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59c134>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읍 | 면 | |||
하남읍 | 단장면 | 무안면 | 부북면 | ||
산내면 | 산외면 | 상남면 | |||
상동면 | 청도면 | 초동면 |
||<width=30%><tablewidth=100%><tablecolor=#373a3c,#dddddd><tablebgcolor=#fff,#1f2023><rowbgcolor=#2785cd> ||<-2> 법정동 ||
}}}}}}}}} ||<colbgcolor=#59c134> 가곡동 | 가곡동 | 남포동 | ||||||
교동 | 시청 교동 | |||||||
내일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내일동 | 용평동 | 활성동 | }}} | |||
내이동 | {{{#!wiki style="margin: -16px -11px -5px;" | }}} 삼문동 | ||||||
삼문동 |
밀양시의 읍 삼랑진읍 三浪津邑 | Samnangjin-eup | |||
<colbgcolor=#59c134><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 경상남도 | ||
기초자치단체 | 밀양시 | ||
행정표준코드 | 5360030 | ||
관할 법정리 | 13리 | ||
하위 행정구역 | 31행정리 86반 | ||
면적 | 78.31㎢ | ||
인구 | 6,232명[1] | ||
인구밀도 | 81.06명/㎢ | ||
정치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국회의원 | 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 |
| 박상웅 (초선) | ||
경상남도의원 | 제2선거구 | |||
| 예상원 (3선) | ||
밀양시의원 | 라 선거구 | |||
| 이현우 (재선) | ||
| 조영도 (초선) | ||
| 허홍 (5선) | }}}}}}}}} | |
행정복지센터 | 외송중앙길 6 (송지리 409-1) | ||
삼랑진읍 행정복지센터 |
1. 개요
경상남도 밀양시 동남부에 위치한 읍.2. 역사
이 읍의 명명 과정은 다른 지역과는 달리 좀 특이하다. 원래는 철도가 지나갈 시 그 읍/면의 이름을 따서 역의 이름을 짓는데, 삼랑진읍은 반대로 이 곳을 지나는 삼랑진역의 역명을 따 1928년 하동면(下東面)에서 삼랑진면으로 개칭되었다.[2] 이 후 1963년 삼랑진읍으로 승격되었다.3. 명칭유래
밀양강이 낙동강 본류에 흘러드는 지점으로 세 줄기 큰 강물이 부딪쳐서 물결이 일렁이는 곳이라 하여 삼랑진이라 칭하였다.4. 지리
동으로 금오산에서 맥을 이은 천태산(天台山) 자락이 양산시(梁山市) 원동면(院洞面)과 경계를 이루었고, 서쪽으로 밀양강 하류를 사이에 두고 상남면(上南面)과 마주하였으며, 북쪽으로 만어산(萬魚山) 줄기를 경계로 단장면(丹場面)과 접하고 있다. 밀양강과 낙동강의 분기점 덕분에 삼랑진을 통하여 내륙항구도시로 발달되었으나 철도와 육상교통으로 쇠퇴를 거듭하다가 낙동강하구둑이 설치된 이후로는 단순 소철도중심지로 그치게 되었다.5. 교통
경부선, 경전선 삼랑진역이 이 곳에 위치하며, 경부선과 경전선이 분기하는 역이다.대구부산고속도로 삼랑진IC도 이 곳에 있다.
6. 관할 리
- 송지리: 삼랑진읍의 중심지. 삼랑진역, 삼랑진읍사무소 등이 위치한다. 또한 삼랑진초등학교, 삼랑진중학교, 삼랑진고등학교도 이 곳에 있다.
- 삼랑리: 삼랑진역, 그리고 이 읍의 어원. 송지리의 서남쪽에 있다.
- 검세리: 송지리의 동쪽에 있다. 사실상 송지리와 맞닿아 있는 리 서쪽을 제외하면 개발이 되어 있지 않다.
- 임천리: 농업자원관리원이 위치해 있다.
- 청학리: 부산대학교 밀양캠퍼스가 이 곳에 있다. 주변 개발도 좀 되어 있는 편.
- 미전리: 미전신호소가 있다. 이 역에서 미전선이 분기한다. 주변에는 조그마한 농공단지(미전농공단지, 대미농공단지)가 있으며, 오순절평화의마을 삼랑진시설이 존재한다,그리고 2019년 사망한 향년 26세 여배우 설리의 무덤인 삼랑진 추모공원 역시 미전리 소속.
- 용전리: 삼랑진읍의 중앙부에 있다. 리 중앙에 공장이 조금 있다. 만어산 자락에 만어사가 있다. 만어사에는 큰 돌을 깎아 만든 불상이 있는데 원래는 그 위로 누각이 지어져 있었다고 한다. 절 자체보다는 절집 바로 아래에 있는 거대한 너덜바위 지대가 유명하다. 빙하기에 돌들이 풍화되어서 쌓여 만들어진 지대이다. 만어산 곳곳에 이런 너덜바위 지대가 있다. 태초에 만어산까지 바닷물이 차 있었을 적에 살던 물고기들이 굳어져서 바위가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또한 한국 천주교 최초의 순교자로 인정받은 김범우 토마스가 귀양와서 살다가 사망한 장소가 이 용전리에 있는데, 해당 장소에는 천주교 측에서 이를 기념하는 성당을 건립했다. 김범우의 무덤도 인근에 있다.
- 우곡리
- 안태리: 삼랑진읍의 유일한 호수 안태호가 있다. 안태호 남부는 개발이 약간 되어 있다.
- 숭지리
- 행곡리: 마을로는 숭촌, 행촌, 남촌 마을이 있다.
- 용성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