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0 19:16:46

메리크리우스


<rowcolor=#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9c2c4d><table bgcolor=#9c2c4d> 파일:Gundam_Wing_Logo_Small.pngAC. 195. 12. 22
리브라 공방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letter-spacing: -1px;"
소속 모빌슈츠
[[세계 국가 연합|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ESUN.gif
]]
Earth Sphere Unified Nation
XXXG-00W0
윙 건담 제로
XXXG-01D2
건담 데스사이즈 헬
XXXG-01H2
건담 헤비암즈 改
XXXG-01SR2
건담 샌드록 改
XXXG-01S2
알트론 건담
SK-12SMS
토라스
[[화이트 팽|
파일:fic^whfa.gif
]]
White Fang
OZ-13MS
건담 에피온
OZ-13MSX1
바이에이트
OZ-13MSX2
메리크리우스
WF-02MD
비르고 II
OZ-12SMS
토라스
[[OZ(신기동전기 건담 W)|
파일:오즈 우주군.gif
]]
Organization of The Zodiac Space Force
OZ-00MS2
톨기스 II
OZ-06SMS
리오
XXXG-01W
윙 건담
}}}}}}}}}}}}

<rowcolor=#fff> {{{#!wiki style="letter-spacing: -1px; 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9c2c4d><table bgcolor=#9c2c4d> 파일:Gundam_Wing_Logo_Small.png신기동전기 건담 W
시리즈의 등장 메카닉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letter-spacing: -1.5px;"
{{{#!wiki style="font-size: 0.9em; word-break: keep-all"
모빌슈트(MS)
TVA Endless Waltz
패자들의 영광
Endless Waltz 프로즌 티어드롭
윙 건담 윙 건담 제로 윙 건담
(EW)
윙 건담 프로토 제로 윙 건담 제로
(EW)
블랙 윙
윙 건담
스노우 화이트
프렐류드
스노우 화이트
건담 데스사이즈 건담 데스사이즈 헬 건담 데스사이즈
(EW)
건담 데스사이즈
루세트
건담 데스사이즈 헬
(EW)
워록
건담 헤비암즈 건담 헤비암즈 改 건담 헤비암즈
(EW)
건담 헤비암즈
이겔
건담 헤비암즈 改
(EW)
프로메테우스
건담 샌드록 건담 샌드록 改 건담 샌드록
(EW)
건담 샌드록
아르마딜로
건담 샌드록 改
(EW)
세헤라자데
셴롱 건담 알트론 건담 셴롱 건담
(EW)
셴롱 건담
랴오 야
알트론 건담
(EW)
-
톨기스 톨기스 II 톨기스
(EW)
톨기스 플뤼겔 톨기스 III 톨기스 헤븐
건담 에피온 건담 에피온
(EW)
- 건담 에피온 파이
TVA 듀얼 스토리 G-UNIT 티엘의 충동
메리크리우스 바이에이트 리오 건담 제미나스 1호 건담 제미나스 2호 윙 건담 세라핌
에어리즈 트라고스 캔서 건담 L.O. 부스터 건담 아스클레피오스 윙 건담 루시퍼
파이시즈 마그아낙 토라스 건담 그리프 건담 반레프오스 건담 데스사이즈 길티
비르고 비르고 II 서펜트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바이에이트 슈이반 건담 데린저암즈
비르고 III 비르고 IV 스콜피오 하이드라 건담 건담 아쿠아리우스 건담 샌드레옹
킹 오브 스페이드 퀸 오브 하트 플럼 잭 레오스 레오르 티엔룽 건담
와이번 키메라 그라이프 레온 D-UNIT 카프리콘
전함 및 우주요새
{{{#!wiki style="margin: -16px -11px" TVA 듀얼 스토리 G-UNIT
피스밀리온 리브라 벌지 그랑샤리오 }}}
}}}}}}}}}}}} ||

1. 개요2. 제원3. 설명4. 작중 활약5. 베리에이션
5.1.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6. 기타7. 모형화

1. 개요

473 OZ-13MSX2 Mercurius (from Mobile Suit Gundam Wing)
473 OZ-13MSX2 Mercurius (from Mobile Suit Gundam Wing)
형식번호 OZ-13MSX2 모빌슈트 메리크리우스
OZ의 레이디 언 특사의 지시에 따라 다섯 박사는 건담을 능가하는 2기의 모빌슈트를 개발하게된다.
공격 위주인 바이에이트와는 반대로 방어 위주로 제작된게 메리크리우스다.
OZ에 붙잡힌 히이로 유이가 이 기체의 파일럿으로 뽑혔다.
백팩에 플라네이트 디펜서를 장비 전자 필드를 발생하여 공격을 튕겨내며
바이에이트와 공수 일체를 완성시켰다.

무기는 빔 건과 크러시 실드, 플라네이트 디펜서를 공격용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중에 화이트 팽군이 히이로의 데이터를 주입한 모빌 돌로 운용.
마찬가지로 모빌 돌 시스템이 주입된 바이에이트와 연계하여 데스사이즈 헬과 사투를 벌였다.
신기동전기 건담 W에 등장하는 모빌슈트. 레이디 언OZ에 생포된 5명의 건담 제작자들로 하여금 건담을 능가하는 최강의 모빌슈트를 제작하도록 하여 탄생한 기체이다.

이름은 수성 혹은 헤르메스의 라틴어 명칭 메르쿠리우스에서 따온 것. 왠지 모르게 '메리크리우스'라고 표기하게 되었다. 최종전이 '이브 워'라고 불린다는 데에서 메리 크리스마스가 인상되는 표기법이다.

2. 제원

OZ-13MSX2 Mercurios Profile
{{{#!folding [접기 / 펼치기] 번호 OZ-13MSX2
명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메리크리우스
파일:일본 국기.svg メリクリウス
파일:중국 국기.svg 麥丘留士
파일:미국 국기.svg Mercurios
형식 프로토 타입 모빌슈트
제작 닥터 J
프로페서 G
H 교수
독토르 S
노사 O
설계
오퍼레이터 OZ
화이트 팽
소속
파일럿 히이로 유이
카트르 라버바 위너
배치 AC. 195.
OZ-13MSX2 Mercurios General Characteristics
조종 복부 콕핏에 파일럿 위치
전고 16.3m
중량 7.3t
장갑 건다늄 합금
OZ-13MSX2 Mercurios Armaments
센서 탐지 범위 불명
자폭장치 콕핏트 내부 컨트롤러 위치
모빌 돌
인공지능 제어 장치
콕핏트 내부 제어 가능
플라네이트 디펜서
X10
백팩 양쪽 5개씩 장비
빔 건 좌측 사이드 스커트 장비
사용시 왼팔 장비
크러시 실드 오른팔 장비
빔 소드 내장
OZ-13MSX2 Mercurios Mechanical Designer
카토키 하지메
OZ-13MSX2 Mercurios Picture
파일:external/cfs7.blog.daum.net/4734a4e0d1136&filename=17.jpg 파일:external/halo2.f2s.com/mercurius.jpg
모빌슈트 설정화 극중 모습
}}} ||

3. 설명

바이에이트와 함께 2기 1조로 활동할 것을 상정하고 만들어졌으며, 이 쪽의 컨셉은 최강의 방패. 그 악명 높은 플라네이트 디펜서를 장착한 최초의 기체로, 윙 건담의 버스터 라이플도 막아낼 수 있을 정도의 방어 능력을 가지고 있다.

파일:external/cfs10.blog.daum.net/download.blog?fhandle=MDhnRnZAZnMxMC5ibG9nLmRhdW0ubmV0Oi9JTUFHRS80LzQ0Ny5qcGcudGh1bWI=&filename=447.jpg

이 외에도 빔 건과 고출력 빔 사벨을 생성시키는 크러시 실드를 무기로 지니고 있다.

바이에이트와는 2기가 한 쌍을 이루는 구조이며 바이에이트가 적기에 대한 화력투사에 전념하고 메리크리우스가 플라네이트 디펜서를 반으로 나누어 본기와 바이에이트를 지키며 접근하는 적을 쓰러트리는 것을 전제로 개발되었다.

2기1조로 기체를 나눈 이유는 여럿이 있다.

1. OZ의 요구는 건담을 쓰러트릴 수 있는 MS였는데 다섯 명의 과학자들은 각각의 기체를 공격와 방어에 특화시키는 것으로 두 기의 범용타입보다 훨씬 나은 결과가 나올 거라고 생각했기 때문. 실제로도 바이에이트와 메리크리우스의 성능은 개량되기전의 건담이상이다. 이는 본편에서 히이로가 공인한 사실.

2. 톨기스같은 극단적인 범용타입은 파일럿의 부담이 크기 때문에 역할을 나누어 부담도 분담시키기 위해서.

의외로 바탕은 건담이 아니라 톨기스인 듯, 헤드커버를 개방하면 톨기스형의 헤드타입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점은 바이에이트도 똑같다. 다만 W의 세계관에서는 건다늄 합금을 쓰면 건담의 이름을 달 자격을 얻기 때문에 메리크리우스 역시 건담이라고 부르지 못할 것은 아니지만 공식이든 비공식이든 건담 타입 취급받는 일은 없다.

방어형의 기체지만 능력의 통합치는 건담급이며 격투전 성능 역시 매우 높은 공방일체의 기체이다. 다만 빔건은 출력이 낮아서 장거리 사격에는 부적합하지만 원래의 설계목적에 맞게 소형이라 근거리전에서 쓰기에는 매우 효율적이다.

원래는 콜로니 출신자를 태워서 OZ와 콜로니의 통합의 상징으로 내세우고 어떻게 잘해서 건담도 쓰러트려 프로파간다에 써먹으려 했던 듯 하지만 건담급 기체를 감당할 수 있는 파일럿은 지구권 전체를 찾아봐도 매우 희귀했기에 포로가 된 히이로 유이를 태우게 된다.

원래 건담을 능가하는 최강의 MS를 원했던 레이디언은 이 두 기체가 싸울 경우 어느 쪽이 이기냐고 물어봤는데 다섯 명의 과학자는 우수한 파일럿이 탄 쪽이 이긴다고 대답했다. 이는 MS를 그저 병기로 여기는 레이디와 결국 MS는 도구이며 그것을 쓰는 사람 나름이라는 다섯 명의 과학자들의 사상적 차이가 뚜렷이 드러난 대화다.

4. 작중 활약

파일:external/www.oocities.org/mercurius2.jpg

당시 OZ가 콜로니와 화해와 교류의 무드를 띄고 있었던 탓에 이 모빌슈트들의 파일럿은 콜로니 주민에서 선발하기로 결정되었다. 5인의 박사들은 건담 파일럿이 이를 통해 잠입해올 것을 예상, 이 기체들이 오즈를 파괴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을 기대했다. 히이로 유이는 이 기체들이 콜로니의 위협이 될 것을 우려하여 바이에이트의 빔 캐논을 이용하여 아직 상반신만 완성된 메리크리우스를 파괴하려 했으나 플라네이트 디펜서에 의하여 실패하고 포로가 된다.

이미 콜로니 주민 출신 생도로 위장해 들어온 상태였던 트로와 바톤를 본 히이로는 트로와의 목적을 눈치채고 트로와의 제안에 따라 메리크리우스의 데이터 수집용 파일럿이 된다. 이후 우주로 올라온 톨기스를 상대로 멋지게 싸워 그 잠재력을 증명해 냈다. 이후로 한동안 전투하는 모습이 보이지 않았으나, 히이로가 메리크리우스의 파일럿으로 자주 불려갔다는 언급을 보면 그 뒤로도 여러 번 전투에 동원된 것으로 보인다.

OZ의 자원위성과 콜로니를 파괴하며 폭주하는 윙 건담 제로를 막기 위해 투입된 뒤 단신으로 윙 제로에게 도전했지만, 톨기스와 호각으로 싸웠던 메리크리우스였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일방적으로 밀리기만 했다. 심지어 트로와가 탄 바이에이트의 폭발에 카트르가 겨우 제정신으로 돌아와 전투 의지를 잃었을 때 공격했음에도 그 동안의 타격이 누적된 탓인지 상처 하나 못 주고 되려 크러시 실드가 폭발해 오른팔이 날아갔다. 그 뒤 윙 건담 제로에 탑승한 히이로의 폭주를 막기 위해 카트르가 탑승했고 윙 건담 제로를 파괴하기 위해 바로 앞에서 자폭시켰지만 정작 윙 건담 제로는 멀쩡했다(...).

이후 바이에이트와 함께 건담 제작자들에 의해 모빌 돌로 제작되어 파일럿인 히이로의 조종 데이터를 입력받아 화이트 팽에서 사용하게 되지만 건담 데스사이즈 헬에게 파괴당한다.

토키타 코이치의 코믹스에서 트로와가 잠입한 히이로를 제압할 때 탑승하였다. 이후 히이로가 건담 에피온에 탑승하기 전까지 탑승하였다.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MercuriusGBF.jpg

건담 빌드 파이터즈 14화에서 등장. 세이, 마오와 팀 배틀을 한다. 적 팀의 V2건담, , 보리노크 사만의 공격을 플라네이트 디펜서로 방어. 여담으로 배틀이 끝난 후의 모습에서 파이터의 모습이 히이로 유이 특유의 녹색 런닝을 입고 있는 여성으로 보인다.

5. 베리에이션

5.1.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OZ-13MSX2B-S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メリクリウス・シュイヴァ │ Mercurius Suivant
파일:OZ-13MSX2B-S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설정화 전면.png 파일:OZ-13MSX2B-S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설정화 후면.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제원: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7e6ee><colcolor=#988eca> 형식번호 OZ-13MSX2B-S
기체형식 프로토타입 방어형 모빌슈트
소속 OZ 프라이즈
조종 일반형 콕피트에 파일럿 1명
파일럿 루나 아르모니아
크기 두부고: 18.2m
중량 본체중량: 8.1t
장갑재질 건다늄 합금(G-METAL)
제네레이터 출력 불명
스러스터 추력 불명
무장 A.S. 크래시 실드 [스코피오 모델]
플라네이트 디펜서x20
빔 건
}}}}}}}}}

신기동전기 건담 W 듀얼 스토리 G-UNIT에는 이 유닛의 강화발전형인 메리크리우스 슈이번이 루나 아르모니아의 전용기로 등장한다. 플라네이트 디펜서의 개수가 2배인 20개로 늘어났으며 방어 능력도 2배로 상승. 게다가 플라네이트 디펜서가 뚫릴 때를 대비한 추가장갑과 방어면적이 늘어난 AS 크러시 실드가 있어서 기존 메리크리우스와 달리 본체도 안정적인 방어력을 구비했다. 그 무식한 방어력을 기반으로 그랑샤리오의 주포를 정면으로 맞고도 파일럿들이 살아남는 기적을 이루어냈다.

6. 기타

메카닉 디자이너는 카토키 하지메로, 이미지 컨셉은 뇌신, 정확히는 뇌공. 악역 모빌슈트라고 생각하고 디자인했는데 정작 히이로가 타서 당황했었다고 한다. 좀 더 멋진 모습으로 디자인하는 게 좋았더라며 후회했다더라는 후문.

이 기체의 특성과 바이에이트의 특성을 조합해서 물려받은 양산기로 비르고 시리즈가 있으며, 그 외에도 건담 데스사이즈 헬의 액티브 클록에 플라네이트 디펜서의 기술이 사용된 등 향후 등장하는 기체들에 미친 영향이 크다.

OZ의 타 양산기들과는 확연히 취급이 다른 유니크함 때문인지 슈퍼패미컴으로 나온 격투게임 엔들리스 듀얼에도 셀렉트 기체로 출연하는데 탄 적도, 제작 과정의 접점조차도 전혀 없는 노인이 파일럿으로 나온다. 이후 슈퍼로봇대전 D에서 바이에이트와 본기를 입수할 수 있는데, 입수조건 플래그는 탄 적도 접점도 없는 노인과 힐데의 격추수 합계. 기본 파일럿이 없어서 보통은 기체 입수조건이 되는 이 둘이 타게 된다.

7. 모형화

7.1. 건프라

7.1.1. 구판

<colbgcolor=#940018><colcolor=#FFFFFF> 박스아트 파일:구판 1/144 메리크리우스 박스아트.jpg 파일:구판 1/144 메리크리우스 리뉴얼 박스아트.png
상품구분 메리크리우스 ver. WF
스케일 1/144
발매 1995년 7월 2000년 7월
가격 500엔 600엔
링크 메리크리우스/제품 페이지 ver. WF/제품 페이지

<colbgcolor=#94001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1]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구판 메리크리우스는 1995년에 발매된 제품과 2000년에 1/35 스케일의 히이로가 추가된 패키지 리뉴얼 제품이 있다. 이 리뉴얼 제품은 피규어 동봉판(With Figure 버전, 줄여서 WF 버전)이라고 불린다.

7.1.2. HG

7.1.2.1. 메리크리우스
파일:HGAC 바이에이트 메리크리우스.jpg
<colbgcolor=#940018><colcolor=#FFFFFF> 상품구분
[[프리미엄 반다이|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
브랜드 High Grade After Colony
스케일 1/144
발매 2021년 1월
가격 3,8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94001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nclude(틀:건담홀릭 건프라 리뷰 표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2 #3 #4

HGAC 리오를 베이스로 신규제작되어 HGAC 시리즈로 상품화된다. 아래의 로봇혼과 마찬가지로 바이에이트와 세트로 발매된다.
바이에이트와 마찬가지로 노란색을 전부 씰로 메꾸는 것을 제외하면 리오와 마찬가지로 무난한 품질로 나왔다. 또한 플라이네트 디펜서를 하나씩 전개한 포즈가 가능하다는 것이 특징.
7.1.2.2.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파일:HGAC 바이에이트 슈이반&메리크리우스 슈이반 패키지.jpg
<colbgcolor=#f7e6ee><colcolor=#565072> 상품구분
[[프리미엄 반다이|
프리미엄 반다이 한정
]]
브랜드 High Grade After Colony
스케일 1/144
발매 2023년 4월
가격 4,600엔
링크 제품 페이지

<colbgcolor=#f7e6ee>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nclude(틀:달롱넷 건프라 리뷰 표시)]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1

앞서 발매된 HGAC 메리크리우스와 마찬가지로 메리크리우스 슈이반, 바이에이트 슈이반 2기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HGAC 메리크리우스를 기반으로, 컬러링 변경과 플라네이트 디펜서 10기 추가, 신규 조형의 변경된 머리 형상, 플라네이트 디펜서용 등의 조인트 파츠가 추가되었다. 또, 플라네이트 디펜서 전개용 프레임도 부속되어 20기 전부 전개된 모습도 재현할 수 있다.

7.2. 완성품

7.2.1. 액션 피규어

7.2.1.1. 로봇혼
  • \
    타마시이 웹 상점 한정
    로봇혼 : 2013년 10월 발매, 가격 7,500엔. # 바이에이트와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7.2.2. 식완

7.2.2.1. FW 건담 컨버지
  • FW 건담 컨버지 # 제11탄 : 2018년 6월 발매, 가격 500엔. #

7.2.3. 가샤폰

  • 기동전사 건담 가샤폰 전사 DASH 제7탄 : 2016년 7월 발매, 가격 1회당 300엔. #

[1] ver. WF 키트도 같이 소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