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서진
1. 개요
서진 사마왕조의 계보를 서술한 문서.2. 시조
중려(重黎) | 신화 시대 | 하관(夏官) |
휴부(休父) | 주나라 말기 | 정백(程伯) |
사마앙(司馬仰) | 진한 교체기 | 은왕(殷王) |
3. 자앙팔세
사마앙으로부터 8대손 이후.사마균(鈞) | 사마량(亮) | 사마준(雋) | 사마방(防) | 사마랑(朗) |
사마의(懿) | ||||
사마부(孚) | ||||
사마규(馗) | ||||
사마순(恂) | ||||
사마진(進) | ||||
사마통(通) | ||||
사마민(敏) |
4. 사마팔달
사마방의 출중한 아들 8명과 그 자손들.- 황제 또는 황제로 추봉된 사람은 이름을 굵게 표시합니다.
- 출계(出系)는 취소선, 계자(系子)는 밑줄로 표시합니다.[1]
4.1. 사마랑 백달
<colcolor=#000>사마랑(朗) | <colcolor=#000>사마망(望)[2] | <colcolor=#000>사마혁(弈) | <colcolor=#000>사마기(奇)[3] |
사마정(整)[5] | 사마매(邁)[6] | ||
사마무(楙)[7] | |||
사마유(遺) | 사마홍(洪)[8] | 사마위(威)[9] | |
사마혼(混)[10] | <colcolor=#000>사마도(滔)[11] | <colcolor=#000>사마휴(休) | |
사마진(珍)[12] | <colcolor=#000>사마범지(範之)[13] | <colcolor=#000>사마수(秀)[14] |
4.2. 사마의 중달
<colcolor=#000>사마의(懿) | <colcolor=#000>사마사(師) | <colcolor=#000>사마유(攸)[15] | <colcolor=#000> | ||
사마경(冏)[19] | <colcolor=#000>사마초(超)[20] | ||||
사마영(英)[22] | |||||
사마유지(柔之)[24] | 사마건지(建之)[25] | ||||
사마소(昭) | 사마염(炎) | → 서진 황실 항목으로 | |||
사마조(兆)[27] | 사마경(景)[28] | ||||
사마헌(憲)[29] | |||||
사마지(祗)[30] | |||||
사마하(遐)[31] | 사마담(覃)[32] | ||||
사마약(籥)[33] | |||||
사마전(銓)[34] | |||||
사마단(端)[35] | |||||
사마정국(定國)[36] | 사마유(蕤)[37] | ||||
사마광덕(廣德)[39] | 사마식(寔)[40] | ||||
사마찬(贊)[41] | |||||
사마감(鑒)[42] | 사마적(籍)[43] | 사마빙(冰)[44] | |||
사마영조(永祚)[46] | |||||
사마연조(延祚)[47] | |||||
某女[48] | |||||
사마간(幹)[49] | 사마광(廣) | ||||
사마영을(永乙)[50] | |||||
사마량(亮)[51] | 사마수(粹) | ||||
사마구(矩)[52] | 사마우(祐)[53] | 사마통(統)[54] | <colcolor=#000>사마의(義)[55] | ||
사마양(羕)[58] | 사마파(播) | 사마숭(崧) | |||
사마충(充) | |||||
사마종(宗) | 사마작(綽) | ||||
사마초(超) | |||||
사마연(演) | |||||
사마희(熙) | |||||
사마주(伷) | 사마근(覲) | 사마예(睿) | → 동진 황실 항목으로 | ||
사마담(澹)[62] | 사마철(喆)[63] | 사마희(晞)[64] | 사마종(綜) | ||
사마준(遵)[66] | |||||
사마요(繇)[68] | 사마혼(渾)[69] | ||||
사마최(漼)[70] | 사마융(融)[71] | ||||
사마경(京)[72] | 사마기(機)[73] | ||||
사마준(駿)[74] | 사마창(暢)[75] | ||||
사마흠(歆)[77] | 사마소(劭)[78] | ||||
사마융(肜)[79] | 사마희(禧)[80] | 사마교(翹)[81] | 사마봉(㻱)[82] | 사마화(和)[83] | |
사마리(悝)[84] | |||||
사마륜(倫)[85] | 사마과(荂)[86] | ||||
사마복(馥)[87] | |||||
사마건(虔)[88] | |||||
사마후(詡)[89] | |||||
某女[90] | |||||
某女[91] |
4.3. 사마부 숙달
<colcolor=#000>사마부(孚)[92] | <colcolor=#000>사마옹(邕)[93] | <colcolor=#000>사마숭(崇) |
사마융(隆)[94] | ||
사마보(輔)[98] | 사마홍(弘)[99] | <colcolor=#000>사마삭(鑠)[100] |
사마익(翼) | 사마승(承)[103] | 사마우(祐)[104] |
사마황(晃)[105] | 사마부(裒) | |
사마작(綽) | ||
사마위(韡)[106] | 사마소(韶)[107] | |
사마괴(瑰)[108] | 사마옹(顒)[109] | |
사마융(融)[111] | <colcolor=#000>사마흠(欽)[112] | <colcolor=#000>사마담지(曇之)[113] |
사마규(珪)[115] | 사마집(緝)[116] | 사마송(訟)[117] |
사마형(衡)[118] | 사마돈(敦)[119] | |
사마경(景)[120] | 사마도(韜)[121] |
4.4. 사마규 계달
<colcolor=#000>사마규(馗)[122] | <colcolor=#000>사마권(權)[123] | <colcolor=#000>사마식(植)[124] | <colcolor=#000>사마석(釋)[125] | <colcolor=#000>사마웅(雄)[126] |
사마굉(紘)[127] | <colcolor=#000>사마현(玄)[128] | |||
사마태(泰)[132] | 사마월(越)[133] | 사마비(毗) | 사마충(沖)[134] | |
사마등(騰)[135] | 사마우(虞) | |||
사마교(矯) | ||||
사마소(紹) | ||||
사마확(確)[136] | 사마필(弼)[137] | |||
사마모(邈)[138] | 사마황(晃)[139] | |||
사마숭(崇)[140] | ||||
사마략(略)[141] | 사마거(據)[142] | |||
사마모(模)[143] | 사마보(保)[144] | 사마담(瞻)[145] | ||
사마수(綏)[147] | 사마효(虓)[148] | 사마려(黎)[149] |
4.5. 사마순 현달
<colcolor=#000>사마순(恂) | <colcolor=#000>사마수(遂)[150] | <colcolor=#000>사마탐(耽)[151] |
사마집(緝)[152] |
4.6. 사마진 혜달
<colcolor=#000>사마진(進) | <colcolor=#000>사마손(遜)[153] | <colcolor=#000>사마수(隨)[154] | <colcolor=#000>사마수(邃)[155] |
사마승(承)[156] | 사마무기(無忌)[157] | <colcolor=#000>사마념(恬)[158] | <colcolor=#000>사마상지(尙之)[159] |
사마회지(恢之) | |||
사마휴지(休之)[161] | |||
사마음(愔)[162] | 사마윤지(允之)[163] | ||
사마목(睦)[164] | |||
사마울(蔚)[166] | 사마의(毅)[167] |
4.7. 사마통 아달
<colcolor=#000>사마통(通)[168] | <colcolor=#000>사마릉(陵)[169] | <colcolor=#000>사마제(濟)[170] |
사마순(順) | ||
사마빈(斌)[171] | 사마은(隱)[172] | 사마의(孴)[173] |
4.8. 사마민 유달
<colcolor=#000>사마민(敏) | <colcolor=#000>사마표(彪)[174] |
5. 서진 황실
'''''' | ||||||
<colbgcolor=#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조부군[추존][2] | 사마랑 | 창무정후 | 하간평왕[3] | 의양왕 | |
장무왕 | ||||||
의양성왕[4] | ||||||
동평왕 | ||||||
고조 선황제[추존] | 세종 경황제[추존] | 제헌왕[8] | ||||
제무민왕 | ||||||
태조 문황제[추존] | 세조 무황제(초) | 비릉도왕[12] | ||||
효혜황제(2) | 민회태자 | |||||
진헌왕 | 진왕[13] | |||||
효민황제(4)[14][15] | ||||||
성양회왕 | ||||||
성양상왕 | ||||||
초은왕 | ||||||
동해충왕 | ||||||
시평애왕 | ||||||
회남충장왕 | ||||||
한왕 | ||||||
신도회왕 | ||||||
장사려왕 | ||||||
성도왕 | 화용왕[18] | |||||
오효왕 | ||||||
발해상왕[20] | ||||||
예장왕→효회황제(3)[21] | ||||||
대애왕 | ||||||
성양애왕 | 청하강왕[23] | |||||
요동도혜왕 | 동래왕[24] | |||||
광한상왕 | 북해왕[26] | |||||
낙안평왕 | ||||||
사마영조 | ||||||
낙평왕 | ||||||
여남문성왕[28] | 사마수 | |||||
여남회왕 | ||||||
낭야무왕 | 낭야공왕 | 중종 원황제(5)[29] | ||||
무릉장왕 | ||||||
동안왕 | ||||||
회릉원왕 | ||||||
연왕 경 | 연왕 기[30] | |||||
부풍무왕 | 순양왕 | |||||
신야장왕 | ||||||
평원왕 | ||||||
양효왕 | ||||||
조왕[31] | ||||||
안평헌왕 | 안평정왕 | |||||
태원성왕 | ||||||
사마익 | 남궁현왕 | |||||
하비헌왕 | 하비왕 | |||||
태원열왕 | 하간왕 | |||||
상산왕 | 안평왕 돈 | 안평왕 우[37] | ||||
패순왕 | ||||||
동무대후 | 팽성목왕 | 팽성원왕 | ||||
고밀문헌왕 | 동해효헌왕 | |||||
신채무애왕 | ||||||
고밀효왕 | ||||||
남양왕 | 진원왕 보[38] | |||||
범양왕 | ||||||
사마순 | 제남왕 | 중산왕 | ||||
사마진 | 초강왕 | 초정왕 | 초왕 | |||
초민왕 | ||||||
단수현후 | ||||||
안성정후 | 임성왕 릉 | 임성왕 제 | ||||
서하무왕 | ||||||
안평정후 | 안평정후[40][41] | |||||
경조부군 이전[추존][43] | ||||||
정서부군 - 예장부군 - 영천부군 |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황제는 추존황제를 포함해서 자황색(柘黃色)으로 굵게 쓰고 팔왕은 빨갛게 쓴다. 그리고 8왕의 난에 관련된 종실은 갈색으로 쓴다. ※ 출계(出系)는 취소선을 치고 계자(系子)는 밑줄을 친다. | ||||||
|
<colcolor=#000>사마염(炎) | <colcolor=#000>사마궤(軌)[175] | <colcolor=#000>사마의(義)[176] |
사마충(衷) | 사마휼(遹) | <colcolor=#000>사마반(虨)[177] |
사마장(臧)[178] | ||
사마상(尙)[179] | ||
某女[180] | ||
某女[181] | ||
某女[182] | ||
선화(宣華)[183] | ||
여언(女彦)[184] | ||
사마간(柬)[185] | 사마울(鬱)[186] | |
사마업(鄴) | ||
사마유(裕)[190] | 사마적(迪)[191] | |
사마위(瑋)[192] | 사마범(範)[193] | |
사마예(乂)[195] | 사마석(碩)[196] | |
사마선(鮮)[197] | ||
사마윤(允)[198] | ||
사마연(演)[201] | ||
사마해(該)[202] | ||
사마모(謨)[204] | ||
사마영(穎)[205] | 사마보(普)[206] | |
사마곽(廓)[207] | ||
사마준(遵)[208] | ||
사마안(晏)[209] | ||
사마회(恢)[211] | ||
사마치(熾) | ||
某女[212] | ||
某女[213] | ||
某女[214] | ||
某女[215] | ||
某女[216] | ||
수의(修禕)[217] | ||
某女[218] | ||
某女[219] | ||
某女[220] | ||
某女[221] | ||
某女[222] | ||
某女[223] | ||
수려(修麗)[224] |
6. 동진 황실
5. 사마예(睿) | 6. 사마소(紹) | 7. 사마연(衍) | 10. 사마비(丕) |
11. 사마혁(奕) | |||
8. 사마악(岳) | 9. 사마담(聃) | ||
12. 사마욱(昱) | 13. 사마요(耀) | 14. 사마덕종(德宗) | |
15. 사마덕문(德文) |
7. 관련 문서
[1] 다만 입적해도, 습작(襲爵)은 하되 친부와의 관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대표적인 것이 회남충장왕 윤(允)으로 아들이 죄다 출계했지만, 그래도 친자라고 모두 살해되었다.[2] 의양왕(義陽王), 시호는 성왕(成王). 친부는 사마부(孚).[3] 삼종정후(三縱亭侯)→극양왕(棘陽王).[4] 숙부 사마유(遺)의 양자가 됨.[5] 청천후(淸泉侯)→추봉 수왕(隨王), 시호는 목왕(穆王).[6] 수왕(隨王).[7] 동평왕(東平王)→경릉왕(竟陵王).[8] 하간왕(河間王), 시호는 평왕(平王). 친부는 사마망(望).[9] 의양왕(義陽王).[10] 장무왕(章武王)[11] 장무왕(章武王)[12] 장무왕(章武王)[13] 장무왕(章武王). 친부는 하간무왕(河間武王) 흠(欽)[14] 장무왕(章武王)[15] 제왕(齊王), 시호는 헌왕(獻王). 친부는 사마소(昭).[16] 종숙 사마정국(定國)의 양자가 됨.[17] 재종숙 사마광덕(廣德)의 양자가 됨.[18] 재종숙 사마광덕(廣德)의 양자가 됨.[19] 제왕(齊王), 시호는 무민왕(武閔王).[20] 제왕(齊王).[21] 삼종숙 사마적(籍)의 양자가 됨.[22] 제왕(齊王), 시호는 양왕(陽王).[23] 재종조부 사마기(機)의 양자가 됨.[24] 제왕(齊王). 친부는 사마종(宗).[25] 제왕(齊王).[26] 백부 사마사(師)의 양자가 됨.[27] 성양왕(城陽王), 시호는 애왕(哀王). 생모는 문명황후 왕원희.[28] 성양왕(城陽王), 시호는 회왕(懷王). 친부는 사마염(炎). 그러나 이윽고 요절하였다. 이는 사실 죽음에 임박해 작위를 내려주는 형식적인 것에 가깝다.[29] 성양왕(城陽王), 시호는 상왕(殤王). 친부는 사마염(炎). 그러나 이윽고 요절하였다.[30] 동해왕(東海王), 시호는 충왕(沖王). 친부는 사마염(炎). 그러나 이윽고 요절하였다.[31] 청하왕(淸河王), 시호는 강왕(康王). 친부는 사마염(炎).[32] 청하왕(淸河王)→황태자(皇太子)→청하왕(淸河王).[33] 청하왕(淸河王).[34] 예장왕(豫章王)→진태자(晉太子). 팔왕의 난을 제압하고 황제가 된 사마치가 태자로 삼았으나, 이내 영가의 난으로 살해되었다.[35] 예장왕(豫章王)→진태자(晉太子). 영가의 난으로 낙양이 함락되자 몽성에 임시정부를 차렸으나, 얼마 안 가 생포되었다.[36] 추봉 요동왕(遼東王), 시호는 도혜왕(悼惠王). 생모는 문명황후 왕원희.[37] 동래왕(東萊王). 친부는 사마유(攸).[38] 동래왕(東萊王). 종숙 사마영(颖)의 양자가 됨.[39] 광한왕(廣漢王), 시호는 상왕(殤王). 생모는 문명황후 왕원희.[40] 북해왕(北海王). 친부는 사마유(攸).[41] 광한왕(廣漢王), 시호는 충왕(沖王). 친부는 사마유(攸).[42] 낙안왕(樂安王), 시호는 평왕(平王). 생모는 미상.[43] 낙안왕(樂安王), 시호는 상왕(殤王).[44] 광양왕(廣陽王). 친부는 사마경(冏).[45] 숙부 사마경(京)의 양자가 됨.[46] 생모는 미상. 요절하였다.[47] 낙평왕(樂平王). 생모는 미상. 280년 8월 5일에 책봉되었다가 얼마 후 죽었다고 한다.[48] 경조공주(京兆公主). 생모는 문명황후 왕원희.[49] 평원왕(平原王). 생모는 선목황후 장춘화.[50] 안덕현공(安德縣公).[51] 여남왕(汝南王), 시호는 문성왕(文成王). 생모는 복부인.[52] 여남왕(汝南王), 시호는 회왕(懷王).[53] 여남왕(汝南王), 시호는 위왕(威王).[54] 여남왕(汝南王), 시호는 공왕(恭王).[55] 여남왕(汝南王).[56] 재종숙 사마확(確)의 양자가 됨.[57] 재종숙 사마확(確)의 양자가 됨.[58] 익양현왕(弋陽縣王).[59] 숙조부 사마융(肜)의 양손이 됨.[60] 종숙 사마유(攸)의 양자가 됨.[61] 숙부 사마요(繇)의 양자가 됨.[62] 무릉왕(武陵王), 시호는 장왕(莊王). 생모는 제갈씨[63] 무릉왕(武陵王), 시호는 애왕(哀王).[64] 무릉왕(武陵王), 시호는 위왕(威王).[65] 삼종숙조 사마교(翹)의 양자가 됨.[66] 무릉왕(武陵王), 시호는 충경왕(忠敬王).[67] 숙조부 사마융(肜)의 양자가 됨.[68] 동안공(東安公)→동안왕(東安王). 생모는 제갈씨. 성도왕 사마영에게 살해되었다.[69] 동안왕(東安王). 친부는 사마근(覲), 생모는 하후광희.[70] 회릉왕(淮陵王), 시호는 원왕(元王).[71] 회릉왕(淮陵王), 시호는 정왕(貞王).[72] 청혜정후(清恵亭候). 생모는 복부인.[73] 연왕(燕王). 친부는 사마소(昭).[74] 부풍왕(扶風王), 시호는 무왕(武王). 생모는 복부인.[75] 순양왕(順陽王)[76] 숙부 사마흠(歆)의 양자가 됨.[77] 신야왕(新野王), 시호는 장왕(莊王).[78] 신야왕(新野王).[79] 양왕(梁王), 시호는 효왕(孝王). 생모는 부인 장씨.[80] 양왕(梁王), 시호는 회왕(懷王). 친부는 사마담(澹).[81] 양왕(梁王), 시호는 성왕(聲王).[82] 양왕(梁王). 친부는 사마희(晞).[83] 양왕(梁王).[84] 양왕(梁王), 시호는 상왕(殤王). 친부는 사마양(羕).[85] 조왕(趙王)→진황제(晉皇帝). 생모는 부인 백씨. 혜문황후 가남풍을 축출하고 정권을 장악한 뒤, 일시적으로 황제에 즉위했으나 고작 3개월 만에 주살당했다. 그래서 시호도 없거니와 아무도 황제로 쳐 주지 않는다.(...)[86] 태자(太子). 그러나 태자로 책봉되고 석 달 만에 좌주(坐誅)되어 아무도 황태자로 안 친다.(...)[87] 제왕(齊王)→경조왕(京兆王), 시호는 양왕(陽王). 그러나 경조왕으로 봉해지고 석 달 만에 좌주(坐誅)되어(...) 이하 생략.[88] 여음왕(汝陰王)→광평왕(廣平王). 그러나 광평왕으로 봉해지고 석 달 만에(...) 이하 생략.[89] 패성왕(覇城王). 그러나 패성왕으로 봉해지고(...) 이하 생략.[90] 남양공주. 생모는 선목황후 장춘화.[91] 고육공주(高陸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당양성후 두예.[92] 안평왕(安平王), 시호는 헌왕(獻王).[93] 안평왕(安平王), 시호는 정왕(貞王).[94] 안평왕(安平王), 시호는 목왕(穆王).[95] 숙부 사마익(翼)의 양자가 됨.[96] 숙부 사마형(衡)의 양자가 됨.[97] 백부 사마랑(朗)의 양자가 됨.[98] 태원왕(太原王), 시호는 성왕(成王).[99] 중구왕(中丘王).[100] 중구왕(中丘王).[101] 숙부 사마황(晃)의 양자가 됨.[102] 숙부 사마규(珪)의 양자가 됨.[103] 남궁현왕(南宮縣王). 친부는 사마옹(邕).[104] 남궁현왕(南宮縣王).[105] 하비왕(下邳王), 시호는 헌왕(獻王).[106] 하비왕(下邳王). 친부는 사마보(輔).[107] 하비왕(下邳王).[108] 태원왕(太原王), 시호는 열왕(烈王).[109] 하간왕(河間王).[110] 종숙 사마집(緝)의 양자가 됨.[111] 낙성현왕(樂成縣王). 친부는 사마식(植).[112] 하간왕(河間王), 시호는 무왕(武王). 친부는 사마석(釋).[113] 하간왕(河間王), 시호는 경왕(景王).[114] 오종형제 사마진(珍)의 양자가 됨.[115] 고양왕(高陽王), 시호는 원왕(元王).[116] 고양왕(高陽王), 시호는 애왕(哀王). 친부는 사마보(輔).[117] 진정현후(眞定縣侯). 친부는 사마옹(顒).[118] 상산왕(常山王), 시호는 효왕(孝王).[119] 상산왕(常山王). 친부는 사마옹(邕).[120] 패왕(沛王), 시호는 순왕(順王).[121] 패왕(沛王).[122] 동무성후(東武城侯).[123] 팽성왕(彭城王), 시호는 목왕(穆王).[124] 팽성왕(彭城王), 시호는 원왕(元王).[125] 팽성왕(彭城王), 시호는 강왕(康王).[126] 팽성왕(彭城王).[127] 팽성왕(彭城王). 친부는 사마거(據).[128] 팽성왕(彭城王).[129] 숙조부 사마거(據)의 양손이 됨.[130] 삼종숙 사마융(融)의 양자가 됨.[131] 재종숙 사마옹(顒)의 양자가 됨.[132] 고밀문헌왕(高密文獻王)[133] 동해왕(東海王), 시호는 효헌왕(孝獻王).[134] 동해왕(東海王), 시호는 애왕(哀王). 친부는 사마예(睿).[135] 신채왕(新蔡王), 시호는 무애왕(武哀王).[136] 신채왕(新蔡王), 시호는 장왕(莊王).[137] 신채왕(新蔡王).[138] 신채왕(新蔡王).[139] 신채왕(新蔡王).[140] 신채왕(新蔡王).[141] 고밀왕(高密王). 시호는 효왕(孝王).[142] 고밀왕(高密王).[143] 남양왕(南陽王).[144] 남양왕(南陽王), 시호는 원왕(元王).[145] 남양왕(南陽王). 친부를 알 수 없음.[146] 종숙 사마효(虓)의 양자가 됨.[147] 범양왕(范陽王), 시호는 강왕(康王).[148] 범양왕(范陽王).[149] 범양왕(范陽王). 친부는 사마모(模).[150] 제남왕(濟南王), 시호는 혜왕(惠王).[151] 중산왕(中山王).[152] 중산왕(中山王).[153] 초왕(譙王), 시호는 강왕(剛王).[154] 초왕(譙王), 시호는 정왕(定王).[155] 초왕(譙王).[156] 초왕(譙王), 시호는 민왕(閔王).[157] 초왕(譙王), 시호는 열왕(烈王).[158] 초왕(譙王), 시호는 경왕(敬王).[159] 초왕(譙王), 시호는 충왕(忠王).[160] 숙부 사마음(愔)의 양자가 됨.[161] 시평공(始平公), 시호는 성공(聲公).[162] 광진백(廣晉伯).[163] 광진백(廣晉伯).[164] 중산왕(中山王)→단수현후(丹水縣侯)→고양왕(高陽王).[165] 숙조부 사마민(敏)의 양손이 됨.[166] 고양왕세자(高陽王世子)[167] 고양왕(高陽王).[168] 안성정후(安城亭侯).[169] 임성왕(任城王), 시호는 경왕(景王).[170] 임성왕(任城王).[171] 서하왕(西河王), 시호는 무왕(繆王).[172] 서하왕(西河王).[173] 서하왕(西河王).[174] 친부는 고양왕 사마목(睦). 사마민의 경우 양자 없이 양손만 있으니 아마 봉사손일 것이다.[175] 비릉왕(毗陵王), 시호는 도왕(悼王). 생모는 무원황후 양염. 2세에 요절하였다.[176] 친부는 사마위(瑋).[177] 병에 걸린 채 사마휼과 함께 금용성에 유폐되었다가 병이 악화되어 요절했다.[178] 임해왕(臨海王)→진태손(晉太孫), 시호는 민형태손(湣衡太孫). 사마휼과 함께 금용성에 유폐되었다가 가남풍이 축출된 뒤 황태손이 되었다. 그러나 이윽고 제위를 탐낸 조왕 사마륜에 의해 살해되었다.[179] 양양왕(襄陽王)→진태손(晉太孫), 시호는 충태손(沖太孫). 사마휼과 함께 금용성에 유폐되었다가 사마륜이 축출된 뒤 황태손이 되었다. 그러나 이윽고 이듬해 요절하였다.[180] 하동공주(河東公主). 생모는 혜문황후 가남풍, 남편은 손회.[181] 청하공주(淸河公主)→임해공주(臨海公主). 생모는 혜문황후 가남풍, 남편은 조통. 영가의 난으로 노비가 되었다.[182] 시평공주(始平公主). 생모는 혜문황후 가남풍.[183] 홍농군공주(弘農郡公主). 생모는 혜문황후 가남풍.[184] 애헌황녀(哀獻皇女). 생모는 혜문황후 가남풍.[185] 진왕(秦王), 시호는 헌왕(獻王). 생모는 무원황후 양염.[186] 진왕(秦王). 친부는 사마윤(允).[187] 생모는 미인 심씨. 숙부 사마조(兆)의 양자가 됨. 그러나 이윽고 요절하였다. 이는 사실 죽음에 임박해 작위를 내려주는 형식적인 것에 가깝다.[188] 생모는 재인 서씨. 숙부 사마조(兆)의 양자가 됨. 그러나 이윽고 요절하였다.[189] 생모는 재인 궤씨. 숙부 사마조(兆)의 양자가 됨. 그러나 이윽고 요절하였다.[190] 시평왕(始平王), 시호는 애왕(哀王). 생모는 재인 조씨. 요절하였다. 이는 사실 죽음에 임박해 작위를 내려주는 형식적인 것에 가깝다.[191] 한왕(漢王). 친부는 사마윤(允).[192] 초왕(楚王), 시호는 은왕(隱王). 생모는 미인 심씨.[193] 양양왕(襄陽王).[194] 숙부 사마궤(軌)의 양자가 됨.[195] 장사왕(長沙王), 시호는 여왕(厲王). 생모는 미인 심씨.[196] 장사왕(長沙王).[197] 임회왕(臨淮王).[198] 회남왕(淮南王), 시호는 충장왕(忠壯王). 생모는 부인 이씨.[199] 숙부 사마간(柬)의 양자가 됨.[200] 숙부 사마유(裕)의 양자가 됨.[201] 대왕(代王), 시호는 애왕(哀王). 생모는 미인 조씨.[202] 신도왕(新都王), 시호는 회왕(懐王). 생모는 보림 엄씨.[203] 생모는 미인 진씨. 숙부 사마조(兆)의 양자가 됨.[204] 여음왕(汝陰王), 시호는 애왕(哀王). 생모는 제희.[205] 성도왕(成都王). 생모는 재인 정씨.[206] 노강왕(廬江王).[207] 중도왕(中都王).[208] 화용현왕(華容縣王). 친부는 동래왕 사마유(蕤).[209] 오왕(吳王), 시호는 효왕(孝王). 생모는 부인 이씨.[210] 숙부 사마간(柬)의 양자가 됨.[211] 추봉 발해왕(渤海王), 시호는 상왕(殤王). 생모는 무도황후 양지. 2세에 요절하였다.[212] 상산공주(常山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왕제. 두 눈이 멀었다.[213] 장광공주(長廣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견덕.[214] 형양공주(滎陽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노심.[215] 형양장공주(滎陽長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화항.[216] 번창공주(繁昌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위선이나 이혼하였다.[217] 양성공주(襄城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왕돈.[218] 평양공주(平陽公主). 생모는 무원황후 양염.[219] 신풍공주(新豊公主). 생모는 무원황후 양염.[220] 양평공주(陽平公主). 생모는 무원황후 양염.[221] 만안공주(萬安公主). 생모는 미상.[222] 무안공주(武安公主). 생모는 귀빈 호방.[223] 영천공주(潁川公主). 생모는 미상. 남편은 왕수.[224] 영수공주(靈壽公主). 생모는 미상. 기록은 있으나 다른 정보가 분명하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