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프리티 시리즈의 주인공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프리티 리듬 시리즈 | ||
|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 |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 |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 |
| 하루네 아이라 (아이라/아라) | 아게하 미아 (아미) 혜인 (해인) | 아야세 나루 (한나루) 렌죠지 베루 (류빈) | |
| 킹 오브 프리즘 시리즈 | |||
| 이치죠 신 미하마 코우지 (은시우), 하야미 히로 (신도하), 니시나 카즈키 (윤세찬) | |||
| 프리파라 시리즈 | |||
| 1~3기 | 아이돌 타임 프리파라 | 아이돌 랜드 프리파라 | |
| 마나카 라라 (라라) | 마나카 라라 (라라) 유메카와 유이 (유이) | 마나카 라라 (라라) 카타스미 아마리 | |
| 반짝이는 프리☆채널 | |||
| 1기 | 2기 | 3기 | |
| 모모야마 미라이 (라미) | 모모야마 미라이 (라미) 니지노사키 다이아 (다이아) | 모모야마 미라이 (라미) | |
| 와츄 프리매직! | |||
| 히비노 마츠리 (나나) 먀무 | |||
| 비밀의 아이프리 | |||
| 아오조라 히마리 (소라) 호시카와 미츠키 (초아) | |||
| KING OF PRISM 주요 등장인물 KOP · KOPPH · KOPSSS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하야미 히로 (신도하) | 미하마 코우지 (은시우) | 니시나 카즈키 (윤세찬) | |||||||||||||||||||||
| 이치죠 신 | 타치바나 유키노조 | 코우가미 타이가 | 쥬오인 카케루 | ||||||||||||||||||||
| 타카하시 미나토 | 사이온지 레오 | 스즈노 유우 (강얼) | |||||||||||||||||||||
| 슈왈츠 로즈 | |||||||||||||||||||||||
| 키사라기 루이 | 야마토 알렉산더 | 타카다노바바 조지 | |||||||||||||||||||||
| <colbgcolor=#9C66E3><colcolor=white> 프로필 | |
| <bgcolor=white> | |
| 이름 | 神浜コウジ |
| 현지화명 | 은시우 |
| 생일 | 1998년 1월 14일 |
| 나이 | 16세(RL) → 17세(KOP) → 18세(PTH) → 대학교 1학년(SSS) |
| 성별 | 남성 |
| 1인칭 | 보쿠 |
| 혈액형 | O형 |
| 신장 | 175cm → 185cm[1][2] |
| 출신지 | 도쿄도 미나토구 미나미아오야마 |
| 주요 프리즘점프 | 가슴 두근 체험♡ (胸キュン体験♡キュンx3) |
| 소속 | 에델로즈(Hiro x Koji)[3] → 무소속[4]→ 에델로즈(오버 더 레인보우)[5] → |
| 연인 | 스즈노 이토 / 강이음 |
| 가족 | 아버지 미하마 타케유키/은선우(사망) 어머니 미하마 나츠코/하혜란 |
| 주요 출연작 |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 KING OF PRISM PRIDE the HERO KING OF PRISM Shiny Seven Stars |
| 인물 유형 | 조연 → 주인공, 조력자, 다크 히어로[8] |
| 패션 타입 | 러블리[9] |
| 첫 등장 | 나루! 프리즘스톤의 점장이 되다!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에피소드 1) |
| 성우 | 카키하라 테츠야(원판) 남도형(한국판)[10] 박신희(한국판, 유년기)[11] |
| 배우 | 코미나미 코지 |
1. 소개2. 작중 행적
2.1.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2.2.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2.3. KING OF PRISM PRIDE the HERO2.4. KING OF PRISM Shiny Seven Stars
3. 노래4. 기타1. 소개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킹 오브 프리즘 시리즈의 등장인물. 1인칭은 보쿠.코우지가 작곡 시에 조심하는 것은...? 극장 애니메이션 「KING OF PRISM」 연속 캐릭터 인터뷰: 미하마 코우지 (킹프리 개봉 전 2015년 인터뷰)
2. 작중 행적
2.1.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아야세 나루의 마이송을 작곡한 인물. 후쿠하라 안의 마이송도 직접 준 건 아니지만 과거에 자신이 작곡한 곡이고 해피 레인의 노래도 이토가 만든 노래를 편곡해서 만들어주었다. 그 외에도 니시나 카즈키의 마이송, 하야미 히로의 마이송, 해피 레인&벨 로즈 셔플 듀오의 곡도 작곡하였다. 본래는 에델로즈의 연습생이었으나 하야미 히로와 데뷔를 하려던 중 노리즈키 진에 의하여 히로가 코우지의 곡 'PRIDE'를 자신의 명의로 발표하게 되었고 그 일을 계기로 코우지는 유닛데뷔를 포기하며 에델로즈를 탈퇴하였다.[12] 이 때문에 히로와 사이가 틀어졌지만, 히로는 코우지와 코우지가 만든 곡에 엄청나게 집착하는 모습을 보인다.
니시나 카즈키와는 초등학교 때 부터 친구다.
스즈노 이토와는 음악적 열정이 맞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녀와 친분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그의 엄마는 디어 크라운의 제너럴 매니저로 코우지와 이토가 서로 교류를 하고 있다는 것을 눈치채자 엄청나게 쇼크라는 표정을 짓는다.
이토의 엄마가 어디 있는지 코우지가 말해준 적도 없는데 홋카이도를 언급한다. 어쩌면 이토의 아빠가 사고를 냈을 때 죽었다는 게 코우지의 아빠일지도 모르는 상황이었는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다. 결국 중반부에 이토와 잠깐 멀어지고 마는 고생을 겪었다. 39화에서는 이토에게 적극적으로 다가서 우리 가족들의 시간은 그 때 멈춰버린 것이라며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해결의지를 보이고 있다. 초반에 그 유약한 모습을 생각해보면 많이 변했다. 45화에서는 라이브 무대에서 하야미 히로가 자신의 마이송인 Pride을 뺐은 것을 노리즈키 진의 협박[13]으로 한 행동이라고 밝히고 곡이 코우지의 곡임을 발표한 후, 여태껏 자신이 저지른 잘못들을 사과하는 모습을 보고는 그를 용서해준다.[14][15]
51화에서는 다시 에델로즈로 복귀하게 되고 아빠가 남겨준 펜던트 뒤에 적혀있는 Over the rainbow라는 이름으로 니시나 카즈키, 하야미 히로와 함께 유닛으로 데뷔한다. 그리고 스즈노 가족이 운영하는 라이브 하우스에서 겐과 함께 기타를 맡고 있다.
2.2.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
천재 아티스트라고 불릴 정도로 작사, 작곡에 능하다.해외에서도 곡 제안이 밀려와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
- KING OF PRISM by pretty rhythm 에델로즈 학생명부
- KING OF PRISM by pretty rhythm 에델로즈 학생명부
1월 14일 출생. O형. 오른손잡이
계열은 심쿵(?) 계열.
작중 신을 가르치기 위해 이토와 같은 점프인 '붉은 실! 여름의 사랑!'과 타카미네 미온의 점프인 '허니 키스'를 선보이는데 여름의 사랑이야 그렇다쳐도 허니 키스는...
2.3. KING OF PRISM PRIDE the HERO
"일어나!! 히로!!!!!"
전작까지 작품의 전개에 깊이 관여했기 때문에 본작에서는 전작들과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존재감이나 등장은 적은편이다.시작하자마자 노리즈키 진에게 이유도 없이 이토 일가와 함께 사이좋게 코우지의 일가가 신상정보를 털리고 시작한다. 그리고 TV에서 슈왈츠 로즈에게 곡을 제공했다는 사실이 밝혀져 히로에게 큰 충격을 준다.[17] 히로는 야마다의 충고에도 불구하고 충격을 견디지 못해 미국으로 쫓아온 히로와 재회한다. 코우지는 결의에 찬 눈으로 히로에게 프리즘 쇼를 같이할 것을 요구하고 히로를 이토의 기술들로 가격해서 쓰러뜨린다.[18][19] 눈물 콧물 흘리는 히로에게 너는 빙상 위의 프린스일 뿐 왕이되지는 못한다는 말로 히로의 멘탈을 확실하게 박살낸다. 히로는 코우지가 절망에 빠졌을때처럼 리부트를 BGM으로 깔고 죽은눈으로 방황하고 코우지는 히로에게 매정하게 대한 것이 신경쓰였는지 혼자 눈물을 뚝뚝 흘린다.
히로가 슬럼프를 이겨내고 썬더 스톰 세션에서 본격적으로 공연할 때 프리즘의 반짝임의 형상으로서 니시나 카즈키와 함께 히로에게 소환되어 같이 춤춘다. 히로가 환상적인 쇼로 킹 오브 프리즘의 옥좌로 가는 길을 열자 히로에게 망토를 덮어준다.
킹 오브 프리즘에 등극하는 마지막 장면에서 본인이 재등장한다. 그 많은 작곡발주를 자신이 천재 아티스트 미하마 코우지라서 다끝냈다고 밝히며 다시 한번 오버 더 레인보우로서 복귀한다.
크레딧에선 오토하/이토와 함께 놀이공원에 가는 장면이 등장했으며 졸업 공연에서 킹 오브 프리즘 오프닝 공연때 소환했던 히로인과 같은 히로인을 소환하는데, 이때 크로스, 스즈노 라고 부르는 점이나, 처음 고백하던 장면과 같은 연출을 쓴 것으로점프로 연애사실을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이라고 감독이 밝혔다. 졸업공연이 끝나고 다른 오버레 멤버들과 함께 저편으로 떠나는 연출을 보여주며 자신들의 청춘에 이별을 고한다.
2.4. KING OF PRISM Shiny Seven Stars
| |
| 무대 의상 |
천재 작사, 작곡가이자 인기 프리즘스타. 매혹적인 노래들로 국내외를 불문하고 섭외가 끊이질 않는다. 모든 노래를 담당한 할리우드 뮤지컬 초대작 영화 'War Wow World'가 전 세계적으로 크게 흥행하여, 아카데미이상 최우수 음악상을 받는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상을 모조리 휩쓸었다.
- KING OF PRISM Shiny Seven Stars 캐릭터 소개
- KING OF PRISM Shiny Seven Stars 캐릭터 소개
1부 프롤로그에서는 에델로즈를 졸업한 후 하야미 히로, 니시나 카즈키와 함께 그룹명을 딴 회사 오버 더 레인보우를 설립해 활동하고 있다.
쿠키 영상에서는 히로, 카즈키와 오버 더 레인보우를 설립한 후 어떤 직함을 사용할 것인지를 논의하다가 회사니까 사장, 에델로즈처럼 대표, 슈왈츠로즈처럼 주재를 사용하자며 의견이 갈리자 저마다 사장, 대표, 주재라고 호칭한다. 그러나 이건 좀 아닌 것 같다며 새로 만든 호칭이 1부 프롤로그 도입부의 프리즘 쇼 무대에 나온 'The Genius'.
2부 미나토 편에서는 타카하시 미나토가 시즈오카에 와서 공연한 코우지의 프리즘 쇼를 보고 동경하게 되어 프리즘 쇼에 입문했음이 밝혀진다. 입학 절차를 밟으러 도쿄로 상경한 미나토가 에델로즈 구 교사로 잘못 찾아왔을 때 마침 식사 준비 중이었으니 밥 먹고 가라며 어린이 런치 스페셜을 대접한다. 밥을 한 입 먹은 미나토가 '어떻게 해야 이런 맛있는 요리를 만들 수 있느냐'며 눈물을 흘리자 '그건 네가 마음이 담긴 요리를 먹어왔기 때문에 그럴 거다, 그리고 너도 그런 요리를 만들고 있을 것'이라며 장래에 프리즘 스타가 될 수 있을 거라고 격려한다.
미나토가 시즈오카 고향집에 내려간 사이 제대로 된 식사를 하지 못해 난감해하던 에델로즈 신입생들을 위해 미나토의 부탁을 받고 에델로즈 기숙사로 찾아가 프더히 때 미나토가 만들었던 쇠고기 카레를 만들어준다. 이걸 먹은 에델로즈 신입생들이 전에 먹었던 카레라며 반가워하다가 미나토가 만들었던 치킨 카레를 떠올리며 미나토를 그리워하자 빙그레 미소짓는다. 이후 프리즘 원에서 미나토가 공연할 때 힘내라고 응원했으며, 미나토 몫으로 카레를 남겨 놓으면서 '추억을 이기는 건 쉽지 않지만 너만의 추억을 만들어 보라'는 쪽지를 남긴다.
3부 레오 편에서는 에델로즈 신입생들에게 곧 열릴 제62회 미스터 & 미스 카쿄인 콘테스트에 대해 설명하면서 '한 20년 동안은 다른 학교 여학생이 왕관을 가져갔는데 그걸 탈환하기 위해 작년에 열린 제61회 콘테스트 때 히로, 카즈키와 함께 여장을 하고 출전해[20] 카즈키가 우승했다'고 말한다.
3. 노래
3.1. 마이송
3.1.1. Reboot
| <colbgcolor=#000> OST Reboot | ||
| 일본어판 | ||
| 한국어판 | ||
| 가수 | 미하마 코우지 | |
| 작사 | 미에노 히토미(三重野瞳) | |
| 작곡 | 야마하라 카즈히로(山原一浩) | |
| 편곡 | ||
| 선곡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どれほど蒼い闇に落ちてゆく? 僕は迷子のまま 一人立ち尽くす 愛おしかった世界のすべては メドゥーサに魅入られ永遠に化石へと それでも消えたくない言葉が声がすぐ側で生まれ続けるよ 歌いたい届けたい 固い胸の殻溶けそうだよ 臆病なままなのに 何故? 体中で暴れる あがく僕がいる 微かな音 小さなメロディ そうかこれは……これは光…? 僕は価値のないくるみ割り人形 ただ、心を砕く…だけと思ってた 忘れた夢が空にひとひら 今も冷えきった背中抱きしめる 歌いたい届けたい そしてもう一度光の中 一歩ずつ歩きだしたい 意味のない毎日を少しずつ変える そんな勇気 再生の日 この先…未来に探すよ…… 歌いたい届けたい 抑えきれないよ 乾いた喉駆け上がる 大切な想い 新しい僕のため僕は祈りこめ 響かせるよメロディ これを 『希望』と名付けていいかい? 『希望』と名付けていいかい?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끝이 보이지 않는 회색빛 어둠 속에서 나는 길 잃은 채 헤매다 홀로 멈춰 서있었지 사랑하고 아끼던 세상의 모든 것들이 메두사에 홀려 한 줌의 모래가 되어 날아가 지울 수 없는, 잡을 수도 없는 멜로디가 지금도 나의 곁에서 늘 마음속을 울리네 전하고 싶어 나의 노래를 심장을 에워싼 껍질 녹아버릴 듯해 겁쟁이인 나 그 모습 그대론데 혼자서 바라본 이 세상에 이 가슴 한가운데에 희미한 멜로디, 아주 작은 소리 이제야 알았어 빛으로 가는 길 나는 가치조차 없는 작은 호두까기 인형 그저 스스로를 부수고 할퀴어 상처 낼 뿐이야 잊을 수 없는, 닿을 수도 없는 꿈 한 조각 지금도 나의 곁에서 늘 마음속을 적시네 전하고 싶어 나의 노래를 이제는 빛을 향해서 걸어가고 싶어 서툰 발걸음 단 한 번 만이라도 의미 없었던 매일매일을 아주 조금씩 바꿔갈 이 용기 다시금 재생하는 거야 이제야 알았어 미래로 가는 길 전하고 싶어 나의 노래를 더 이상 누를 수 없어, 말하고 싶었어 숨길 수 없는 가장 소중한 마음 새로운 나를 위해 기도해 간절한 소망 담아서 시작된 이 노래 이제서야 알았어 희망이라는 이름의 멜로디 희망이라는 이름의 멜로디 | |
3.2. 유닛송
3.2.1. Over The Rainbow
3.2.1.1. BOY MEETS GIRL -Prism Boys ver.-
| <colbgcolor=#000> OST BOY MEETS GIRL -Prism Boys ver.- | ||
| 일본어판 | ||
| 한국어판 | ||
| 가수 | Over The Rainbow (미하마 코우지&하야미 히로&니시나 카즈키) | |
| 작사 | 코무로 테츠야 | |
| 작곡 | ||
| 편곡 | michitomo | |
| 선곡 |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제8화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Boy meets Girl それぞれの あふれる想いにきらめきと 瞬間を見つけてる 星降る夜の出会いがあるよに… Boy meets Girl あの頃は いくつものドアをノックした あざやかに描かれた 虹のドアを きっと見つけだしたくて… 夜明けまで歌ってた あなたが得意なSWEET LOVE SONG やけに思い出しちゃって スーツケースに入れとこう 旅立ちを決めたのは 勢いだけじゃないから あなたと過ごした日は 20世紀で最高の出来事!! Boy meets Girl 出会いこそ 人生の宝探しだね 少年はいつの日か 少女の夢必ず見つめる Boy meets Girl 輝いた リズム達が踊り出してる 朝も昼も夜も風が南へと 心をときめかせている 安らぎが欲しかった 誇れる場所が欲しかった だけど大切なのは あなたとあの日 出会えたことね Boy meets Girl それぞれの あふれる想いにきらめきと 瞬間を見つけてる 星降る夜の出会いがあるよに… Boy meets Girl あの頃は いくつものドアをノックした あざやかに描かれた 虹のドアをきっとみつけて 心をときめかせている Boy meets Girl 出会いこそ 人生の宝探しだね 少年はいつの日か 少女の夢必ず見つめる Boy meets Girl 輝いた リズム達が踊り出してる 朝も昼も夜も風が南へと 心をときめかせている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Boy meets Girl 서로를 향한 반짝이는 마음만이 넘쳐흐르던 그 순간에 난 알게 되었지 별이 빛나는 밤 운명적인 만남임을 Boy meets Girl 오랜 방황 속 수도 없이 많은 문을 노크했었지 그 어딘가 선명히 새겨진 무지갯빛 문을 찾을 거라 믿었기에 언제나 날이 밝도록 함께 불렀던 그 추억 속 우리들의 SWEET LOVE SONG 어느샌가 머릿속에 가득 차 가방 속 깊숙이 넣어두었지 새로운 여행 결심했던 나 젊은 날의 호기만은 아니야 그대와 나, 함께 한 그 시간 그 어떤 무엇보다 가장 소중한 추억인 걸 Boy meets Girl 만남이란 건 인생 속 보물 찾기와도 같은 것 그 어느새 소년의 눈동자 소녀의 꿈 찾아 머나먼 곳 그곳까지 Boy meets Girl 빛을 내뿜는 리듬들이 춤을 추기 시작한 지금 저 멀리서 불어온 바람에 선율 타고 하늘로 이 설레임을 그대에게 전하네 쉴 곳을 찾고 있었던 거야 한숨 돌릴 장소를 원했던 거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그대, 그날의 우리, 서롤 찾아낸 사실 Wow Wow Wow Wow Boy meets Girl 서로를 향한 반짝이는 마음만이 넘쳐흐르던 그 순간에 난 알게 되었지 별이 빛나는 밤 운명적인 만남임을 Boy meets Girl 오랜 방황 속 수도 없이 많은 문을 노크했었지 그 어딘가 선명히 새겨진 무지갯빛 문을 난 찾을 거야 지금 이 설레임을 그대에게 전할래 Boy meets Girl 만남이란 건 인생 속 보물 찾기와도 같은 것 그 어느새 소년의 눈동자 소녀의 꿈 찾아 머나먼 곳 그곳까지 Boy meets Girl 빛을 내뿜는 리듬들이 춤을 추기 시작한 지금 저 멀리서 불어온 바람에 선율 타고 하늘로 이 설레임을 그대에게 전하네 | |
본작에서는 히로와 카즈키가 프리즘 쇼 대결을 펼칠때 삽입되었던 곡이고, 당시의 코우지는 히로와 카즈키의 대결을 지켜보는 입장이었지만 오버레 유닛곡 수록을 위해 코우지의 성우도 해당곡에 참여하여 보컬을 맡았으며 실제로 해당곡은 유닛 오버레의 곡 중 하나로 수록되어 있다.
3.2.1.2. athletic core
| <colbgcolor=#000> OST athletic core | ||
| 일본어판 | ||
| 한국어판 | ||
| 가수 | Over The Rainbow (미하마 코우지&하야미 히로&니시나 카즈키) | |
| 작사 | 미에노 히토미(三重野瞳) | |
| 작곡 | 야마하라 카즈히로(山原一浩) | |
| 편곡 | ||
| 선곡 |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제51화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すべてを求めれば何かが欠けるから… そんな言い訳して孤独を選んでた 笑い合えばきっと泣きそうになるから… 傷だらけの挙がむしゃらにかざした 過去に怯えるか? 否!今!! ふり絞り挑め 延長戦 athletic core乗り込んで 夢動かせ伸ばせ でかい未来 俺達で組み替えろ athletic core操縦しろ 心のタグに刻まれた MADE IN ME MADE IN YOU だろ? 一つしかないんだ ただ一つはあるんだ 負けたって負けたって…one more狙う不屈core 俺達は違うそれぞれ 誰とも似つかない皆主人公 athletic core見せてくれ 意志は高く深く 君の刺激が造る愛 痺れるよ athletic core操縦しろ 目指した希望の向こうに MADE IN YOU MADE IN ME だろ? 君と出会い分かる 僕が出会いで変わる 強く!強く!! combine into a big boy&boys athletic core乗り込んで 価値は忘れ生まれ 再生LIVE 俺達が奏でるさ athletic core君の中 心のタグに刻まれた MADE IN ME MADE IN YOU だろ? and many more!! MADE IN FRIEND MADE IN DREAM MADE IN PASSION!!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웃는 얼굴 바라보자니 눈물이 흐를 것 같아서 상처투성이 주먹 불끈! 조용히 뒤돌아섰지 오로지 하나뿐인 거야 그래 하나라도 있는 거야 지쳐 쓰러져 무너진대도 one more 오로지 불굴의 core 과거에 떨고 있는가 더는 아냐 있는 힘 다해 도전해 연장전에 athletic core 뛰어넘어서 꿈을 향해 돌진 힘차게 함께 할 미래는 우리 손으로 만드는 거야 athletic core 이제 시작해 너의 심장 태그에 새겨져 있을 MADE IN ME MADE IN YOU 달려! 바랄수록 구할수록 더 무언가가 부족할 뿐이야 스스로 핑계 둘러대고 고독함을 선택했지 전혀 다른 걸 우리들 서로서로 누구와도 닮지 않은 모두가 주인공 athletic core 보여주겠니 의지는 더 높이 더 깊이 모두의 마음이 만들어갈 단 하나의 기적 athletic core 이제 시작해 희망이란 무지개의 저편으로 MADE IN YOU MADE IN ME 달려! 너희와 만나고 알았지 스스로 변화하는 내 모습 강하게! 강하게! combine into a big boy&boys athletic core 뛰어넘어서 가치 따위 잊어 새로이 태어나라 우리 모두가 함께 연주할 athletic core 뜨거운 무대 너의 심장 태크에 새겨져 있을 MADE IN ME MADE IN YOU 달려! and many more! MADE IN FRIEND MADE IN DREAM MADE IN PASSION | |
3.2.1.3. Flavor
| <colbgcolor=#000> OST Flavor | ||
| 일본어판 | ||
| 한국어판 | ||
| 가수 | Over The Rainbow (미하마 코우지&하야미 히로&니시나 카즈키) | |
| 작사 | 미에노 히토미(三重野瞳) | |
| 작곡 | 야마하라 카즈히로(山原一浩) | |
| 편곡 | ||
| 선곡 | 극장판 프리파라 모두 모여라! 프리즘☆투어즈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偶然だとか運命だとかじゃないだろう この感情は、巡り会えた星は 俺達は 恋とか愛じゃ説明できないと分かるだろ この関係は、言葉にできないと誰もが知ってる 誓うよ病める日も健やかなる日も ただ信じて支え続ける 友よそろそろ旅立とう同じ瞳(め)で 振り返れば頬撫でるFlavor of rainbow days, life, time 近くて遠い永遠を 思い出す 創りだす 繰り返す 何も持たずにぶつかり合ったから見つけたんだ 不器用な手で手繰り寄せた夢は拳より強い 僕等は雨に濡れて大地に芽吹き根張り 世界の美しささえ 超えてそのまた先へとゆけるんだ 迷いながら髪揺らすFlavor of rainbow days, life, time 胸に残る大切な擦り傷を 抱きしめる 慈しむ 懐かしむ ありがとうとさようならが香り立ちのぼる未来 君だから 俺だから 輝いた 輝けた 今がある 歩き出せば背中押すFlavor of rainbow days, life, time 近くて遠い永遠で 悲しみを 喜びを 繰り返す 大丈夫 笑ってろ 側にいる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그 언젠가 함께한 시간을 다 기억해 난 오랫동안 우연의 조각들과 별빛을 따라 이어지는 너와의 시간 세상 어떤 말로도 너를 표현 할 수 없다고 난 말했었지 이 세상 그 누구도 모를 거야 너와 나만의 비밀스러운 이야기들 약속할게 그 어떤 일이 우리 앞에 일어나도 걱정 마 내 어깨에 이렇게 기댄 채로 잡은 손 놓지 않아 언제라도 곁에 있을게 봄바람 불어와 뺨을 만지네 Flavor of rainbow days life time 아련하게 새겨진 추억인데 기억할게 더해갈게 영원할 거야 순수했던 지난 날 너와 함께 마주했기에 알게 된 거야 서투른 꿈이라도 함께 한 시간만큼은 그 무엇보다 강하단 걸 비가 내려 마음을 적시면 우리들은 또다시 일어나 이 세상의 아름다움 그 조차도 넘어서 꿈꿔 왔던 세상으로 나갈 수 있어 차가운 바람이 나를 흔드네 Flavor of rainbow days life time 가슴에 남은 아주 소중한 작은 상처도 감싸 안으며 잊지 않으며 그리워하네 고맙단 그 말도 잘 가란 말도 다가올 내일로 이어지겠지 네가 있기에 내가 있기에 빛나고 있어 비추고 있어 바로 여기에 봄바람 불어와 뺨을 만지네 Flavor of rainbow days life time 아련하게 새겨진 추억인데 눈물 삼키며 미소 지으며 기억할 거야 걱정하지 마 자 웃어봐 곁에 있을게 | |
3.2.1.4. 무지갯빛 크라운
| <colbgcolor=#000> OST 虹色CROWN 무지갯빛 크라운 | ||
| 일본어판 | ||
| 한국어판 | ||
| 가수 | Over The Rainbow (미하마 코우지&하야미 히로&니시나 카즈키) | |
| 작사 | 마사키 에리카(真崎エリカ) | |
| 작곡 | AstroNoteS | |
| 편곡 | ||
| 선곡 | KING OF PRISM PRIDE the HERO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とびきり贈りたいんだ My Love (First Love!) (Pure Love!) (Endless Love!) (All Love!…xxx) 平坦じゃない道の途中で 僕たちは宝物、見つけた 光にメロディ重なる先で いつも待ってる笑顔 ほころぶ花よりも(Baby) せつなくて愛しい(Only) 輝きに出逢うたび 嬉しくて 幸せで 泣きたくて… あの気持ちが育てたモノを 知ってるかい? とびきり煌めいてんだ My Love(Love!) 僕らの願いはひとつ(Yes!) 「どんな景色より君だけの笑顔を見せて?」 名付けて愛というのさ Baby→(←King!) 想いは虹色の Crown に変わって今、ここにあるよ ずっとそばにいる…誓いにしよう For Dearest! はなれた距離2万キロでも ハートに聴こえる君の声 大丈夫なにもかも越えてゆくから 瞳はそのままで――― 世界が綺麗なのは(Sunshine) 大切な人が(Thank you) 生きてる場所だから それだけで あふれてく 「ありがとう」 もっと強く…伝えたくて プリズムのなかで(Sing!) 僕らは(Link!) 心うたうよ とびきり贈りたいんだ My Love(All Love!) いつでも受け止めたいんだ Your Love(Yes! Your Star!) とびきり煌めいてんだ My Love(Love!) 約束するから、聞いて(Yes!) 「どんな願いより君といる日々を願うよ」 名付けて愛というのさ Baby→(←King!) 想いは虹色の Crown に変わって今、ここにあるよ そっとくちづけ もっと恋して ずっとそばにいる 未来にしよう For Dearest! Wow oh… Love is Forever!!!(Yeah!)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특별하게 전해주고 싶어 My love First Love Pure Love Endless Love All Love xxx 평탄치 않은 길을 함께 걸어오며 우린 무엇이 소중한지를 알게 됐어 반짝임에 멜로디 겹쳐지는 그곳에 언제나 미소가 기다려 피어나는 꽃들보다도 (Baby) 사랑스럽고 그리운 (Only) 그 반짝임을 만날 때마다 너무 기쁘고 행복한 맘에 울고 싶어진 이런 마음들이 계속 커져가는 걸 알고 있니? 특별하게 반짝이고 있어 My Love (Love) 우리가 바라는 건 오직 하나 (Yes) 이 세상 그 무엇보다 밝게 빛나는 너의 미소 보여줘 이게 바로 사랑이란 거야 Baby (King) 마음은 일곱 무지갯빛 크라운으로 바뀐 채로 여기에 있는 걸 평생 너와 나 둘이 함께라고 맹세해 For Dearest 아무리 난 멀리 떨어져 있다 해도 마음속에 네 목소리가 전해져 와 난 괜찮아 어떤 것도 날 막을 수 없으니 지금처럼 나만 바라봐 이 세상이 참 아름다운 건 (sunshine) 사랑하는 그 사람이 (thank you) 살고 있다는 사실 하나 그것만으로 벅차오르는 고마운 마음 크게 소리쳐 전하고 싶어서 프리즘 그 빛 속에서 (sing) 우리들은 (Link) 진심을 노래해 특별하게 전해주고 싶어 My love (All Love) 언제라도 받고 싶은 나만의 your love (Yes Your Star) 특별하게 반짝이고 있어 My love (Love) 이렇게 약속할게 들어 줄래 (Yes) 이 세상 그 무엇보다 너와 나 함께 할 수 있기를 원해 이게 바로 사랑이란 거야 Baby (King) 마음은 일곱 무지갯빛 크라운으로 바뀐 채로 여기에 있는 걸 살짝 입 맞추고 많이 사랑하며 평생 너와 나 둘이 함께하는 미래로 For Dearest Wow oh Love is Forever (Yeah) | |
3.2.2. 그 외
3.2.2.1. pride -debut ver.-
| <colbgcolor=#000> OST pride -debut ver.- | ||
| 일본어판 | ||
| 한국어판 | ||
| 가수 | 미하마 코우지&하야미 히로 | |
| 작사 | 미에노 히토미(三重野瞳) | |
| 작곡 | 야마하라 카즈히로(山原一浩) | |
| 편곡 | ||
| 선곡 | 극장판 프리파라 모두 모여라! 프리즘☆투어즈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無表情なmasquerade 君は微笑み 馬鹿げたモラルから僕を盗んだ 独り占めしたいと感じた瞬間に 朝を告げる時計は隠した 君ヘ…君が…君に…… 夢を誓う 運命を広げよう ほら誰よりも Iが違う 星が違う 歌えるさ 女神も踊る愛狂詩曲(ラブラプソディー) 眼差しも溜め息もvintageなpride 密かに熱い tone響き合わせる僕等さ 髪をといてあげる 絡まる後悔も傷も癖も優しくほどけるよ 君も…君と…君は…… 何もかもを抱いたまますぐにでも 僕においでよ Iが違う 星が違う 違うだろ すべてが他の奴とは 囁きも悪戯でvintageなpride 双子のように wave重ね合わせる僕等さ Iが違う 星が違う 君だけが永遠 でも気付いてる Iを捨て 星を捨て Vintageなlove you プライドだけが 僕等…会わせ…引き裂くLaLa-Bye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표정 없는 가면 무도회 그대의 환한 미소 어두웠던 지난 시간 속 나를 구해주었어 내 것으로 만들고 싶어 그대를 보낼 수 없던 난 이별을 고하는 시계 모두 숨겼지만 그대여, 그대여, 그대는 꿈같던 그날을 기억할까요? 펼쳐진 미래 함께 달려나가요 사랑일 거야 운명일 거야 노래하겠어 여신조차 춤추게 하는 멜로디 눈빛 속에도 한숨 속에도 빛바랜 기억! 나의 자존심 운명처럼 만났지 우리는 그댈 향한 이 마음! 가질 거야 그대의 머릴 빗어줄게 얽혀버린 후회와 상처 마음의 오해도 모두 쉽게 풀어질 거야 그대여, 그대여, 그대는 뜨거운 심장을 끌어안든 채 곧바로 나의 곁으로 달려와 줘 사랑일 거야 운명일 거야 특별하기를 모든 것이 다른 누구보다 더 속삭임조차 장난스럽게 빛바랜 기억! 나의 자존심 너무나도 비슷해 우리는 그댈 향한 이 마음! 가질 거야 사랑일 거야 운명일 거야 영원한 사랑 내게 와줘 하지만 알고 있어 사랑조차도 운명조차도 막을 수 없는 나의 자존심 어리석었던 시절 우리는 만나고 헤어지네 라라 Bye | |
4. 기타
국내 방영판에서는 심의상의 문제로 26화의 고백 장면이 죄다 편집되면서 이토와는 어정쩡하게 치유와 화해를 한 사이가 되고 말았다. 물론 37화에서 새로 생긴 갈등이나 그 해결 같은 건 홍조가 지워졌을 뿐 제대로 다 나왔고 후에 화해도 했으니 서로의 가족 간의 갈등은 해결한 듯하지만, 고백 장면이 편집 당했기 때문에 국내판에서는 그냥 서로의 가족 간에 생긴 불행한 사고로 인해 틀어지고 나중에 오해를 풀고 다시 친해진 친밀한 친구 사이 정도 된다.[21]1화부터 아야세 나루와 엮이는 모습을 보였지만, 결국 본인이 좋아하고 이루어진 건 스즈노 이토였다. 그리고 이토와 이어진 이후로는 곧바로 히로와 카즈키에게 존재감이 묻혀 비중이 줄어든 것은 덤. 이 때문에 팬덤에서는 사실상 코우지를 페이크 남주인공 내지는 작곡셔틀로 취급하고 있다.[22] 성격은 나루 일행을 만나기 전까지는 어둡고 소심한 성격이었으나[23] 카즈키의 말에 따르자면 아버지가 돌아가시기 전까지는 무척 활발한 개구쟁이였다고 하며 단점이었던 성격은 나루 일행을 만나고 이토와 사귀면서 어느 정도 개선된다.
스즈노 이토를 좋아한 이유가 음악 외에도 이전의 교통사고나 엄마의 영향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다. 6화에서 노래가 미지근하다는 이토에게서 음악과 관련되면 날카로워지는 나츠코의 모습을 보았을 것이라는 것. 19화와 47화 결말 부분에서 이토와 나츠코가 코우지에게 보이는 모습이나, 이토가 음악을 안 하면 가족이 멀어진다고 생각하는 점과 나츠코가 음악을 하면 가족이 멀어진다고 생각하는 점, 나츠코는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지게 될 것을 염려했지만 이토는 홋카이도에서 떨어져있어도 자식들을 통해 마음이 이어져있을 수 있음을 깨달은 점, 나츠코는 음악을 통제하려 하지만 이토는 프라이드 사건에서 알 수 있듯이 어느 정도 제멋대로여도 용납한다는 점[24] 등이 묘한 대칭을 이룬다는 점이 근거다.
다만 그렇다면 이토가 음악 때문에 가드가 높다는 것을 어느 정도 짐작할 수 있음에도, 사귀기를 원하면서 말도 하지 않고 노래를 어레인지 했다는 것은 앞뒤가 안 맞는 점이 있다. 굳이 짐작해보자면 엄마에게 음악적 재능을 억압받았던 것에 대한 반동이나 음악에 대한 자신감의 표출 등을 생각할 수 있겠다.[25][26] 주고 싶지 않았던 프라이드를 주면서 이토의 마음을 확인한 맥락이나, 노 레인 노 레인보우를 어레인지한 노래에 담고 싶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엄마에게 상처주지 않으려고 한 반동으로 상처를 주면서 애정이나 연민을 느끼는 성향이 있을지도 모른다. 프더히에서는 미국까지 찾아온 히로를 쫓아내고 눈물을 뚝뚝 흘렸다.[27]
코우지와 이토의 관계는 결국 절망에 빠져있던 코우지가 일종의 극기심을 발휘하는 것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보인다. 6화에서도 본심을 밝혔더니 거기에 발끈한 이토의 프리즘쇼를 보게 되고, 10화에서도 어머니에 대해 의식하면서 자기의 생각을 말하거나, 18화에서 에델로즈를 나오면서까지 지키던 프라이드를 줌으로써 서로의 본심을 확인하고, 이후에는 이토가 음악 때문에 관계를 거부하는 것을 알면서 더더욱 음악으로 밀어붙이거나, 39화에서는 이토와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어머니에게 상처를 주게 된다는 것을 알면서 고집하고, 그것이 47화에서 결실을 맺으면서 자기만의 사상이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 짐작된다. 킹프리에서도 이러한 행보는 계속되고 있다.
킹프리 팬북에서의 오버레 인터뷰에 따르면, 코우지가 작곡하는데에 있어서 뮤즈가 누구였냐는 질문에 코우지는 여자친구인 이토에 대해서 자랑을 하려다가 히로가 황급히 코우지의 입을 틀어막고 수습했다고 한다.
프리파라에서는 넘어지는 숏컷의 여자아이를 보고 이토와 헷갈려서 달려가기도 한다. 참고
감독의 말에 따르면 졸업식의 그 프리즘 점프로 열애사실을 발표한 것이라고 하는데 그 많은 행보를 저질러놓고 이토에 관해서는 그야말로 팔볼출 애처가가 따로없다.
오버 더 레인보우의 멤버중 유일하게 커플링이 명확한 캐릭터이다.
본작에서 어떤 타입인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모바일 게임 프리티 리듬 셰이크에서는 나루와 같은 러블리 타입이다.[28] 정작 킹프리에서는 심쿵 타입 이라는 알 수 없는 타입으로 공개되었다.
일단 작품 내에서는 이렇게 관계가 정리되었지만 작품 외적으로 반전이 하나 생겼다. 코우지가 좋아했던 스즈노 이토의 성우인 코마츠 미카코와 하야미 히로의 성우 마에노 토모아키가 2020년 5월 21일에 결혼했기 때문. 이 결혼을 두고 팬들은 코우지가 히로한테 곡 뿐만 아니라 여자친구까지도 빼앗겼다는 우스갯소리를 했다.
여담으로 해피 나루의 작사자답게 간혹 해피나루의 노래로 프리즘 쇼를 하기도 하는 모양. 샤세스 미나토 편에서도 해피나루의 곡으로 프리즘 공연을 했으며 여러모로 성우의 열연이 압권이다(...)
[1] 킹프리에서 밝혀졌다. 본편에서도 그렇고 히로, 카즈키와 비교하면 확실히 큰 편이다.[2] 에델로즈 멤버 중 키가 가장 크다.[3] 히로와의 갈등으로 인해 사실상 데뷔하자마자 곧바로 에델로즈를 떠나며 유닛을 나갔으나, 데뷔 당시 정식적인 기자회견도 받는 등. 아주 짧은 시간이었지만 히로와 함께 정식적인 유닛으로 활동한 것은 맞다.[4] 히로와의 갈등으로 인해 에델로즈를 떠나고 사실상 프리즘 스타의 꿈을 접고 잠정적으로 프리즘 쇼도 은퇴한 상태였다.[5] 히로와의 갈등이 해결되고 오버 더 레인보우 결성과 함께 에델로즈로 복귀하나, 킹 오브 프리즘 프라이드 더 히어로에서 프리즘 킹 컵이 끝이나자 에델로즈를 졸업한다.[6] PRIDE the HERO 시점에서 진의 계략으로 인해 코우지의 곡 저작권이 슈왈츠 로즈로 넘어가자, 에델로즈의 부채를 감면해주는 조건으로 슈왈츠로즈로 전향하는 것을 자처했으며. 이 때문에 주변인들이 더이상 자신에게 미련을 갖게 하지 않기 위해, 에델로즈와 오버레를 무통보로 나가고, 자신을 찾아온 히로에게도 쌀쌀맞게 굴었지만, 주변인들의 도움으로 곡의 저작권을 다시 되찾아오게 되자 다시 에델로즈에 복귀하게 된다. 슈왈츠로즈에 들어가기 직전까지 몰리긴 했으나, 정식으로 들어간 것은 아니기에 취소선 처리.[7] 졸업 후 히로, 카즈키 와 같이 세운 자회사의 이름.[8] KING OF PRISM PRIDE the HERO 한정.[9] 모바일 게임 프리티 리듬 셰이크 한정. 작중에선 알려지지 않는다.[10] 전작 디어 마이 퓨처에서 준, 그리고 최종 보스를 맡았는데, 남도형의 경우 코우지가 극장판에서 주인공으로 격상됨에 따라 프리티 리듬의 주인공과 최종 보스를 모두 맡아본 성우가 되었다.[11] 김아람, 신비와 동일성우.[12] 다만 6화 학교 축제 에피소드에서 에델로즈 재단 산하의 카쿄인 학원의 교복을 입고 등장한 걸 보면 카쿄인 학원에는 계속 재학 중인듯하다.[13] 에델로즈에서 도와준 것을 빌미로 노래를 뺐지 않으면 데뷔를 시켜주지 않겠다는 내용.[14] 아무래도 협박을 당했다는 것을 보고 그의 행동을 나름대로 이해한 것 같다.[15] 본인이 이토와의 연애를 엄마에게 허락받아야 하고, 묵은 응어리를 해결하고자 하는 입장이 되었기에 심정의 변화가 생긴 것일 수도 있다.[16] 담당 성우가 말하길, 본인이 녹음하면서도 당황스러웠다고...[17] 다른 에델로즈 신입생들은 별 반응이 없다. 사실 슈왈츠 로즈에 대해서 적대적인 견해를 대놓고 드러낸 것은 내막을 알고 있는 유우와 타이가 정도 밖엔 없기도 하다.[18] 공식 설정에 따르면 프리티 리듬 레인보우라이브에서 코우지가 '가슴 두근 체험♡'을 뛸 수 있다는 걸 알수있는 대사가 있고 원래는 코우지가 먼저 선보인 기술이고 '프리즘 퀸 컵'에서 이토가 선보이고 그 답례로 코우지가 오버레 라이브에서 뛴 느낌이라고 한다.[19] 굳이 추측해보자면 처음으로 가슴 두근 체험♡을 쓴 오로라드림 4화에서 부활절달걀의 껍질을 깨고 그 안의 선물을 확인한 것이 계기가 된 것을 고려해볼 수 있다. 리부트의 가사에 껍질이란 단어가 들어가고 8화에서 이토가 코우지의 노래가 껍질속에 갇혀있어서 미지근하다고 지적하는 점, 그리고 직후 나루가 본인은 거기서 행복을 느꼈다고 말하는 장면이 있는데 아마 이것이 그것으로 추정된다. 별개로 어쩌면 코우지는 이러한 대화에서 노 레인 노 레인보우에 대한 힌트를 미리 얻었을지도 모르겠다. 여담으로 달걀을 깨고 사랑에 빠지는 패턴은 프리챤의 카가야키 이브의 에피소드에서도 재현된 바 있다.[20] 히로는 베루, 코우지는 이토, 카즈키는 안을 따라했다.[21] 후에 아쉬웠는지 올스타 셀렉션 엔딩으로 나온 키스신이나 퍼펙트 월드 소개 문구에 따르면 어찌저찌 연애는 성공한듯싶다.[22] 특히나 프라이드 더 히로 시점에 와서는 해당 속성이 더욱 심해졌는데, 슈왈츠로즈에 작곡 권한이 강탈 당한것으로 인해 작중내내 미국에 가있어서 오버레 멤버중에선 유일하게 프리즘 킹컵에 아예 출전하지도 못하고 작중내내 공기 상태였다가, 결국 카즈키와 히로가 프리즘 쇼를 끝내고 히로가 프리즘킹이 되고나서야 마지막에 등장한다.[23] 거기다가 때마침 절친이었던 히로의 배신으로 인해 어두워진 성격이 된 것도 적지 않게 있었다.[24] 이 때 이토는 히로가 의뢰를 했음에도 코우지의 노래를 선택하는 것에 대해 따지지 않는데, 이를 통해 코우지가 사실 이토가 자신의 노래를 내심 인정하고 있었음을 눈치챘을 수 있다.[25] 러브레터라는 노래에 진심을 요구하는 가사를 적거나, 고백하면서 (대답 대신이라는 건지) 키스하는 등 이 시점부터 코우지의 행보가 점점 킹프리의 그것에 가까워지는 듯하다...[26] 베루가 어레인지한 노래가 러브레터임을 확인하기 이전에 연습을 하던 때에 그러한 의도가 있음을 이미 눈치챈 것으로 짐작된다.[27] 어떤 면에서는 균형의 수호자다. 이토를 위해 자기 노래를 주고 그 대신 이토의 노래를 멋대로 어레인지하거나, 이토를 통해 프라이드를 얻은 히로를 카즈키를 통해 프라이드와 함께 다시 반갈죽했다.[28]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에서도 뛴 점프도 전부 쿨 타입의 캐릭터들이 뛴 점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