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2780 0%, #0033a8 20%, #0033a8 80%, #002780); color: #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1-60대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
| <rowcolor=#fff,#fff>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 <rowcolor=#fff,#fff>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 <rowcolor=#fff,#fff>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 <rowcolor=#fff,#fff>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 <rowcolor=#fff,#fff>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 <rowcolor=#fff,#fff>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제34대 | 제35대 | ||||||
| <rowcolor=#fff,#fff>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 <rowcolor=#fff,#fff>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5대 | ||||||
| <rowcolor=#fff,#fff> 제46대 | 제47대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
| <rowcolor=#fff,#fff> 제51대 | 제52대 | 제53대 | 제54대 | 제55대 | ||||||
| <rowcolor=#fff,#fff>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제60대(1기)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2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61대 이후 ] {{{#!wiki style="margin: -5px -1px" | <rowcolor=#fff,#fff> 제61대 | 제60대(2기) | 제62대 | 제63대 | 제64대 | |||||
| <rowcolor=#fff,#fff> 제65대 | 제66대 | 제67대 | 제68대 | 제69대 | ||||||
| <rowcolor=#fff,#fff> 제70대 | 제71대 | 제72대 | 제73대 | 제74대 | ||||||
| <rowcolor=#fff,#fff> 제75대 | 제76대 | 제77대 | 제78대 | 제79대 | ||||||
| <rowcolor=#fff,#fff> 제80대 | 제81대 | 제82대 | 제83대 | 제84대 | ||||||
| <rowcolor=#fff,#fff> 제85대 | 제86대 | 제87대 | 제88대 | 제89대 | ||||||
| <rowcolor=#fff,#fff> 제90대 | 제91대 | 제92대 | 제93대 | 제94대 | ||||||
| <rowcolor=#fff,#fff> 제95대 | 제96대 | 제97대 | 제98대 | 제99대 | ||||||
| <rowcolor=#fff,#fff> 제100대 | 제101대 | 제102대 | 제103대 | 제104대 | ||||||
| <rowcolor=#fff,#fff> 제105대 | 제106대 | |||||||||
| }}}}}}}}}}}}}}} |
| | ||||
| | ||||
| 제105대 저스틴 웰비 | → | 제106대 세라 멀랠리 | → | 승좌 예정 |
| 제106대 캔터베리 대주교 피선자 | |||
| <colbgcolor=#ff0100><colcolor=#fff> | |||
| | |||
| 출생 | 1962년 3월 26일 ([age(1962-03-26)]세) | ||
| 잉글랜드 서리주 워킹 | |||
| 국적 | | ||
| 거주지 | 잉글랜드 런던 | ||
| 재임기간 | 잉글랜드 보건사회 복지부 최고 간호 책임자[2] | ||
| 1999년 ~ 2004년 | |||
| 크레디션 주교[3] | |||
| 2015년 7월 22일 ~ 2018년 3월 8일 | |||
| 제133대 런던 주교 | |||
| 2018년 3월 8일 ~ 2026년 1월 28일 | |||
| 제106대 캔터베리 대주교승좌 예정 | |||
| 2026년 1월 28일 ~ | |||
| 서명 | |||
| 링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0100><colcolor=#fff> 신명 | 사라 (Sarah) | |
| 배우자 | 아이먼 멀랠리 | ||
| 학력 | 런던 사우스뱅크 대학교 (간호학 / 학사, 석사) | ||
| 사우스 이스트 신학 교육 기관[4] (신학 / 학사, 성직과정 수료 ) | |||
| 런던 대학교 헤이슬롭 칼리지 (목회학 / 석사 ) | |||
| 부제서품 | 2001년 9월 30일 | ||
| 서더크대성당 톰 버틀러 주교 주례 | |||
| 사제서품 | 2002년 10월 5일 | ||
| 클레펌성삼위일체성당 톰 버틀러 주교 주례 | |||
| 주교서품[5] | 2015년 7월 22일 | ||
| 캔터베리 대성당 저스틴 웰비 대주교 주례 | |||
| 크레디션 주교 승좌[6] | 2015년 7월 22일 | ||
| 캔터베리 대성당 저스틴 웰비 대주교 주례 | |||
| 런던 주교 승좌 | 2018년 3월 8일 | ||
| 세인트 메리르보 성당 저스틴 웰비 대주교 주례??? | |||
| 캔터베리대주교좌 승좌 | 2026년 1월 28일 | ||
| 세인트 폴 대성당 | }}}}}}}}} | ||
1. 개요
세라 멀랠리(Sarah Mullally)는 제133대 런던 주교이자 제106대 캔터베리 대주교로 피선된 성공회(잉글랜드 국교회)의 사제이다.역사상 최초의 여성 캔터베리 대주교로 기록되는 인물이다.
2. 생애
1962년생인 멀랠리는 젊은 시절 런던 병원에서 암 전문 간호사로 활동하며 환자 돌봄의 최전선에서 경력을 쌓았다. 1990년대 후반, 그녀는 영국 보건부에서 환자 경험 국장(Patient Experience Director)으로 근무한 후, 1999년 영국 간호사 수석관(Chief Nursing Officer for England)에 임명되며 최연소 기록을 세웠다. 이 직위에서 그녀는 국가 보건 서비스(NHS)의 간호 정책을 주도하며, 환자 중심 의료의 기반을 마련했다.2001년, 멀랠리는 사우스 이스트 신학 교육 연구소(South East Institute of Theological Education)에서 신학 훈련을 받고 성공회 안수 사제(ordained priest)로 임직했다. 이는 그녀의 ‘유일한 소명(one vocation)’으로서의 신앙 여정을 상징한다. 2004년 보건부 직위를 사임한 후, 런던 서튼 교구에서 전임 사역을 시작했으며, 2005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으로부터 간호 및 산파학 분야 공로로 ‘데임(Dame)’ 작위를 수여받았다. 2017년, 그녀는 리비 레인(Libby Lane) 주교의 2015년 첫 여성 주교 안수 이후 성공회 여성 역할 확대의 상징으로 런던 주교(Bishop of London)에 임명됐다. 이는 성공회 내 세 번째로 중요한 직위로, 2018년부터 상원(House of Lords) 의석을 차지하며 국가 정책에 목소리를 내왔다.
두 자녀의 어머니인 멀랠리는 2017년 취임 당시 “NHS와 교회에서의 두 경력을 가졌지만, 이는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하나의 소명이었다”고 회고했다. 그녀는 특히 2023년 동성 커플 축복 허용 투표에서 “교회의 희망의 순간(moment of hope)”이라 평가하며 진보적 입장을 드러냈으나, “많은 이에게는 부족하고, 다른 이에게는 과도하다”는 균형 잡힌 시각을 강조했다.
‘왕실 지명 위원회’(Crown Nominations Commission, CNC)의 만장일치에 가까운 결정으로 10월 3일 오전 10시경 다우닝가 10번지(영국 수상 관저)에서 공식 발표됐다. 이로써 전 세계 8,500만 성공회 신자들의 상징적 지도자로서의 역할을 이어받게 되었다.
3. 성향
페미니스트이며 동성애 문제에 관용적인 진보파로 분류된다. 보수파 성공회의 최대 교구인 나이지리아 성공회는 지난 10월 3일(이하 현지시간) 발표된 멀랠리 주교의 임명에 대해 “여성 리더십과 동성결합 축복 문제로 이어져 온 오랜 교리적 긴장을 무시한 파괴적인 결정”이라고 비판했다. 헨리 C. 은두쿠바(Henry C. Ndukuba) 대주교 명의로 발표된 성명에서 교회는 “여성 주교의 수장직을 받아들일 수 없는 다수 성공회 신자들의 신앙적 확신을 외면한 처사”라며 “특히 멀럴리 주교가 동성결혼을 지지해온 점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성명은 또한 이번 임명을 ‘이중적 위기’(double jeopardy)라고 표현하며,[7] 2023년 영국 성공회가 동성커플을 위한 기도문 사용을 승인했을 때 멀럴리 주교가 이를 “교회의 희망의 순간”이라 평가한 발언을 문제 삼았다.결국 보수파 성공회 교구들의 모임인 GAFCON은 2025년 10월 16일부로 잉글랜드 국교회와의 단절 및 세계성공회공동체에서 독립된 전세계성공회공동체 창립을 선언하였다. GAFCON 소속 주교들은 성경의 권위를 거부하는 것에 대해 성공회와 그 역사적인 “평등한 사람들 중 첫 번째”인 캔터베리 대주교와의 모든 관계를 끊고, 다가오는 2026년 총회에서 GAFCON은 새로운 행정 위원회의 의장을 선출할 것이며, 이로써 캔터베리 대주교와 경쟁할 “동등한 사람들 중에서 첫 번째” 경쟁자 탄생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GAFCON 내 성공회 지역교회들이 교회 헌법을 바꾸기도 쉽지 않고 내부에서도 완전한 이탈에 대한 이견이 제시되고 있기에 더 지켜봐야 한다는 분석도 이어지고 있다.
4. 여담
영국 백인 치고는 다소 특이한 성씨를 가지고 있어서 인도계 성씨나 아랍계 성씨로 오해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녀의 성씨 멀랠리(Mullally)는 아일랜드 성씨인 Ó Maolalaidh에서 유래한 것으로 인도계나 아랍계 성씨와는 관계가 없다. 아일랜드계인 남편 에이먼 멀랠리와 결혼하면서 남편 성씨를 따른 것이며 결혼 전의 원래 성씨는 바우저(Bowser)였다.5. 둘러보기
| | |
| <rowcolor=#fff> 제106대 캔터베리 대주교 세라 멀랠리 대주교 은하 | 106th Archbishop of Canterbury The Most Reverend and The Right Honourable Her Grace Sarah Mullally |
| | ||||
| | ||||
| 제132대 리처드 차르터즈 주교 | ← | 제133대 세라 멀랠리 주교 | → | 제134대 ??? 주교 |
| | ||||
| 제105대 저스틴 웰비 대주교 | ← | 제106대 세라 멀랠리 대주교 | → | 승좌 예정 |
| 종교별 최고 지도자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 기독교 | 가톨릭 | |
| 정교회 | |||
| 콥트 정교회 | |||
| 성공회 | |||
| 구세군 | |||
| 이슬람 | 수니파 | ||
| 시아파 | |||
| 이바디파 | |||
| 유대교 | |||
| 불교 | 티베트 불교 | ||
| 상좌부 불교 | |||
| 대승 불교 | |||
| 원불교 | |||
| 시크교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캔터베리관구 | ||||
| 캔터베리교구장 | 런던교구장 | 로체스터교구장 | 윈체스터교구장 서리 | 리치필드교구장 | |
| 공 석 | 데임 세라 엘리자베스 멀랠리 주교 | 조너선 로버트 깁스 주교 | 데보라 메리 셀린 주교 | 마이클 제프리 입그레이브 주교 | |
| 캔터베리관구 | |||||
| 헤리퍼드교구장 | 우스터교구장 | 바스 & 웰스교구장 서리 | 엑시터교구장 | 링컨교구장 | |
| 리차드 찰스 잭슨 주교 | 존 제프리 잉지 주교 | 루스 엘리자베스 워슬리 주교 | 로버트 로날드 에트웰 주교 | 크리스토퍼 "크리스" 로우슨 주교 | |
| 캔터베리관구 | |||||
| 치체스터교구장 | 솔즈베리교구장 서리 | 노리치교구장 | 엘리교구장 | 글로스터교구장 | |
| 마티 클라이브 워너 주교 | 카렌 마리사 고햄 주교 | 그레이엄 바함 어셔 주교 | 스티븐 데이비드 콘웨이 주교 | 레이첼 트레위크 주교 | |
| 캔터베리관구 | |||||
| 피터버러교구장 | 브리스톨교구장 | 옥스포드교구장 | 유럽교구장 | 세인트알반교구장 | |
| 도날드 스파고 알리스터 주교 | 비비안 프란시스 폴 주교 | 스티븐 존 린지 크로프트 주교 | 로버트 닐 이네스 주교 | 앨런 그레고리 클레이튼 스미스 주교 | |
| 캔터베리관구 | |||||
| 트루로교구장 | 버밍엄교구장 | 서더크교구장 | 세인트에즈먼드베리 & 입스위치교구장 | 첼름스포드교구장 | |
| 필립 이언 먼스티븐 주교 | 데이비드 앤드류 어쿼트 주교 | 크리스토퍼 토마스 제임스 체슨 주교 | 마틴 앨런 실리 주교 | 굴너 엘레너 "굴리" 프란시스-데카니 주교 | |
| 캔터베리관구 | |||||
| 코번트리교구장 | 레스터교구장 | 길포드교구장 | 더비교구장 | 포츠머스교구장 | |
| 크리스토퍼 존 콕스워스 주교 | 마틴 제임스 스노우 주교 | 앤드류 존 왓슨 주교 | 엘리자베스 제인 홀든 레인 주교 | 조나단 휴 프로스트 주교 | |
| 요크관구 | |||||
| 요크교구장 | 더럼교구장 | 칼라일교구장 | 서더르 & 맨교구장 | 체스터교구장 | |
| 스티븐 제프리 코트렐 대주교 | 폴 로저 버틀러 주교 | 제임스 윌리암 스코비 뉴컴 주교 | 피터 앤드류 이글스 주교 | 마크 사이먼 오스틴 터너 주교 | |
| 요크관구 | |||||
| 리버풀교구장 서리 | 멘체스터교구장 | 뉴캐슬교구장 서리 | 사우스웰 & 노팅엄교구장 | 셰필드교구장 | |
| 요크관구 | |||||
| 블랙번교구장 | 리즈교구장 | ||||
| 줄리안 튜더 헨더슨 주교 | 니콜라스 베인스 주교 | ||||
| ※ 밑줄 친 교구와 주교는 관구의 중심교구와 해당 교구의 교구장 대주교를 뜻한다. | }}}}}}}}} | ||||
| 영국 기사 서임자 (여성) British Dames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5px 0" | 같이 보기: 기사 서임자 (남성) | ||||||||||||
| GBE | |||||||||||||
| 엘런 테리 (1925) | 넬리 멜바 (1927) | 헬렌 그윈-본 (1929) | 헬렌 헤이먼 (2012) | ||||||||||
| DBE | |||||||||||||
| 이디스 에번스 (1946) | 데프니 듀 모리에 (1969) | 애거서 크리스티 (1971) | 시슬리 손더스 (1979) | 주디 덴치 (1988) | 매기 스미스 (1990) | 다이애나 리그 (1994) | |||||||
| 로이스 브라운-에번스 (1999) | 셜리 배시 (2000) | 엘리자베스 테일러 (2000) | 줄리 앤드류스 (2000) | 제인 구달 (2003) | 헬렌 미렌 (2003) | 조안 플로라이트 (2004) | |||||||
| 세라 멀랠리 (2005) | 비비안 웨스트우드 (2006) | 재클린 윌슨 (2008) | 자하 하디드 (2012) | 제럴딘 앤드루스 (2013) | 안젤라 랜스버리 (2014) | 메리 퀀트 (2015) | |||||||
|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 (2015) | 안나 윈투어 (2017) |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2017) | 줄리 월터스 (2017) | 캐서린 그레인저 (2017) | 메리 비어드 (2018) | 엠마 톰슨 (2018) | |||||||
| 로잘린 히긴스 (2019) | 트위기 (2019) | 수잔 힐 (2020) | 올리비아 뉴튼 존 (2020) | 앤 마리 라퍼티 (2020) | 실라 행콕 (2021) | 바네사 레드그레이브 (2022) | |||||||
| 조애나 럼리 (2022) | 에마 토머스 (2024) | 이멜다 스턴톤 (2024) | |||||||||||
| ※ 참고: List of Dames Commander of the Order of the British Empir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