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노리치 대학교 학군사관단 | 노스 조지아 대학교 학군사관단 | 버지니아 군사대학 |
| | | | |
|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학군사관단 | 시타델 학군사관단 | 텍사스 A&M 대학교 학군사관단 | |
| | | | |
| 연방 사관학교 | 고등 군사대학 | |||
| Virginia Military Institute 버지니아 군사대학 | |
| | |
| 대학정보 | |
| 표어 | In Pace Decus, In Bello Praesidium In peace a glorious asset, in war a tower of strength Consilio et Animis (on seal) By courage and wisdom (on seal) |
| 개교 | 1839년 11월 11일 |
| 분류 | 고등 군사대학 Public senior military college |
| 국가 | |
| 소재 | 버지니아주, Lexington |
| 교색 | ''' Red (#ae122a) Yellow (#ffd619) Black (#000000) '''[1] |
| 링크 | |
| 위치 | |
| |
| 버지니아 군사대학 전경 |
| |
| 로고 |
1. 개요
| 버지니아 군사대학의 가입교 |
미국 버지니아주 렉싱턴(Lexington)에 위치한 주립 군사대학. 미국 연방정부 차원에서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버지니아주 정부에서 운영하는 주립대학이다.
1839년 미국 최초의 주립 군사대학으로 설립된 유서깊은 군사학교이자 미국에서 가장 오래된 4년제 공립 군사대학이기도 하다.
버지니아 군사대학이 있는 자리는 당초 민병대가 사용하던 무기고였는데, 여기서 주둔하는 군인들이 인근 마을에서 행패를 너무 자주 일으키자 군인들을 웨스트 포인트와 같은 형태로 교육시킬 필요에 대한 여론이 비등하였고, 이것이 계기가 되어 1839년 Virginia Military Institute 라는 이름으로 개교하게 된다. 1860년대 미 대륙을 휩쓴 남북전쟁 기간 동안 버지니아 주는 남부 연합의 중심 주로서 활약하였기에 버지니아 군사대학 또한 남부군 장교의 양성 기관으로서 운영되었다. 이 때문에 지금까지도 버지니아 군사대학은 남부의 웨스트포인트라는 별칭으로 불리우기도 한다.
남북전쟁 당시 버지니아 군사대학 생도대가 남북전쟁의 각종 전투에 참전하기도 하였다. 챈슨러즈빌 전투, 뉴마켓 전투 등 각종 전투에서 버지니아 군사대학 생도대가 활약하였고 해당 학교에서 교관으로 복무하던 잭슨 장군 또한 셰넌도어 계곡(Shenandoah Valley) 전역에서 지속 선전하여 ‘Stonewall Jackson’(스톤월 잭슨)이라는 별명까지도 얻는다.
버지니아 군사대학은 졸업 후 각 군에 임관하는 연방의 미국 육군사관학교, 미국 해군사관학교, 미국 공군사관학교, 미국 해안경비대사관학교와 달리 ROTC(학군사관)로 등록하는 형태가 된다.[2] 그탓에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에 모두 인원을 공급하며, 생도들은 각 군을 선택할 수 있다. 숫자는 얼마 안 되지만 20세기 초의 인원 가운데는 해병대사령관을 지낸 레뮤얼 셰퍼드(Lemuel C. Shepherd, Jr.) 대장이나 랜돌프 페이트(Randolph M. Pate) 대장을 배출하기도 했으며 가장 유명한 인물이라 하면 조지 C. 마셜 원수가 바로 이곳 출신이다. 조지 패튼은 여기서 웨스트포인트로 갔다. 이후 공군참모총장 존 점퍼도 배출했다. 한편으로는 독소전의 본좌 데이비드 글랜츠도 이 학교 출신이다.
다만, 미국 전역에 ROTC가 많이 설치되는 등 워낙에 다양한 임관루트가 생겼고, 연방 사관학교들과 달리 미국 연방정부 차원의 지원을 못 받는 주립대학이라서 버지니아 군사대학은 입시 경쟁력이 예전보다는 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외국인 학생도 입학할 수 있다. 참고로 과거에 진흙탕에 신참을 집어던지는 학교 풍습이 있었지만, 여성 생도를 받아들인 뒤에는 학교측의 강경한 조치로 사라졌다.
버지니아 군사대학을 졸업한 이근의 말에 따르면 먼저 다양하게 기초적인 수업을 들어본 후에 1학년 때 육군, 해군, 공군, 해병대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 졸업 이후에 꼭 직업군인이 되지 않아도 된다고 한다. 그래서 직업군인은 되고 싶지 않지만 사관학교 생활을 경험하고 싶은 학생에게 추천하며, 진로의 선택성이 여러 가지인 점이 장점이라고 한다.[3] 물론 졸업생의 80% 이상이 장교의 길을 선택한다. 나머지 인원은 간호사 혹은 기술자의 진로를 선택하기도 한다.
2. 동문
- 이복원 - 대한제국의 군인, 광복군 제3지대 부지대장. 육군무관학교 출신으로 친위대 장교와 연성학교 교관직을 역임했다. 대한제국 멸망 이후 버지니아 군사대학으로 유학하여 보다 더 선진적인 군사학을 배웠다.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독립운동에 매진하였다. 6.25 전쟁 때 북한 치하에서 실종되었다.
- 조지 C. 마셜(George Catlett Marshall Jr.) - 미국의 전쟁 영웅이자 前 고위 공무원. 현역 시절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육군참모총장을 역임했으며 원수로 전역하였다. 전역 후에는 미합중국 국무장관과 미합중국 국방장관을 역임했다.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 조지 S. 패튼 : 정확하게 말하면 버지니아 군사대학을 2년 수료하고 웨스트포인트에 들어갔다.
- 댄 케인: 현 미국 합참의장
- 데이비드 글랜츠(David M. Glantz) - 미국의 군사학자. 현역 시절 미국 육군에서 포병 장교로 복무했었다. 또한 사우스캐롤라이나 군사 대학에서 객원교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3. 스포츠
| |
| VMI 키데츠 |
| VMI Keydets |
사우스캐롤라이나 군사대학(통칭 더 시타델)과는 스포츠에서 라이벌 관계이기도 하다.
3.1. 미식축구
21대 감독 존 매케나 (1953~1966 재임. 2007년 작고.) - 오이스터 볼 진출 (1963), 타바코 볼 진출 (1964)
1950년대 필라델피아 이글스의 주전 쿼터백 바비 토마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