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04:21:47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파일:소니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지주회사
소니 그룹 주식회사
PlayStation: Games & Network Services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재팬 아시아, 코리아, 아메리카),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 플레이스테이션 프로덕션, 번지, EVO, Audeze
Music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컬럼비아 레코드, 코리아), 소니 뮤직 퍼블리싱,
소니 뮤직 엔터테인먼트(일본)(소니 뮤직 레이블즈, 큔 뮤직, 뮤직 레인, 주식회사 차세대, 애니플렉스)
Pictures: Movies & TV Shows
소니 픽처스(컬럼비아 픽처스, 소니 픽처스 클래식, 소니 픽처스 이미지웍스, 소니 픽처스 애니메이션, 크런치롤 LLC, 소니 픽처스 엔터테인먼트 재팬, 코리아)
Entertainment, Technology & Services
소니 주식회사(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소니 엑스페리아), 소니비주얼프로덕트,소니사운드프로덕트, 소니 이미징 솔루션즈)
소니 글로벌 매뉴팩처링&오퍼레이션, 소니 프로페셔널, 소니 올림푸스 메디컬 솔루션즈, 소니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즈
Imaging & Sensing Solutions
소니 세미컨덕터 솔루션즈 그룹
Financial Services
소니 파이낸셜 그룹(소니 은행, 소니 손해보험, 소니 라이프 에이곤 생명, 소니 라이프 케어)
Mobility
소니 모빌리티
소니 혼다 모빌리티(50%)
New Initiatives
Airpeak, AI Initiatives, Sony AI Inc, aibo, STARSHERE
Small Optical Link for International Space Station (SOLISS)
소니 글로벌 에듀케이션, toio, Triporous, Sony Esports Project
기타
소니 크리에이티브 소프트웨어
제휴
JASM(6%), KADOKAWA(10%)
매각/관련기업
VAIO(5%), 소니 에너지 디바이스, S-LCD, 아이와, MGM 홀딩스, JDI | JOLED
CSR
스포츠 소니 센다이F.C. | 소니 오픈 인 하와이
HR 소니교육재단 | 학교법인 소니학원
싱크탱크 소니 CSL(컴퓨터 사이언스 연구소) | 소니 PCL(사진 화학 연구소)
역대 CEO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3791><tablebgcolor=#013791> 파일:PlayStation 아이콘 화이트.svgPlayStation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분류
역사 · 게임기 · 컨트롤러 · 게임 · 스튜디오 · 논란 · 인물
회사
SIE · SIEJA · SIEK · SIEA ·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 · 플레이스테이션 프로덕션 · EVO · 번지 · Audeze
서비스
PlayStation Network · PlayStation Plus · PlayStation Cloud Streaming · PlayStation Store
발표회
PlayStation Showcase · State of Play
OS
CellOS · Orbis · Orbis 2.0
연동 플랫폼
Windows PC · Android · iOS
게임 엔진
데시마 엔진 · 인섬니악 엔진 · 키네티카 엔진 · 타이거 엔진 · PhyreEngine · Soho Engine · Wwise
기타
PSSR · 폴리곤맨 · 플스방 · 플빠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America[1]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파일: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로고.svg[2]
기업 형태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의 산하
설립일 1994년 5월 18일[3]
업종 기타 제품 / 게임 사업
사업 내용 소프트웨어 유통 및 개발사 소통 담당
모션 캡쳐 및 로컬라이징 담당
대표 미정
소유자 소니
모기업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1. 개요2. 모션 캡처 스튜디오3. SIEA가 지닌 자회사 및 판매지역4. E3 참가

[clearfix]

1. 개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가 북미 시장을 잡기 위해서 1994년에 설립한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의 지사이며 실제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재팬보다 먼저 설립되었다.

너티 독SIE 산타 모니카 스튜디오 전부가 이 회사의 산하에 존재한다. SIE WWS 또한 이 곳과 관계성이 매우 짙다. 사실상 북미 게임의 퍼스트 파티는 전부 여기서 검토하고 내보낸다고 보면 된다. 오오 일본 게임의 퍼스트 파티는 SIEJA가 담당하고 있다.

여담으로 SIEA의 존재감은 다른 여타 SIE 회사보다 더 크며 SIEJA와 버금간다고 볼 수 있다. 그야 제일 먼저 설립되었으며 E3에 참가할 때마다 SCEA의 명의[4]로 참가하고 있으니깐 그 거대한 존재감을 느낄 수가 있다.

2. 모션 캡처 스튜디오

SIEA에는 샌디에이고 스튜디오에 아예 모션 캡쳐 스튜디오를 차려놨다. 바로 이 곳에서 너티 독의 모션 캡쳐가 진행되어지고 있는 것이다.참조 항공기 격납고 같이 매우 넓다고 표현되어 있으며 상세한 몸과 얼굴 캡쳐가 가능하다는 것 같다. 또한 오디오 녹음도 맡고 있는 듯 하다.

3. SIEA가 지닌 자회사 및 판매지역

SIEA가 지닌 자회사 및 판매지역은 의외로 많은 편이다. 내용은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과 비슷하다.

북아메리카 및 중앙 아메리카 및 남아메리카
  •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아메리카 (SIEA)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멕시코
    • 미국
    • 베네수엘라
    • 브라질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칠레
    • 캐나다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파나마
    • 페루

사실상 이 많은 목록을 전부 SIEA 혼자서 담당하고 있는 셈이다. SIEJA보다 더 힘들어보인다.

4. E3 참가

SIE가 E3에 참가할 땐, SIEA의 명의를 대서 참가한다. 역시 이유는 SIEA가 제일 E3 개최지랑 가까이 있기 때문이 아닐까 하고 생각된다. SIE WWS의 요시다 슈헤이도 계속해서 참가하고 있으며 SIEJA, SIEE의 관계자들도 E3에 참가해 관전하게 된다.

E3에 관련된 정보를 볼려면 E3 항목을 참조하면 된다.

4.1. E3 2011

E3 2011 항목을 참조

4.2. E3 2013

E3 2013 항목을 참조

4.3. E3 2015

E3 2015 항목을 참조


[1] 혼란방지용: SIEA의 약자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아시아가 아닙니다. 아시아 산하의 약자는 SIEJA(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재팬 아시아) 이기 때문에 이 항목은 북미 산하를 칭합니다.[2] 로고는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와 동일하다.[3] 소니가 플레이스테이션 사업을 시작하기 전인 1989년에 설립된 CSG 이미지소프트전신으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이름의 유래는 CBS/소니 그룹이다.) 이 회사는 주로 북미에서 활동했는데 1991년에 소니 일렉트로닉 퍼블리싱 산하의 소니 이미지소프트가 되었다가 1995년에 소니 일렉트로닉 퍼블리싱과 함께 SCEA에 흡수합병되어 산하의 989 스튜디오로 재편되었다가 2005년에 해체되었다.[4] 지금은 바뀐 명의인 SIEA로 참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