메달리스트(동양인 최초 스피드스케이팅 금메달리스트).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 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신하마 타츠야 [현역]: 일본의 단거리 스페셜리스트.[39][40]

2.2.5. 중국

2.2.6. 미국

  • 댄 젠센[R]: 前 미국 선수.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1984 사라예보 동계올림픽 때부터 이어 오던 불운을 딛고 1994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땄다.
  • 샤니 데이비스[R]: 前 미국 선수.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동계올림픽 역사상 첫 흑인 금메달리스트다. 2005년까지 쇼트트랙을 겸업했다.
  • 에릭 하이든[R]: 前 미국 선수.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 전관왕. 그 이후에 사이클 선수로도 전향했다가, 지금은 완전히 은퇴했다.
  • 조이 맨티아[현역]: 미국 선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팀추월 동메달리스트.
  • 조이 칙[R]: 미국 선수.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500m 금메달리스트.[49][50]
  • 채드 헤드릭[R]: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5000m 금메달리스트.
  • 조던 스톨츠[현역]: 2023, 2024 세계선수권 500m, 1000m, 1500m 금메달리스트.[53] 1000m 세계신기록 보유중이다.

2.2.7. 그 외

3. 여자부

3.1. 대한민국

3.2. 국외

3.2.1. 중국

  • 왕베이싱[R]: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
  • 저우양[현역]: 스피드 스케이팅으로 전향한 前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 장훙[R]: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황위팅(사실상 은퇴): 대만 선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직전 중국 스피드 스케이팅 국가대표 유니폼을 입고 SNS에 올려 대만내에서 큰 논란이 일어났다. 평소 친하게 지냈던 중국 선수에게 선물로 받아 입은 것이고 해명했다. 올림픽 폐막 후 대만이 아닌 미국으로 갔으며 결국 대만 체육부가 2년 선수 자격 정지 징계를 내렸다.

3.2.2. 일본

  • 고다이라 나오[R]: 2010 벤쿠버 은메달리스트,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 은메달리스트.
  • 아야노 사토[현역]: 일본 선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타카기 나나[R]: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타카기 미호[현역]: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리스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 은메달리스트.

3.2.3. 캐나다

3.2.4. 네덜란드

3.2.5. 미국

  • 에린 잭슨[현역]: 미국 선수.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 브리트니 보[현역]: 미국 선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

3.2.6. 그 외

  • 마르티나 사블리코바[현역]: 체코 선수.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동메달리스트. 체코의 스피드 스케이팅 레전드.[98]
  • 카롤리나 에르바노바[R]: 체코 선수. 2018 평창 동계올림픽 500m 동메달리스트. 올림픽 이후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아이스 하키 선수로 전향했다.
  • 올가 파트쿨리나[현역]: 러시아 선수. 2014 소치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 예니 볼프[R]: 독일 선수. 2010 벤쿠버 동계올림픽 은메달리스트.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2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R] 은퇴[R] [현역] [현역] [현역] [R] [현역] [현역] [현역] [10] 스피드 스케이팅이 아닌 쇼트트랙 메달이다.[R] [R] [현역] [R] [현역] [현역] [R] [현역] [현역] [R] [R] [R] [현역] [현역] [R] [현역] [현역] [R] [29] 쇼트트랙 선수였으나 소치 올림픽 이후로는 롱트랙에 시간을 꽤나 투자를 하고 있다.[R] [31]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500m 2차 시기 때 모태범과 레이스했다.[현역] [현역] [R] [R] [현역] [R] [현역] [39] 하지만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는 출발과 동시에 균형을 잃어 20위에 머물렀다…[40]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이후 열린 월드컵 대회 500m 1,2차 모두 1위를 차지했다.[현역] [현역] [43]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전에 열린 월드컵 대회 때마다 메달을 받았으나 정작 홈 링크에서 열린 올림픽에서는 7위를 차지했다.[R] [R] [R] [현역] [R] [49] 당시 동메달리스트인 이강석과 함께 시상대에 올랐다.[50] 미국 명문대 프린스턴 대학교 출신으로 경제학과 중국어학을 전공했다.[R] [현역] [53] 무려 만 18세의 나이에 종목별 세계선수권 3관왕을 달성했고 이듬해 3종목 2연패를 했다.[현역] [현역] [현역] [R] [현역] [59] 2024년 귀화[60] 대한민국 국가대표로 획득한 것이다.[61] #[현역] [현역] [R] [R] [R] [R] [현역] [R] [70]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당시 남북공동 입장 때 남측 기수를 맡았었다.[R] [R] [현역] [현역] [R] [현역] [R] [R] [현역] [R] [현역] [현역] [현역] [현역] [85] 키가 188cm로 여자 선수들 중에서 매우 큰 편이다.[R] [87] 참고로 동계 올림픽 최초로 두 종목에서 메달을 딴 선수이며 평창 올림픽 이후에는 스피드 스케이팅에만 전념한다고 한다.[R] [89] 3000m, 5000m, 매스 스타트[R] [현역] [현역] [93] 2023-24 시즌까지는 쇼트트랙이였으나 2024 쇼트트랙 세계선수권 대회에서 부상을 당해 다음 쇼트트랙 시즌은 쉬기로 결정하고 잠시 스피드 스케이팅에 합류한 것이다.[94] 쇼트트랙에서만 딴 메달이다.[현역] [현역] [현역] [98] 심지어 체코에는 스피드 스케이팅 경기장도 존재하지 않는다![R] [현역] [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