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02 11:19:54

모길료프

마힐료우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c8313e><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c8313e>
파일:벨라루스 국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민스크 시장.svg
민스크시
파일:민스크 주장.svg
민스크주
파일:브레스트 주장.svg
브레스트주
파일:비텝스크 주장.svg
비텝스크주
파일:그로드노 주장.svg
그로드노주
파일:모길료프 주장.svg
모길료프주
파일:고멜 주장.svg
고멜주
}}}}}}}}} ||
모길료프 | 마힐료우
Могилёв | Магілёў
파일:모길료프 시기.png 파일:모길료프 시장.png
<rowcolor=#fff> 시기 시장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286c8><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01010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라루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행정구역 벨라루스 모길료프주 모길료프
시간대 UTC+3
인구 353,110명 }}}}}}}}}
1. 개요2. 역사3. 경제4. 관광5. 스포츠6. 교통7. 자매도시8. 기타

1. 개요

모길료프(러시아어) 또는 마힐료우(벨라루스어)는 모길료프주의 주도로, 민스크, 고멜에 이어서 벨라루스에서 3번째로 큰 규모를 가지고 있는 도시이다.

드네프르강변에 위치하며, 강 북쪽의 "레닌 구"와 강 남쪽의 "10월 구"로 이루어져 있다. 도심은 레닌 구의 남쪽에 있으며, 10월 구는 아파트 단지가 많다.

2. 역사

모길료프는 1267년 역사 기록에 처음 언급되었다. 14세기부터 리투아니아 대공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리투아니아 대공국이 폴란드동군연합을 한 후 자연스럽게 폴란드의 도시가 되었다. 하지만 1772년 제1차 폴란드 분할 때 모길료프는 러시아 제국 땅이 되었다. 1915년부터 1917년까지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러시아 제국군의 본부가 모길료프에 있었고, 전쟁 기간 내내 러시아의 차르 니콜라이 2세가 이 곳에 상주하였다. 러시아 혁명 이후 1918년 독일에 의해 잠시 점령된 이 도시는 단명했던 벨라루스 인민공화국 아래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적백내전에서 소련이 승리함으로서 소련의 차지가 되었다.

독일이 소련을 침공해 모길료프를 점령하기 전까지 모길료프는 유대인이 50% 이상인 도시였다. 그러나 독일이 모길료프를 점령한 후 독일 무장친위대의 장군 에리히 폰 뎀 바흐의 지휘 하에 유데인들은 학살당했다.[1] 독일의 무장친위대와 게슈타포의 수장인 하인리히 힘러는 모길료프의 유대인 279명을 처형하는 모습을 보기도 했다. 1944년 6월 28일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폐허가 된 이 도시는 적군에 의해 해방되었다. 1991년 소련이 붕괴한 이후 벨라루스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3. 경제

모길료프의 주요 산업의 비중은 다음과 같다. 화학 및 석유화학(29.1%), 기계공학 및 금속 가공(35.2%), 식품(18.8%), 경공업(11%)이다.

4. 관광

거의 아무것도 없다. 독소전쟁나치 독일이 쳐들어와서 도시를 박살냈기 때문이다. 그래서 여타 구 소련 서부지역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1946~48년 사이에 지어진 건물이 많다. 그나마 시내에 있는 극장에서 저렴한 가격에 훌륭한 발레를 볼 수 있다는게 위안거리다.

5. 스포츠

축구팀으로는 FC 드네프르 모길료프가 있으나 2020년 파산하고 벨라루스 세컨드 리그(3부)[2]로 강등된 채로 재창단되었다. 2021년 벨라루스 퍼스트 리그(2부), 2022년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1부)로 승격되었으나 2023년 퍼스트 리그로 다시 강등되었다.

HK 모길료프라는 이름의 아이스하키 팀이 있다. 현재 자국 최상위리그[3]인 벨라루스 엑스트라클라사 A에서 뛰고 있다.

6. 교통

모길료프 공항이 있지만, 휴가철 전세기만 다닌다. 어차피 벨라루스 무비자는 민스크 국제공항을 통해서만 가능하므로 그쪽으로 들어오자.

시의 중심 철도역은 모길료프-1 역[4]이며, 민스크 중앙역에서 하루 3번 열차[5]가 다닌다.

모길료프 버스 터미널이 시내 북쪽에 있으며, 민스크 버스 터미널에서 하루 1대[6]의 버스가 운행한다.

여느 구 소련 도시들처럼 트롤리버스가 다닌다.

7. 자매도시

8. 기타

  • 대학으로는 벨라루스-러시아 대학과 모길료프 국립대학이 있다.



[1] 에리히 폰 뎀바흐의 거주지가 모길료프였다.[2] 이름은 2부 리그이지만 1부 위에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가 또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3부 리그이다.[3] 하지만 HC 디나모 민스크가 뛰는 러시아콘티넨탈 하키 리그가 벨라루스에서도 사실상 최상위 리그 취급이다.[4] 시내에서 약간 북쪽에 있다. 시내버스로 시내와 강남까지 접근 가능하다.[5] 하지만 밤 기차는 빙빙 돌아가는데다 중간에 열차가 분리되는 등 복잡하므로 사실상 2대. 월요일에는 아침 직통 열차가 한 대 더 있다.[6] 주말에는 1~3대가 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