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2 17:32:38

브래디 앤더슨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ba0021><colcolor=#ffffff> 투수 16 기쿠치 · 24 스티븐슨 · 32 존슨 · 36 데이나 · 40 바크만 · 41 코차노비츠 · 44 조이스 · 46 버크 · 48 데트머스 · 56 제퍼잔 · 58 메데로스 · 59 소리아노 · 61 알데게리 · 63 실세스 · 68 페르민 · 70 패리스 · # 로리슨 · # 우레냐 · # 로드리게스
포수 14 오하피 · 25 다노
내야수 4 무어 · 6 렌던 · 9 네토 · 10 페라자 · 13 구스만 · 18 샤누엘 · 19 파리스
외야수 7 아델 · 12 솔레어 · 15 루고 · 22 테오도시오 · 27 트라웃
''' 파일:미국 국기.svg 커트 스즈키''' 파일:미국 국기.svg 존 기븐스 파일:미국 국기.svg 브래디 앤더슨 파일:미국 국기.svg 존 메이브리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매덕스 파일:미국 국기.svg 살 파사노 파일:미국 국기.svg 애덤 이튼 파일:미국 국기.svg 키스 존슨 파일:미국 국기.svg 스티브 카세이 파일:미국 국기.svg 팀 레이커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 스태시 파일:미국 국기.svg 앤디 샤츨리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닉스 파일:미국 국기.svg 팀 버스 파일:미국 국기.svg 제이슨 브라운 파일:미국 국기.svg 마이크 애쉬먼
파일:MLB 로고.svg 다른 MLB 팀 40인 로스터 보기
파일:솔트레이크 비즈 엠블럼.svg 산하 AAA팀 로스터 보기
파일:로켓시티 트래시판다스 엠블럼.svg 산하 AA팀 로스터 보기
}}}}}}}}}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등번호 번
브래디 앤더슨
(2026~)
현역
파일:Brady Kevin Anderson.jpg
<colbgcolor=#ba0021><colcolor=#fff>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No.
브래디 앤더슨
Brady Anderson
본명 브래디 케빈 앤더슨
Brady Kevin Anderson
출생 1964년 1월 18일 ([age(1964-01-18)]세)
메릴랜드 주 실버스프링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학력 캘리포니아 대학교 어바인 캠퍼스 경제학 학사
신체 185cm | 90kg
포지션 외야수
투타 좌투좌타
프로입단 1985년 드래프트 10라운드 (전체 257번, BOS)
소속팀 보스턴 레드삭스 (1988)
볼티모어 오리올스 (1988~2001)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2002)
지도자 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타격코치 (2026~)
프런트 볼티모어 오리올스 부사장 (2013~2019)

1. 개요2. 선수 경력3. 은퇴 이후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1. 개요

4게임 연속 선두타자 홈런 영상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의 야구 선수.

볼티모어 오리올스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원 히트 원더 플레이어하면 가장 대표적으로 꼽히는 좌타 외야수. 당시 등번호는 9번.

1996년의 50-20 클럽이 워낙 강렬해서 원 히트 원더 혹은 플루크라고 불리지만, 사실 해당 시즌을 제외하고도 준수한 활약을 보인 선수이다. 일례로 통산 WAR 32.6을 기록하였다. 이는 스타급 메이저리거라고 불렸던 추신수의 기록과 비슷하다.

2. 선수 경력

1988년 4월 4일 보스턴 레드삭스 선수로 빅리그에 데뷔했지만 시즌 중인 7월 29일에 보스턴이 당시 볼티모어의 우완 에이스인 마이크 보디커[1]를 영입하기 위해 커트 실링과 함께 앤더슨을 볼티모어에 트레이드로 보낸 후 별 활약이 없었다가 1992년, 당시 감독이었던 자니 오츠가 그를 붙박이 1번타자로 기용 후 .271, 21홈런, 80타점, 53도루를 기록하며 그 활약으로 첫 올스타에 출전하기도 했다.[2] 그 이후에도 10개 중반의 홈런과 20개 후반의 도루를 꾸준히 기록하다가 1996년 .297, 50홈런, 110타점, 21도루를 기록, 4년 전 20-50의 기록을 뒤집으며 신개념 1번타자로 등극했다.[3][4] 물론 이 해에도 올스타에 출전했다. 그는 한 시즌에 50홈런-20도루를 성공시킨 유일한 좌타자였지만, 2024년 9월 19일 오타니 쇼헤이가 50홈런-50도루를 달성하여 유일한 좌타자 기록은 깨졌다.

그러나 다음 해인 1997년에 귀신같이 홈런과 도루 수가 급감했지만 예전 모습으로 돌아온 수준이었고 이 때에도 올스타에 출전했다. 2000년까지 꾸준하게 활약했으나 2001년에 기량이 급감하면서 2002년에 클리블랜드로 이적, 2002년 5월 20일의 경기를 마지막으로 15년의 프로생활과 .256, 210홈런, 761타점, 315도루를 남기고 은퇴했다. 현역시절엔 중견수 수비가 그럭저럭 되는 이른바 OPS 히터의 전형으로, 통산 타/츨/장 .256/.362/.425에 20+도루 시즌 6번을 기록한 96년 플루크 시즌을 제외하더라도 어느 정도는 쓸만한 선수로 커리어를 보냈다.

3. 은퇴 이후

이후에는 고향팀인 볼티모어에서 부사장으로 재직했고 2016년, 김현수가 볼티모어로 이적했을 때에는 김현수와 같이 훈련을 하기도 했다고. 앤더슨이 김현수의 스윙에 호평하기도 했다.#

2005년 이혼한 전처와의 사이에서 딸이 한 명 있고 현재 같이 살며 양육 중이라고 한다.#

2020년 6월 26일 갑자기 천상지희의 전 멤버였던 스테파니와 열애설이 보도되었고, 스테파니 본인이 사실이라고 인정했다. 두 사람은 한미 양국을 오가며 연애 중이다. 참고로, 두사람은 무려 23살 차이다. 역대 뜬금없는 열애설 1, 2위를 다툴만 하다.#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 -10px; margin-bottom: -10px"<tablebordercolor=#001840><tablebgcolor=#001840>
파일:MLB 로고.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파일:MLB 내셔널 리그 로고.svg 내셔널 리그
<colcolor=#FFFFFF> 동부 파일:애틀랜타 브레이브스 로고.svg 파일:마이애미 말린스 로고.svg 파일:뉴욕 메츠 로고.svg 파일:필라델피아 필리스 로고.svg 파일:워싱턴 내셔널스 로고.svg
팀 하이어스 페드로 게레로 트로이 스니커 케빈 롱 공석
중부 파일:시카고 컵스 엠블럼.svg 파일:신시내티 레즈 엠블럼.svg 파일:밀워키 브루어스 로고.svg 파일:피츠버그 파이리츠 엠블럼.svg 파일: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 로고.svg
더스틴 켈리 크리스 발라이카 에릭 세이센 맷 헤이그 브랜트 브라운
서부 파일: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 엠블럼.svg 파일:콜로라도 로키스 엠블럼.svg 파일:로스앤젤레스 다저스 로고.svg 파일:샌디에이고 파드리스 엠블럼.svg 파일: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 로고.svg
조 매더 조던 파체코
닉 윌슨
애런 베이츠
로버트 반 스코욕
스티븐 수자 주니어 헌터 멘스
파일:MLB 아메리칸 리그 로고.svg 아메리칸 리그
동부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 파일:보스턴 레드삭스 로고.svg 파일:뉴욕 양키스 로고.svg 파일:탬파베이 레이스 로고.svg 파일:토론토 블루제이스 엠블럼.svg
더스틴 린드 피터 팻츠 제임스 로슨 채드 모톨라 데이비드 팝킨스
중부 파일:시카고 화이트삭스 엠블럼.svg 파일:클리블랜드 가디언스 로고.svg 파일:디트로이트 타이거스 엠블럼.svg 파일:캔자스시티 로열스 로고.svg 파일:미네소타 트윈스 엠블럼.svg
데릭 쇼맨 그랜트 핑크 마이클 브르다 알렉 줌월트
코너 도슨
마커스 테임즈
키스 뷰리가드
서부 파일:휴스턴 애스트로스 로고.svg 파일:로스앤젤레스 에인절스 엠블럼.svg 파일:애슬레틱스 엠블럼.svg 파일:시애틀 매리너스 로고.svg 파일:텍사스 레인저스 엠블럼.svg
빅터 로드리게스 브래디 앤더슨 마이크 알드레티
크리스 크론
케빈 사이처 저스틴 비엘
알렉스 신트론
}}}}}}}}}}}}}}} ||
브래디 앤더슨의 수상 경력 / 이전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df4601,#df4601> 파일:볼티모어 오리올스 엠블럼.svg볼티모어 오리올스
명예의 전당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브룩스 로빈슨 프랭크 로빈슨 데이브 맥널리 부그 파웰 거스 트리안도스
루이스 아파리시오 마이크 퀘이야 마크 벨란저 얼 위버 폴 블레어
폴 리차즈 밀트 파파스 짐 파머 켄 싱글턴 알 범브리
스티브 바버 짐 젠틸 딕 홀 스튜 밀러 행크 바우어
스캇 맥그레거 할 브라운 진 우들링 돈 뷰포드 마이크 플래나간
조지 밤버거 척 톰슨 제리 호프버거 빌리 헌터 칼 립켄 시니어
해리 달튼 릭 뎀프시 데이비 존슨 바비 그리치 리 맥파일
리 메이 프랭크 카센 에디 머레이 잭 던 3세 티피 마르티네즈
에디 와트 마이크 보디커 엘로드 헨드릭스 행크 피터스 렉스 바니
데니스 마르티네즈 호이트 윌헬름 밥 브라운 칼 립켄 주니어 브래디 앤더슨
어니 타일러 더그 데신세스 크리스 호일스 랄프 살본 에디 위드너
빌 오도넬 B.J. 서호프 와일드 빌 하기 필 이조 그렉 올슨
해롤드 베인스 줄리 와그너 레니 존스톤 레이 밀러 자니 오츠
리치 반셀스 마이크 보딕 리치 다우어 마이크 무시나 월터 야우스
로베르토 알로마 돈 프라이스 존 로웬스타인 게리 레너키 멜빈 모라
프레드 율맨 시니어 브라이언 로버츠 프레드 만프라 모 가바 J.J. 하디
마이크 데버로 조 앙헬 애덤 존스 조 오설락 톰 데이비스
}}}}}}}}} ||

보스턴 레드삭스 등번호 5번
스파이크 오웬
(1986)
<colcolor=#ffffff> 브래디 앤더슨
(1988)
랜디 커처
(1988~1990)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16번
스캇 맥그레거
(1978~1988)
<colbgcolor=#000000> 브래디 앤더슨
(1988)
필 브래들리
(1989)
볼티모어 오리올스 등번호 9번
짐 다이어
(1984~1988)
브래디 앤더슨
(1989~2001)
루이스 가르시아
(2002)
클리블랜드 인디언스 등번호 9번
그래디 리틀
(2000~2001)
브래디 앤더슨
(2002)
채드 앨런
(2002)
}}} ||
[1] 1984년에 20승을 하는 등 트레이드되기 전 5년 동안 좋은 활약을 했다. 당해 최종 성적은 13승 15패. 1990년에는 17승을 하기도 했다.[2] 이해 기록한 20-20은 볼티모어 타자로는 1976년 레지 잭슨 이후 16년 만에 달성한 성과. 앤더슨은 통산 3차례(1992년, 1996년, 1999년) 20-20을 기록했다.[3] 당시 포지션은 중견수였다.[4] 1995년 당시 볼티모어 감독이었던 필 리건은 1번 타자로 앤더슨이 아닌 신인 커티스 굿윈을 기용하려고 했다. 굿윈은 1993년 상위 싱글 A와 더블 A에서 두 시즌 연속 '타율 0.280, 50도루'를 성공시킨 유망주였는데 1번 타순에서 앤더슨의 생산성이 워낙 뛰어나서 포기했고 리건에 이어 1996년부터 볼티모어 사령탑을 맡은 데이비 존슨도 리건과 비슷한 고민을 했지만 타순을 건드리지 않고 그대로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