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4444> [ruby(左派社会党,ruby=さはしゃかいとう)] | 좌파사회당 | |
영어 명칭 | Left Socialist Party of Japan |
창당일 | 1950년 1월 16일 |
해산일 | 1955년 10월 13일 |
활동시기 | 1945년 ~ 1996년 |
이념 | 사회주의 (일본형 사회민주주의) 마르크스주의 마르크스-레닌주의(일부)[1] 혁명적 사회주의(단일혁명론)[2] 사회민주주의 (소수)[3] |
성향 | 좌익 ~ 극좌[4] |
주요 정치인 | 사키사카 이츠로[5] 스즈키 모사부로 사사키 고조 나리타 도모미[6] 도이 다카코[7] 오카자키 히로미 |
정당 | |
연관 정당 | (일부) |
[clearfix]
1. 개요
1948년부터 1955년까지 존재했던 일본의 정당이다. 그 외의 시기에는 일본사회당 당 내 좌파 계파를 가리켰다.사회당 좌파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정확히는 정당으로서 좌파사회당은 그대로 '좌파사회당'이라고 하고, 사회당 당 내 좌파계파라는 의미는 '사회당 좌파'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편이다.
2. 역사
1948년 선거에서 사회당이 자유당과 민주당이라는 양대 보수당에게 참패한 이후 당은 일시적으로 해체되었고 이후 좌파사회당과 우파사회당이라는 정당으로 탄생했다.1955년에는 두 당이 다시 합쳐서 사회당을 재결성했다.
90년대 이후 일부 사회당 좌파가 신사회당으로 빠져나갔다.
시간이 흘러 사회당 좌파 인사들 중 소수는 민주당으로 이탈했다.[8]
3. 성향
복지국가 건설, 계급협조론에 기반한 사회당 우파와 달리 마르크스주의에 기반한 정치변혁을 추구했다. 다만 폭력적 투쟁을 기반으로 한 것이 아니라 민주적으로 변혁을 추구, 소위 '평화혁명'을 추구했으며 민주집중제도 거부했다.이들은 '유럽형 사회민주주의'가 친제국주의,반공주의적이고 지나치게 자본과 타협적이라고 비판하며 초국적 계급연대를 포기했으며 자국에서조차 노동자가 진정 주인되지 못했다고 비판한다. 따라서 좀 더 투쟁적, 반제국주의적, 노동자 중심적이며 마르크스주의적인 일본형 사회민주주의[9]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전공투와 이후 신좌파 학생운동과도 연관이 있었고, 나리타 투쟁도 적극 지지했다. 과격 폭력 성향도 두둔했기 때문에, 오히려 공산주의자들임에도 신좌파 학생들의 폭력성을 비난하며 사회당 좌파가 그들에게 유화적인 성향을 보이는 것도 대차게 깐 일본공산당이 온건좌파로 보일 정도였다고 한다.
외교적으로도 친미,친서방격인[10] 사회당 우파와 달리 북한과 중국에 상당히 호의적이였다. 또한 사회당 좌파들은 반북 성향이자 이념적으로는 더 왼쪽인 일본공산당과 달리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과도 매우 관계가 좋았다고 한다.
4. 여담
사회당 좌파가 주도하던 일본사회당의 이상주의, 극좌 성향 관련해서 좌파 성향의 한국인[11]이 패러디한 애기공룡 둘리 2차 창작물이 있다. 고길동이 우파사회당[12], 둘리가 좌파사회당, 도우너가 총평 포지션으로 묘사되었다. 당시 사회당 좌파가 어떤 성향이였는지 대충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5. 같이 보기
[1] 1960년대 이후 사회주의 협회는 점차 좌경화되어 레닌주의적 성격을 띄었다.[2] 메이지 유신 이후의 일본 사회를 반봉건 지주제 사회로, 전쟁 이후의 일본 사회를 미국의 신식민지로 보아 반미 부르주아 혁명을 우선적으로 일으키는 2단계혁명론을 주장한 공산당과 달리 메이지 유신 이후의 일본이 부르주아 혁명을 성취했으므로 사회주의 혁명을 일으켜야 한다고 보았다[3] 새로운 사회당을 만드는 모임은 기존의 마르크스-레닌주의적 성격에서 벗어나 유럽형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의 전환을 추구했다. 이 파벌에 속한 대표적 인물로는 1983년부터 1991년까지 사회당 부위원장을 지낸 야마모토 마사히로 등이 있다.[4] 다만 1980년대 이후로는 우파사회당 출신인 도이 다카코 등의 영향으로 극좌적 성향이 약해졌다.[5] 向坂逸郎. 일본의 유명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로 일본사회당의 주요한 이론을 제공하였다.[6] 본래 구조개혁파에 속한 우파사회당 계열 인사이지만 위원장 재직 도중에는 당내 친중파에 포섭되었다.[7] 좌파사회당 내 대표적 우파로, 본래 우파사회당인 에다 사부로의 파벌에 있었으며 1980년대 사회당 좌파로 포섭된 이후로도 당의 상대적 우경화를 적극적으로 제지하지는 않는 모습을 보였다.[8] 대표적인 인사가 바로 쓰지모토 기요미, 요코미츠 카츠히코 등이다.[9] 일본어 위키백과 문서에서도 나와 있듯 당시 일본사회당은 유럽식 사회민주주의 정당임을 부정하는 발언을 많이 했다.[10] 다만 사회당 우파는 내부정치에서는 온건 사회민주주의 성향을 보인 것과 별개로 정치인마다 외교적 견해는 케바케였다. 애초에 사회당 자체가 전반적으로 자민당에 비해서 친미적 성격이 약하기도 했고, 실제로 친중 성향을 보이다가 극우 반공주의 청년에게 암살당한 아사누마 이네지로도 사회당 좌파가 아닌 엄연한 사회당 우파였다. 물론 아사누마가 특이 케이스고 잔류 사회당 우파 정치인들 중에는 민사당과 비슷한 강경 친미 반공주의적 사회주의자도 있긴 했다.[11] 정의당 청년 당원 모임 모멘텀 전 대표이자 <일본 자본주의 논쟁사>의 번역자 김동윤[12] 정확히는 에다 사부로 계열 구조개혁파로 묘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