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08 00:35:22

보편교회

보편 교회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가톨릭 교회에 대한 내용은 가톨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라틴 십자가.svg
기독교의 종파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9C967><colcolor=#4d483c> 칼케돈파 <colbgcolor=#fff,#1c1d1f>가톨릭 · 개신교 · 정교회
비칼케돈파 오리엔트 정교회 · 네스토리우스파
역사상 종파 아리우스파 · 영지주의 · 도나투스파 · 몬타누스파 · 마르키온파 · 카타리파 · 펠라기우스파 · 배상제회
비삼위일체파 몰몬교 · 유니테리언
기타 종파 메시아주의 유대교
동방 가톨릭 · 개신교 · 오리엔트 정교회 · 네스토리우스파 }}}}}}}}}


한문: 普遍敎會
라틴어: Ecclesia Catholica
그리스어: Καθολική Εκκλησία
영어: Catholic Church / Universal Church

1. 개요2. 유래3. 종파별 해석
3.1. 가톨릭-정교회3.2. 개신교
3.2.1. WCC 사도신경 번역에 반영된 견해3.2.2. 성공회3.2.3. 루터교회3.2.4. 장로회 및 침례회
4. 관련 문서

1. 개요

(Credo) unam, sanctam, catholicam, et apostolicam Ecclesiam. (라틴어)
(Πιστεύω) εἰς μίαν, ἁγίαν, καθολικὴν καὶ ἀποστολικὴν ἐκκλησίαν. (그리스어)
하나이고 거룩하고 보편되며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를 믿나이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하나인, 거룩하고, 공번되고, 사도로부터 이어 오는 교회를 믿나이다. (한국 정교회)
하나이요 거룩하고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공교회와, 죄를 용서하는 하나의 세례를 믿으며... (대한성공회)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
Catholic(보편) 교회라 함은 통상 천주교회를 일컫지만,[1] 이 문서에서는 그리스도교 각 교단들이 주장하는 보편적 요소로서의 보편 교회를 다룬다.
그리스도교에서 보편교회(普遍敎會)란 일차적 의미로는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에서 말하는 '하나이고 거룩한 사도적 보편 교회'를 말한다. 다른 말로 공교회(公敎會)라고도 불리는데, 예수 그리스도와 사도들로부터 이어진 하나의 신앙 조직체, 보편적 그리스도교 신앙의 구성요소, 신학과 교리, 전례와 윤리, 사상적, 실천적인 특징을 말한다. 여기서 '보편'은 산술적 의미의 합체가 아니라, 보편논쟁 등 서구 철학 특유의 뉘앙스에서의 보편을 말한다. 즉, 지구상의 개인 70억명이 합체해서 '보편 인간'을 이루는 게 아니라 '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보편적 요소'가 각각의 개인 안에 존재하듯이, 만약 어떤 특정한 지역의 교회가 '보편 교회'의 구성원이라면 그 지역 교회 안에는 '보편 교회'가 내재하는 것이다.

가톨릭 교회라 하면 천주교회를 일컫지만, 사실 거의 모든 그리스도교 교단들은 자신이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 말하는 요소들을 지니고 있다고 자신하며, 따라서 원칙적으로 스스로가 보편(가톨릭) 교회임을 주장한다. 이는 거의 모든 그리스도교 교단들이 스스로를 '복음적'이고 '정통적'이며 '그리스도의 교회'라고 자신하지만, 복음주의, 정교회, 그리스도의 교회라는 말이 특정 교단들을 일컫는 말로 쓰이는 것과 유사하다. 즉 가톨릭이든 정교회이든 장로회이든, 상기한 보편적 요소가 자신 안에서 가장 복음적이고 정통적으로 그리스도의 뜻에 부합하게 잘 이루어졌다고 보는 것이다.[2] 곧 천주교회가 스스로를 '가톨릭 교회'라 하는 것도, 상기한 보편교회의 의미와는 다른 동음이의어로서의 '가톨릭 교회'를 말하는 게 아니라, 보편교회(가톨릭 교회)가 곧 자기자신이라는 의미이다. 개신교에서는 천주교와의 의미 혼동을 피하기 위해 'Universal Church'(Ecclesia Universa)라고 번역하는 경우도 있다. 유사하게, 독일 EKD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사도신경 번역에서 '보편적인'(catholicam)을 '그리스도적인'(christliche)으로 수정해서 번안했다.

한국의 개신교에서는 그리스도교와 유사한 교리를 채택하고는 있으나 같은 지체의 일원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려운 교회(흔히 말하는 '이단', '사이비')들과 자신들을 구분하는 의미로 '정통교회'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표현상의 차이일 뿐 보편교회라는 단어의 의미와 큰 차이는 없다.

2. 유래

(예수 가현 이단자들은)[3] 성체와 기도를 멀리합니다. 저들은 성체가 우리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의 살임을 고백하지 않습니다. 성체야말로 우리의 죄를 (사하기) 위해서 수난하신 그리스도의 살이요, 아버지께서 자애로이 일으키신 그리스도의 살인데도 말입니다. 하느님의 선물을 배척하는 저들은 논쟁이나 하다가 죽어버립니다. 저들 역시 부활할 수 있기 위해서는 사랑을 행하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이러한 사람들을 멀리하고 개인적으로나 공적으로나 저들에 관해서는 이야기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제 여러분은 마땅히 예언자들에게, 특별히 복음에 몰두해야 합니다. 복음 안에서만 (예수님의) 수난과 부활이 우리에게 분명히 보이고 완성되기 때문입니다. 분열은 악의 시작이니 부디 피하십시오.

여러분은 모두 예수 그리스도께서 아버지를 따르듯이 주교를 따르고, 사도들을 따르듯이 원로단을 따르며, 하느님의 계명을 섬기듯이 봉사자들을 섬기시오. 어느 누구든 주교를 제쳐두고 교회와 관계되는 일을 해서는 안됩니다. 주교가 드리는 감사례, 또는 주교가 위임한 사람이 드리는 감사례만이 유효합니다.

예수 그리스도께서 계신 곳에 가톨릭 교회Katholike Ekklesia가 있듯이, 주교가 나타나는 곳에 공동체가 있어야 합니다. 주교를 제쳐두고 세례를 주거나 애찬을 행하지 마십시오. 주교가 인정하는 것은 하느님께서도 흡족해하시므로 여러분이 하는 모든 일은 확실하고 적법하게 됩니다.
-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 주교(35? - 104?), 《스미르나 신자들에게 보낸 서간》 7.1.-8.2., 박미경 역주, 분도출판사, 2000
이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한 사람은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오이다. 여기서 이냐시오는 이단과 대비되는 의미에서, 주교 중심의 교회가 보편적(가톨릭)이라며 가톨릭 교회Katholike Ekklesia란 말을 사용한다. 곧, "유일하고 거룩하고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라는 신학적 의미에서 특정 교단과 나머지를 구분하는 어휘"라는 오늘날의 사용례와 비슷하게 출발한 것이다.

유사하게, 제1차 니케아 공의회는 보편(Catholic)의 의미를 니케아 공의회의 교단을 비정통 교단과 구분하는 의미에서 사용하고 있다.
거룩하고 위대한 교회회의는 스스로 카타르파(catharos)라고 하는 이들과 관련하여, 그들이 보편되고(catholicam)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의 일원이 되기를 바란다면, 그들에게 안수를 하고 그들이 성직자로 머물러야 한다고 결정했다.
-제1차 니케아 공의회 규정 8조[4]

동일하게, 아우구스티누스도 이단과 구분되는 특정한 교단이라는 의미에서 이 용어를 사용한다.
그렇다면 우리에게 남는 것은 그리스도 종교이며 그의 교회의 친교라고 하겠으니, 이 교회는 가톨릭catholica이며 가톨릭이라 일컬어지고 있으니 그것도 자기 신도들에게서만 아니고 모든 적에게서도 그렇게 불린다. 좋든 싫든 간에, 이단자haeretici든 열교schismatum 추종자든 자기네끼리 말하는 경우가 아니고 외부 인사들과 말하는 경우에는 가톨릭교회를 가톨릭이라 부르는 수밖이 없다. 온 세상에 이 이름으로 불리는 이상, 이 이름이 아니고서는 달리 구분할 수 없는 까닭이다.[5]
아우구스티누스, 《참된 종교》De vera religione 7.12, 최원오 역주, 분도출판사, 22011

3. 종파별 해석

3.1. 가톨릭-정교회

그러므로 참종교를 찾으려면, 이교도들의 (사상적) 혼동 속에서도 찾지 말고 이단자들의 쓰레기 더미에서도 찾지 말고 ... 오직 가톨릭catholici 또는 정교도orthodoxi 그리스도인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에게서, 다시 말해서 전일성(全一性)을 보존하고 정도(正道)를 따르는 사람들에게서 찾아야 한다.
아우구스티누스, 《참된 종교》De vera religione 5.9, 최원오 역주, 분도출판사, 22011[6]

여러 교파 중에서도 보편교회, 즉 "ECCLESIA CATHOLICA"를 가장 적극적으로 주장하는 종파는 가톨릭 교회다. 원래는 보편을 의미하는 가톨릭이라는 단어 자체가 가톨릭 교회를 뜻하는 고유명사로 취급되는걸 생각해보면, 가톨릭이 스스로를 보편교회라고 강하게 인식할 뿐만 아니라 원단어의 의미 선점 역시 가톨릭 교회가 해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가톨릭 교회만이 아니라 정교회 역시 스스로만을 "유일하게 보편적이고 정통한 교회"로써 인식하고 있다.

여기서 가톨릭과 정교회가 가지는 관계의 특수성이 있는데, 마치 남북한이 한반도에 단 하나의 국가만이 존재한다고 인식하듯이, 가톨릭도 정교회도 보편교회는 2개가 아니라 오직 하나만 존재한다고 인식한다. 다만 가톨릭은 '유일한 보편교회'(가톨릭 교회)에서 동방의 지역교회들 집단이 분열되어 나갔다고 인식하고, 정교회는 '유일한 보편교회'(정교회)에서 서방의 지역교회들 집단이 분열되어 나갔다고 인식하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남북한이 일반적인 외교관계와 남북한관계를 구분하고 서로의 관계를 특수 관계로 보듯이, 가톨릭과 정교 역시도 서로간 관계를 개신교와의 관계와 구분한다.

자세한 건 가톨릭 문서의 '비가톨릭 그리스도인에 대한 인식' 부분을 참조.

3.2. 개신교

개신교도 보편 교회주의를 주창하나 대다수의 개신교 교파에서는 가톨릭/정교회의 '가시적 교회론'[7]을 부정하며 무형적이고 추상적인 교회론에 가깝다. 다만 교파마다 세세한 정의는 차이가 있다.

현대에 이르기까지 보편교회의 정의에 대한 논쟁은 끝없이 이어지고 있다. 크게 보자면 교회를 조직으로 볼 것이냐 아니면 모임으로 볼 것이냐의 문제인데, 조직으로 본다는 것은 교리, 성사, 회칙 등을 근거로 모이는 하나의 유형교회라는 의미이고 모임으로 본다는 것은 사도전승과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 아래에 모이는 교리에 얽메이지 않는 모든 무형교회라는 의미이다. 위에서 충분히 설명했듯이 보편교회의 영역에 대한 논쟁인데, 기존의 가톨릭과 정교회가 유형교회를 처음 주장했으며 주교제와 사도전승이 유지되어온 성공회등 일부 개신교 교파에서도 주장한다. 반면 개혁교회/장로회 등의 칼뱅주의 계열이나 침례회, 오순절교회 등의 교파들은 무형적이고 추상적인 기준의 보편교회를 주장한다.다만 교파마다 세세한 정의는 차이가 있다.무형교회를 주장하는 입장은 소수파이지만 교회 역사에서 언제나 존재했으며 제도교회 안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3.2.1. WCC 사도신경 번역에 반영된 견해

세계 개신교 주류교단을 대표하는 WCC에서 합의된 사도신경 영어번역을 살펴보면, 주류 교단에서 받아들여지는 보편교회론을 엿볼 수 있다. 우선, 보편교회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catholic이라는 말 대신 universal로 대체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원래 '공번/공유/공통의'를 의미하는 catholic이 가톨릭에 의해 협의적의미(즉, 로마 주교를 수위로 하는 천주교회만을 의미)로 사용됨에 따라 용어를 대체한 것이다. 이에 따라 사도신경 영어번역에서 거룩하고 보편된 교회를 'the holy catholic church'가 아닌 'the holy universal church'로 번역한다. 로마 주교가 교황이라는 이름으로 교회 전체에 대한 수위권을 가진다는 가톨릭교회의 교리를 부정한다는 측면에서, 가톨릭 교리의 보편교회론과 충돌할 수밖에 없다.

3.2.2. 성공회

마찬가지 이유로 성공회도 Catholic 대신 catholic (소문자 c)이라는 용어를 즐겨 쓴다. 성공회, 특히 영어권 성공회의 맥락에서 (Roman) Catholic과 catholic은 구분되며, catholic은 universal과 동의어로 사용된다.[8] 성공회는 스스로를 가톨릭과 정교회에서 말하는 맥락과 같은 유형적인 보편교회의 일부임을 자칭한다. 성공회 신학에 따르면, 보편교회는 사도로부터 사도권을 전승받은 주교를 수위로 하는 교회로 구성된다.[9] 따라서 사도로부터 전승되어 온 주교의 계통을 유지하는 교회의 집합이 현세에서의 보편교회를 구성하고, 이 집합 안에 각 총대주교의 관할에 따라 로마가톨릭 정교회 오리엔트정교회 등이 속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이를 다시 말하면 로마가톨릭의 관할은 로마교회(가톨릭)에 한정된다는 주장이 된다. 이는 초기 종교개혁 당시 영국교회로서 시작된 성공회가 로마 교황의 수위권에서 벗어나는 과정에서 성립한 교회론의 영향인데, 그 당시에는 매우 독특한 견해였지만, 영국 국교에서 반발하여 파생되어 나온 스코틀랜드 장로회감리회에 간접적 영향을 주었다.

반면, 천주교와 정교회에서는 각자만이 유일한 보편교회(Catholic)이기 때문에, 이러한 견해를 받아들이지 않는다.

3.2.3. 루터교회

루터교회는 지역교회(Landeskirche)라는 개념을 주장하며 가톨릭적 보편교회론을 받아들이지 않거나 부정하나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북유럽과 발트해 연안 국가들의 루터교회나 미국의 일부 교단에서는 성공회와 비슷하게 어느정도 정치적인 목적으로 국교회의 틀을 유지한체 개신교 신앙이 도입되었고, 이에 따라 주교제와 사도전승이 대체로 이어져왔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보편교회에 포함됨을 주장한다. 이러한 입장의 루터교회는 고교회파라고 불린다. 다만 이들은 자신들의 보편성을 주장하지만, 주교제나 (보편교회 기준의) 사도전승이 유지되지 않는 개신교 교회의 보편성을 딱히 부정하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가톨릭이나 정교회 기준의 보편교회론과는 차이가 있다.[10]

반면 미국의 대다수 루터교회와 유럽 중부의 루터교회는 꼭 주교제를 유지하지 않으며 지역교회(Landeskirche)라는 개념에 좀 더 중시하는 입장이다. 다만 루터교는 전반적으로 개혁교회 계열보다는 보편교회의 유형적 특성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어서 종교개혁 이전의 교회사 역시 타 개신교 교단에 비해 중시한다. 루터교에서는 사도시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는 교회의 연속성을 강조하며,[11] 세례성만찬의 성사가 집전되고, 성경말씀이 선포되는곳을 보편 교회라고 정의내리며, 이런 점에서 자신들의 보편성을 주장한다. 이 때문에 타 개신교에 비해, 다소 유형적인 보편성과 연속성을 강조하며, 스스로를 복음주의적 보편교회(Evangelical Catholic)으로 칭한다. 심지어 일부 목사나 신자들은 미국이나 한국에서 "기독교"라는 말이 개신교만을 의미하는 말로 쓰이는 것을 꺼리는 가톨릭 신자들이 있듯이, '가톨릭'이라는 용어가 특정교파를 가리키는 가톨릭만을 의미하는 것을 불쾌하게 생각하는 경우도 많으며 그 가톨릭만이 보편교회라는 관점을 강하게 부정한다.

3.2.4. 장로회 및 침례회

장로회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에서는 '예수에게 부름받은/부름받을 모든 사람들로 이루어진 추상적이고 무형적인 교회'를 보편교회로 규정하고 있으며, 침례회 역시 런던 신앙고백에서 같은 내용을 천명한다. 즉, 이러한 견해에 따르면 교회란 특정한 단체나 교단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예수의 제자와 바울로 구성된 사도가 전한 가르침을 올바로 따르는 '성도'의 무형적 집합을 말하고 보편교회는 교회와 완전한 동의어로 취급된다.

4. 관련 문서



[1] 이 말은 나무위키에서 가톨릭을 개신교보다 더 보편적이라고 단정한다는 말이 아니다. 특정 성향의 그리스도교 교단들을 나무위키가 복음주의라고 서술한다고 해서 "천주교는 비복음적이다"라고 단정하는 게 아니고, 특정 교단을 정교회(Orthodox Church)라고 지칭한다고 해서 "나머지 교단들은 정통(Orthodox)이 아니다"라고 단정하는 게 아니듯, 단지 Catholic(보편) 교회라는 말이 통상 천주교회를 일컫는 것임을 명시하는 것 뿐이다.[2] 엔하계 위키에서 유난히 가톨릭과 정교회가 서로를 '유이한' 보편교회로 인정했다는 출처 불명의 오류가 많은데, 가톨릭에선 스스로를 '유일한' 보편교회로 보며, 이 유일한 어머니교회와 딸들인 지역 정교회'들'이 긴밀한 관계를 이룬다고 본다. 즉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이 표현하는 '유일하고 거룩한 보편적 사도 교회'를 가톨릭 교회로 보는 것이다. 정교회에서도 (방향만 반대일 뿐) 유사하게 '보편교회'라는 단어를 해석한다. 물론 '가톨릭과 정교회가 서로에게도 사도계승이 유효하게 이어져 온 것으로 보는 것'은 옳은 서술이다.[3] 본서 번역자 주석[4] 이냐시오 오르티츠 데 우르비나Ignacio Ortiz de Urbina 지음, 황치헌 옮김, 《니케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Les conciles de Nicée Constantinople 373쪽에서 발췌[5] Tenenda est nobis christiana religio, et eius Ecclesiae communicatio quae catholica est, et catholica nominatur, non solum a suis, verum etiam ab omnibus inimicis. Velint nolint enim ipsi quoque haeretici, et schismatum alumni, quando non cum suis, sed cum extraneis loquuntur, catholicam nihil aliud quam catholicam vocant. Non enim possunt intellegi, nisi hoc eam nomine discernant, quo ab universo orbe nuncupatur.[6] 아우구스티누스가 '가톨릭'과 '정교'를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7] 가시적인 교회는 불가시적인 하느님 나라를 가리키는 표징이라는 것[8] 반면 가톨릭 교회에서는 Catholic을 동서방 모든 천주교회를 일컫는 말로 쓰며, Roman Cathilic은 가톨릭 교회의 과반수를 차지하는 '로마 예법 교회'를 일컫는 말로 쓴다. 곧, 동방 가톨릭 교회는 가톨릭 교회이지만 동방 예법을 따르므로 로마 가톨릭 교회는 아닌 것. #[9] 따라서 가톨릭 교리 상 교회의 4가지 속성 가운데 '보편교회'와 '사도로부터 이어진 교회'는 성공회 교리에서 하나의 속성으로 이해된다.[10] 좀 더 쉽게 말하자면 "가톨릭이나 정교회 기준으로 봐도 우리는 보편교회가 맞다" 라는 입장이지 "우리와 다르게 주교제와 사도전승이 이어지지 않는 다른 개신교 교파는 보편교회가 아니다" 라는 입장이라고 보기는 좀 어렵다[11] 다만 가톨릭에서 말하는 사도전승이 아니며, 주교제 역시 보편교회의 필수 요소로 보지 않는다. 회중제 등을 채택한 루터교회에서도 자신들의 보편성을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