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6 16:46:55

메필레스 더 다크

파일:soniclogo_white.png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oniclogo_white.png
팀 소닉
파일:소닉 로고.webp
소닉
파일:테일즈 로고.webp
테일즈
파일:너클즈 로고.webp
너클즈
파일:Sonichannel_chao.png
팀 로즈
파일:에이미 로고.webp
에이미
파일:크림&치즈 로고.webp
크림
파일:빅 로고.webp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578px-Gun_logo.png
팀 다크
파일:섀도우 로고.webp
섀도우
파일:루즈 로고.webp
루즈
파일:오메가 로고.webp
오메가
카오틱스 탐정 사무소 파일:벡터 로고.webp
벡터
파일:에스피오 로고.webp
에스피오
파일:차미 로고.webp
차미
파일:eggmanlogo_white.png
에그맨 패밀리
파일:에그맨 로고.webp
닥터 에그맨
파일:메탈 소닉 로고.webp
메탈 소닉
파일:세이지 로고.webp
세이지
파일:오봇 로고.webp
오봇
파일:큐봇 로고.webp
큐봇
다른 세계 파일:실버 로고.webp
실버
파일:블레이즈 로고.webp
블레이즈
파일:아리엠 로고.webp
아리엠
파일:바빌론도적단들.png
바빌론 도적단
파일:제트 로고.webp
제트
파일:웨이브 로고.webp
웨이브
파일:스톰 로고.webp
스톰
ARK 파일:마리아 로고.webp
마리아
파일:제럴드 로고.webp
제럴드
챠오 가든 파일:챠오 로고.webp
챠오
??? 파일:오모챠오 로고.webp
오모챠오
파일:도돈 파 로고.webp
도돈 파
여행 동료 파일:칩 로고.webp
파일:얘커 로고.webp
얘커
라이벌 파일:카오스 로고.webp
카오스
파일:메필레스 로고.webp
메필레스
파일:인피니트 로고.webp
인피니트
육귀중 파일:자보크 로고.webp
자보크
파일:자즈 로고.webp
자즈
파일:조몸 로고.webp
조몸
파일:지나 로고.webp
지나
파일:조어 로고.webp
조어
파일:마스터 지크 로고.webp
마스터 지크
기타 에그맨 일당 배드닉 · 데스 에그 로봇 · 메카 소닉 · E-102 감마 · 섀도우 안드로이드 · 지멜 · 하드 보일드 헤비즈
클래식 시간대 마이티 디 아르마딜로 · 레이 더 플라잉 스쿼럴 · 허니 더 캣 · 트립 더 선게이저
기타 조력자 치즈 · 바닐라 더 래빗 · 스틱스 더 배저 · 아바타
인간 대통령 · 에이브러햄 타워 · 엘리스 · 소닉 맨 · 피클 교수 · 프로페서 빅토리아
고대&외계인 티칼 · 파차카마 · 에멜 · 바빌론 가디언 · 셰이드 디 에키드나 · 위스프 · 마더 위스프 · 코코 · 고대인 · 거신
멀티버스 일루미나 · 루미나 플로라이트 · 보이드 · 샤라 · 마린 더 라쿤 · 멀리나 더 위저드
기타 악역 · 빈 더 다이너마이트 · 바크 더 폴라베어 · 위치카트 · 위치카터 · 배틀 쿠쿠 제국 · 킹 부부 · 바이오 리저드 · 블랙 둠 · 닥터 에그맨 네가 · 이블리스 · 솔라리스 · 이레이저 진 · 캡틴 위스커 · 죠니 · 이프리트 · 노웸 · 다크 가이아 · 아서 왕 · 타임 이터 · 디 엔드 · 블랙 드래곤
크로스오버 록맨 · 블루스 · 팩맨 · 고스트 · 하츠네 미쿠 · 조커 · 카스가 이치반 · 네모바지 스폰지밥 · 뚱이 · 알렉스 · 스티브 · 크리퍼
}}}}}}}}} ||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red> 파일:섀도우 로고2.png섀도우 더 헤지혹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red><colcolor=#fff> 행적 작중 행적
관련 조직 GUN · 블랙 암즈
능력 능력과 장비 · 카오스 에너지 · 카오스 컨트롤 · 카오스 스피어 · 카오스 블래스트 · 둠 파워
관련 게임 소닉 어드벤처 2 · 소닉 히어로즈 · 섀도우 더 헤지혹 · 소닉 더 헤지혹 · 소닉 포시즈: 에피소드 섀도우 ·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 소닉 드림 팀
변신 및 변종들 슈퍼 섀도우 · 섀도우(붐) · 섀도우(실사영화)
관련 문서 마리아 로보트닉 · 제럴드 로보트닉 · 블랙 둠 · 섀도우 안드로이드 · 루즈 더 뱃 · E-123 오메가 · 메필레스 더 다크 }}}}}}}}}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메필레스 더 다크[1] / 어둠의 메필레스[2]
Mephiles the Dark
闇のメフィレス
파일:Mephiles_SFSB_Render.png
[3]
성별 남성
출생지 아쿠아틱 베이스
출연작[4] 소닉 더 헤지혹(2006)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2024)
담당 성우 파일:미국 국기.svg 댄 그린[5]로비 데이먼드
파일:일본 국기.svg사카즈메 타카유키
1. 개요2. 설명3. 작중 행적4. 보스전
4.1. 소닉 더 헤지혹(2006)
4.1.1. 페이즈 14.1.2. 페이즈 2
4.2.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5. 외전 시리즈에서6. 의문점7. 기타8. 관련 문서

1. 개요

파일:변신하는 메필레스.gif
메필레스의 테마곡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15주년 기념작, 소닉 더 헤지혹(2006)의 등장 악역이자 섀도우 에피소드의 최종 보스.[6] 일본어 더빙 기준으로 1인칭은 섀도우와 마찬가지로 보쿠, 2인칭은 키미 혹은 오마에, 그리고 키사마.

시간과 공간을 통째로 집어삼키는 생명체, 솔라리스가 분리되서 나온 반신 중 하나이며,[7] 왜 그것이 목적인지 이유나 동기는 불명이지만, 자신의 원래 형태인 솔라리스로 돌아와 모든 역사를 소멸시키는 것이 최종 목표이다.

2. 설명

이름의 유래는 메피스토펠레스로 추정. 혹은 아랍어 '머플레스'(Muffles / 아무것도 없는 자)가 어원이라는 추측도 있다. 처음에는 형체가 없는 어둠이었다는 점이나, 오로지 최종 목표를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을 뿐, 선악관념이 전혀 없다는 점을 볼 때 이쪽도 나름대로 적절하다.

컷신 전용 테마곡[8]이 공포영화 배경음 수준으로 음산하다. 그러나 정작 본인은 소리를 자주 지르고 동작도 묘하게 웃긴 덕에, 일판에선 한때 MAD 소재로 활발히 사용되기도 했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메필레스 더 다크/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필레스 더 다크/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메필레스 더 다크/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보스전

페이즈 1 보스전 BGM
페이즈 2 보스전 BGM

공격 패턴이 조금 달라지기는 하지만 기본적인 공략법은 페이즈 1이나 2나 같다. 메필레스의 외눈 그림자들을 잡고 라이트 코어로 액션 게이지를 완충한 다음, 카오스 부스트로 메필레스를 끌어내고 쫓아가서 패는 것이 정석. 사실 인게임 진행 상, 카오스 부스트 상태가 아닌 이상은 섀도우가 메필레스에게 직접 유효타를 줄 수 없어[9], 최대한 액션 게이지를 빠르게 채우고, 최소 1턴에서 최대 2턴 안에 메필레스를 쫒아가서 체력을 모두 깎아주면 된다.

4.1. 소닉 더 헤지혹(2006)

4.1.1. 페이즈 1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Chaos_Boost_state-min.png

메필레스는 시작하자마자 자신의 '그림자'를 대량으로 불러내어 섀도우를 압박하고, 자신은 섀도우의 그림자로 들어가 무적 상태가 된다. 메필레스의 그림자들은 한 방에 나가떨어지는 초허약 체질이지만 이걸 잡아봤자 보스 체력은 안 줄어든다. 그림자들을 잡아 액션 게이지를 가득 채운 뒤 카오스 부스트를 발동하면 그제서야 메필레스가 그림자에서 튀어나온다. 카오스 부스트는 레벨 1만 발동해도 되며, 발동 후에는 이리저리 날아다니는 메필레스를 공격하여 체력을 깎아주면 된다. 공격이라면 뭐든지 유효하지만 효율을 생각하면 카오스 어택의 5연속 공격이 특효약.

참고로 스테이지를 상시로 떠다니는 그림자들을 하나하나 호밍 어택으로 잡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린다. 주기적으로 대량의 그림자가 갑자기 나타나 섀도우를 향해 일제히 날아오므로, 이때 3연속 스핀 킥을 반복하여 쓸어버리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런 식으로 메필레스의 체력을 다 깎고 나면 E-123 오메가를 조작하여 한 번 더 싸워야 한다. 여기서는 메필레스가 자신의 그림자들 사이로 피신하기 때문에 또 그림자들을 여럿 퇴치해야 한다. 한 번에 8개의 표적을 공격할 수 있는 록온 레이저[10]가 유효하고, 오메가와 메밀레스 사이에 그림자가 없을 때는 공중에서 액션 버튼을 짧게 눌러 오메가 런처만 쏴줘도 잘만 맞는다.

호밍 어택과 카오스 랜스의 공격력을 1이라고 계산했을 때, 메필레스의 체력은 섀도우와 싸울 때는 12 → 오메가와 싸울 때는 24이다. 보스전이 끝나면 오메가의 공격에 나가떨어진 메필레스가 자신의 시공간 이동 능력으로 도망치는 이벤트가 발생한다.

4.1.2. 페이즈 2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06_Mephs2.png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Wmplayer_2015-02-26_20-01-57-143.png

섀도우 에피소드의 최종 보스전. 이 보스전에서 승리하면 컷신이 진행된 다음, 엔딩 크레딧으로 이어진다.

페이즈 2에서는 스테이지의 바닥 전체가 그림자로 뒤덮이고 그 사이 메필레스는 무적 상태가 된다. 메필레스가 "어둠 속에 가라앉아라!"라는 대사와 함께 바닥에 침투하고 나면 1차전의 그림자들이 합체하여 생긴 거대한 그림자가 필드 외곽에 나타나서 외눈으로 레이저를 쏘는 식으로 섀도우를 공격한다. 이 그림자들은 작은 개체보다 체력이 3배로 많은 데다가 머리를 정확히 노려야 대미지를 받지만, 격파 시 라이트 코어를 대량으로 획득할 수 있어 5체만 때려잡아도 액션 게이지를 완충할 수 있다.

카오스 부스트를 발동하면 모든 그림자가 소멸하고 메필레스가 바닥에서 튀어나와 대미지를 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페이즈 1과 달리 섀도우로 한 번만 격파하면 되지만 이때는 처음부터 체력이 24여서 카오스 어택을 써도 시간이 조금 더 걸릴 수 있다.

4.2. 섀도우 제너레이션즈

섀도우 제너레이션즈의 분기별 보스
VS 바이오 리저드 VS 메탈 오버로드 VS 메필레스 VS 데빌 둠
파일:섀젠 메필레스.png
보스전 페이즈 1 BGM
보스전 페이즈 2 BGM

원작과 달리 메필레스가 공격해올 때는 바닥 전체가 그의 액체형 그림자 대신 오염 지대로 뒤덮이게 되었다. 평소와 마찬가지로 오염 지대 위에서는 이동 속도가 느려지는 데다가 메필레스도 오염 지대와 동화하므로[11] 잠복 상태의 메필레스를 끌어 내서 타격을 줄려면 둠 모프의 사용이 강제된다.[12]

보스전이 시작되면 메필레스는 칼날을 세운 채 섀도우를 향해 돌진하거나 자신의 그림자를 무더기로 불러내서 공격해온다. 여기에 대처하다 보면 바닥에 모프 볼이 생성되고, 둠 모프로 메필레스를 들이받으면 오염 지대에서 끄집어낸 뒤 둠 블래스트로 대미지를 줄 수 있다.[13] 어려움 난이도가 아닌 이상 그림자를 퇴치하면 링을 추가로 획득할 수 있다.

위 방법으로 메필레스의 체력을 반으로 줄이면[14] 원작의 페이즈 2처럼 다수의 분신을 만든다음, 공중으로 올라가서 하늘에서 돌 기둥들을 내리꽂는다. 기둥 중 하나는 표면이 오염되어 둠 모프로 타고 오를 수 있고, 공중에 떠 있는 모프 볼을 경유하여 분신들을 모두 제거하면 메필레스가 다시 지상으로 내려온다.

메필레스의 분신들을 모두 제거하면 이때부터는 원작에서도 나타난 거대한 그림자가 오염 지대에 숨어 있다가 섀도우가 있는 지점에서 튀어나와 공격하는데, 거대 그림자가 바닥과 닿여있는 부분을 둠 모프로 타격하다 보면 실드를 깨고 그림자를 직접 칠 수 있다. 모프 볼이 나타나는 지점을 빠르게 찾아내야 하며, 모프 볼이 나타나는 타이밍에 카오스 컨트롤로 시간을 멈추는 것이 유리하다. 실드를 깨고 그림자를 직접 칠 때마다 카오스 게이지가 100% 회복되므로 매번 시간을 정지할 수 있다.

이후, 메필레스는 다수의 분신들을 원형으로 섀도우의 주변을 둘러싼 다음, 사방에서 동시 습격을 해온다.

이때 카오스 컨트롤로 시간을 멈추고 메필레스를 때리다 보면 자동으로 컷신이 진행되며, 메필레스는 외눈 그림자들을 다수 불러내서 발악하지만 모조리 씹히고, 결국 섀도우에 의해 다시 한번 봉인구, 어둠의 장막에 봉인당한다.

어려움 난이도로 보스전을 치를 경우 맵에 링이 없고, 외눈 그림자를 잡거나 해도 링이 추가로 전혀 공급이 안되기 때문에 S 랭크가 목표라면 대미지를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이는 본작의 바이오 리저드도 마찬가지이다.

5. 외전 시리즈에서

소닉 러너즈, 소닉 대시, 소닉 포시즈 모바일에서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한다.

6. 의문점

생각해보면 메필레스가 고슴도치들에게 시켜준 시공간 이동 자체가 모두 삽질이었다. 왜 미래 세계에서 이블리스가 멀쩡히 돌아다니는데 굳이 과거에서 소닉을 죽이고 이블리스를 해방하려 하는가, 그리고 왜 자신을 엿먹인 섀도우를 끝까지 자신의 편으로 만들려고 했는가에 대한 의문도 남는다. 그동안 팬들에 의해 제시된 설들을 몇 가지 나열하자면 다음과 같다.
  • 미래의 이블리스를 놔두고 과거에서 소닉을 죽여 이블리스를 풀어놓으려는 이유
    • 미래의 이블리스는 이미 융합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하게 성장해 있기 때문이라는 것.
    • 미래의 이블리스가 가진 파괴적인 성향으로 인해 자신마저 위험해질 수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는 것.
    • 같은 시간대의 이블리스하고만 융합할 수 있었던 것.
    • 과거에서 해방되지 않은 이블리스가 미래에서 해방되어 있다는 말은 어느 시점에서는 이블리스가 해방되었다는 뜻으로, 엘리스의 신변에 이상이 없는 한 이블리스가 해방될 일도 없기 때문에 이블리스를 해방하기 위해서는 엘리스의 몸에서 이블리스를 풀어줘야 한다는 것. 즉, 과거에서 엘리스를 죽이지 않으면 미래의 이블리스를 해방시킨 일이 없었던 일이 되기 때문일 수도 있다는 것.
    • 소닉의 목숨을 노린 이유는 엘리스의 몸에 봉인된 과거의 이블리스를 해방하는 것이었지만, 동시에 자신에게 위협이 될 요소를 제거하기 위한 행동이기도 했다는 것.[15]
    • 이블리스와 융합하기 위해서는 카오스 에메랄드를 모아야만 한다는 것.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메필레스는 이것 때문에 시공간을 돌아다녔으며, 그 과정을 수월하게 하기 위해 실버와 소닉에게 서로 싸움을 붙이고 섀도우를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려 했다'는 것이다. 실제로 메필레스가 이블리스와 다시 융합할 때 7개의 카오스 에메랄드를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 하지만 이 가설은 오히려 메필레스 본인의 능력과 행적을 통해 반박할 수 있기 때문에 설득력이 떨어진다. 스토리가 진행되면서 카오스 에메랄드는 현재와 미래 시대의 여기저기로 흩어졌는데, 메필레스는 라스트 에피소드에서 각각의 에메랄드가 있는 시공간에 찾아가지 않고도 한꺼번에 모두 강탈했다. 눈앞에 에메랄드가 두 개씩 있었던 섀도우와 실버는 이 때 저항하기는 커녕 메필레스의 모습도 목격하지 못했다. 다시 말해 메필레스는 굳이 시공간을 돌아다니며 세 고슴도치를 건드릴 필요가 없었고, 처음부터 에메랄드를 모은 다음 엘리스를 죽이는 등의 과정을 거치며 이블리스의 봉인을 풀면 될 일이었다.
  • 소닉, 실버는 내버려 두고 섀도우를 굳이 회유해서 아군으로 둘려는 이유
  • 3명의 고슴도치의 협동을 막아서 자신의 계획(솔라리스로 복귀) 을 보다 수월 하게 실행 하기 위함 일 것 이라는 점.
  • 형체가 없는 어둠 상태의 메필레스는 06 스토리 작중에서도 보여주듯이 섀도우의 형체를 빌려서 부활 겸 강화를 하는데 성공 했기에, 일종의 특별 취급 을 해주는 것. [16] 섀도우가 자신의 설득과 회유를 끝까지 안 듣자, 유감이라고 표하며 공격 태세로 들어간 것도 그 점에 포함될 것 이다.

작중에서 이 모든 것에 대한 설명은 전혀 없기에 진실은 저 너머에. 섀도우 제너레이션즈에서 재등장이 확정되면서 이 의문점을 해소해주길 바라는 팬들도 있었으나, 단발성 재등장에 그쳤기에 여전히 떡밥은 풀리지 않고 있다. [17]

7. 기타

행보 자체도 뭔가 어설프긴 하지만, 그렇다고 하는 짓이 어둡지 않은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인지도가 상당히 높다. 게임 섀도우 더 헤지혹블랙 둠도 비슷한 입지지만 인지도는 메필레스랑 천지차이. 한편으로는 MAD의 향기를 풍기면서도 소닉을 의식불명으로 만든 장면 때문인지 시리즈 내 악역 중에서 최강 대접을 받는가 하면, 닥터 에그맨보다 대단하다는 평도 있다. 여기에는 간지나는 외형도 한몫 한다. 이러한 인지도에 힘입어 2차 창작에서는 악역이거나 아군 등 다양한 포지션으로 재등장한다.

3D 모델링에서 메필레스의 코와 입이 없기 때문에[18], 이것을 소재로 한 팬아트들도 많이 보인다. 굳이 소재로 하지 않더라도 대부분은 메필레스를 그릴 때 코와 입을 빼고 그린다. 그래서 인지 몰라도 실버나 섀도우가 "쟤는 어떻게 음식을 먹는거지?" 라는 주제로 대화 하기도 한다.

유출된 소닉 포시즈의 초기 스크립트에서 드러난 사실로, 본디 소닉 포시즈에서 재등장할 예정이었다. 팬텀 루비에 시공간 왜곡 능력이 있으니 아예 불가능한 건 아니었지만 결국 폐기됐다.

그러다 섀도우 제너레이션즈에서 재등장했다. 타임 이터가 메필레스처럼 소실된 시간선에 있는 크라이시스 시티까지 재구성할 수 있는 시간 조작 능력을 지녀서 가능한 듯 보인다. 상세한 건 메필레스 더 다크/작중 행적에 서술.

소닉 34주년 기념 방송에서 메필레스의 달력 일러스트가 깜짝 공개되었다. 카페에서 프라페를 주문하고 거울엔 본모습이 비춰져 있다. 빼빼로(포키)로 슈크림을 꿰뚫고 멍하니 바라보고 있는 것은 라스트 에피소드의 소닉을 습격했을 때 그 장면의 패러디. 함께 서술된 소닉 팀의 코멘트에 따르면 소닉 06의 이야기가 진행되던 당시 솔레아나 왕국 외곽의 카페에서 혼자 계획을 세우며 시간을 보낸다면 이런 느낌일 것 같다고 하며 그린 것이라고 한다.

8. 관련 문서




[1] 영어판에서의 이름이자 통용 번역.[2] 일본어판에서의 이름이자 섀도우 제너레이션즈의 번역.[3] 위의 형태는 본 모습을 드러낸 형태. 원래 초기 형태는 입이 빠지고 색깔이 푸른색, 무채색에 가까운 섀도우의 모습을 띄고 있다. 눈은 소닉과 거의 비슷하지만, 살짝 탁한 색깔의 녹안 이다. 아래의 움짤이 바로 그 모습.[4] 특전으로 출연한 모바일 외전 게임인 소닉 포시즈(모바일), 소닉 러너즈는 제외.[5] 같은 작품에서 너클즈 디 에키드나를 연기했다.[6] 라스트 에피소드를 포함한 게임 전체를 놓고 보면 중간 보스 내지는 페이크 최종 보스에 가깝다. 실버 기준으로는 이블리스가 숙적이자 최종보스 포지션을 겸한다고 할 수 있다.[7] 나머지 반신은 메필레스 랑은 다르게 지성이 거의 없는 괴물로 묘사되는 이블리스 이다.[8] 메필레스의 부활 , 검은 그림자 , 메필레스의 속삭임 , 그놈이 이블리스 트리거다! , 메필레스의 유혹 , 메필레스와의 결판[9] 통상 섀도우 상태에서는 섀도우가 무슨 행동을 해도 가드 판정만 뜨며 공격이 막힌다.[10] 액션 버튼을 길게 눌렀다가 떼면 나가는 무기. 자동 조준 기능이 있어서 록온만 되면 목표물들을 향해 알아서 날아간다.[11] 물론, 06 소닉 때랑은 다르게 이 게임의 섀도우는 카오스 컨트롤(시간 정지), 부스트 가 기본으로 존재 하기에, 부스트와 점프를 잘 활용하면 메필레스의 공격 패턴을 피하는데 크게 문제는 없다.[12] 원작 06 소닉 때도 카오스 부스트 상태가 아니라면 메필레스 에게 타격을 전혀 줄 수 없었음을 생각 해보면 적절한 고증 이라고 할 수 있다.[13] 메필레스를 끌어낸 이후에는 섀도우, 메필레스가 순간이동을 하며 드래곤볼 Z의 순간이동 싸움을 오마주 하는데, 이때 버튼을 계속 눌러줘야 된다.[14] 배경음이 다크소울 시리즈, 블러드본 마냥 페이즈 2 구간으로 바뀐다.[15] 실제로 소닉은 섀도우, 실버와 더불어 소닉 세계관 내에서 슈퍼화가 가능한 몇 안되는 캐릭터이기 때문에 메필레스 입장에서는 자신의 계획을 실행하기 위해 소닉을 제거하는 것은 필수 사항이라 할 수 있다.[16] 실제로 루즈랑 섀도우가 함께 있었을 때, 메필레스가 섀도우의 형태를 빌려서 부활 겸 강화에 성공하자 고개까지 숙이며 인사하는 모습을 보면 어느 정도는 그렇다고 할 수 있다.[17] 제너레이션즈 시점 에서는 메필레스는 섀도우를 여전히 알아보긴 하지만, 섀도우는 06 스토리에 대한 기억이 싹 날아간 이후 시간대 에서 메필레스 랑 만났기에 메필레스가 누구인지, 뭐하는 놈인지 전혀 기억을 못하는 상태로 메필레스를 또 봉인한다. 둘이 서로 나누는 대화 에서도 중요한 요소라던가, 떡밥 이라던가 하는 점은 전혀 없기에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18] 단, 코는 2형태에서만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