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 #0089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신칸센 총괄본부 | ||
| | |||
| 모리오카 지사 | |||
| ■ 도호쿠 본선 · ■ 오후나토선 · ■ 키타카미선 · ■ 카마이시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하나와선 · ■ 야마다선 · ■ 하치노헤선 · ■ 오미나토선 · ■ 오우 본선 · ■ 츠가루선 | |||
| 아키타 지사 | |||
| ■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 키타카미선 ·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 우에츠 본선 · ■ 오가선 · ■ 고노선 | |||
| 도호쿠 본부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 |||
| ■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조반선 ·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 센잔선 · ■ 이시노마키선 · ■ 케센누마선 · ■ 반에츠토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 야마가타 신칸센) · ■ 요네사카선 · ■ 아테라자와선 · ■ 리쿠우토선 · ■ 리쿠우사이선 | |||
|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
|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조반선 · ■ 미토선 · ■ 스이군선 | |||
|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소부 본선 ( | |||
|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도호쿠 본선 ( | |||
| 수도권 본부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도카이도 본선 ( | |||
|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도카이도 본선 ( | |||
|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 |||
| | |||
|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 |||
| ■ 신에츠 본선 · ■ 우에츠 본선 · ■ 조에츠선 · ■ 에치고선 · ■ 야히코선 · ■ 하쿠신선 · ■ 요네사카선 · ■ 반에츠사이선 · ■ 타다미선 · ■ 이야마선 | |||
| 나가노 지사 | |||
| | |||
| 폐선 | |||
|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 }}}}}}}}} |
| [ruby(陸羽西線, ruby=りくうさいせん)] Rikuu West Line | 리쿠우사이선 | |
| | |
| 키하 110계 동차 | |
| 노선 정보 | |
| 애칭 | 오쿠노 호소미치 모가미가와 라인 (奥の細道最上川ライン) |
| 분류 | 지방교통선 |
| 기점 | 신조역 |
| 종점 | 아마루메역 |
| 역 수 | 10 |
| 개업일 | 1913년 12월 7일 |
| 소유자 | JR 동일본 |
| 운영자 | |
| 사용차량 | 키하 110계 동차 200번대 |
| 차량기지 | 코고타 운수구[1]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43.0㎞ |
| 궤간 | 1067㎜ |
| 선로구성 | 단선 |
| 사용전류 | 비전화 |
| 폐색방식 | 특수자동폐색식 |
| 신호장비 | ATS-Ps, ATS-SN |
| 최고속도 | 95㎞/h |
| |
| 실측지도 상의 리쿠우사이선 |
| 상행 전구간 주행영상 |
1. 개요
JR 동일본의 노선 중 하나로(지방교통선), 야마가타현 신조시의 신조역과 히가시타가와군 쇼나이마치의 아마루메역을 잇는다. '오쿠노 호소미치 모가미가와 라인(奥の細道最上川ライン)'이라는 애칭이 붙어 있으며 노선은 모가미강을 따라가고 있다.1913년 신조-후루쿠치 구간에 '사카타선'이 개업한 것이 시초로, 1917년 리쿠우사이선이 개업하였으며, 1924년 지금의 형태가 완성되었다. 1987년 국철분할민영화로 JR 히가시니혼에 승계되었다.
보통열차는 아마루메에서 우에츠 본선으로 직통운행하여 사카타역까지 운행한다. 쾌속 모가미가와가 신조-사카타 구간에 운행중이다.
야마가타현의 해안가 지역은 쇼나이(庄内)라고 불리는데, 이 쇼나이 지역과 내륙 지역을 잇는 유일한 노선이다.[2] 그리고 의외로 연선에 한국인들이 많이 산다.
후루쿠치역과 타카야역 사이에 있는 터널 바로 밑에 47번 국도의 새 터널을 짓고 있는데, 안전상의 문제와 공사편의를 위해[3] 2022년 5월 14일부터 모든 열차의 운행을 중지하였었다. 원래는 2024년 중으로 공사를 끝마칠 계획이었으나 지반 문제 등으로 인해 난공사가 되어버리면서 공기가 연장되었다. 한때 이것을 핑계로 리쿠우토선과 함께[4] 폐선하는게 아니냐는 카더라까지 돌았지만 2026년 1월 16일부터 운행을 재개하였다.
1.1. 노선 데이터
- 구간: 신조~아마루메 43.0km
- 관할: 동일본 여객철도 (제1종 철도사업자)
- 궤간: 1067mm
- 역 수: 10
- 복선구간: 없음
- 전화구간: 없음
- 폐색방식: 특수자동폐색식 (궤도회로검지식)
- 보안장치
- ATS-Ps: 신조, 아마루메 구내
- ATS-Sn: 전구간
- 최고속도: 95km/h
- 운전지령소: 신조 종합지령소 (CTC)
- 준운전지령역: 신조
- 교통카드 호환지역: 없음
- 영업본부
- 아마루메: 니가타 지사
- 미나미노~신조: 센다이 지사
2. 역 목록
- 전 역 야마가타현내 소재
| 표기 | 이름 |
| 快 | 쾌속 '모가미가와' |
| 통과하는 열차는 연회색으로 표기되어 있다. | |
| JR 리쿠우사이선 | |||||
| <rowcolor=#373a3c> 노선 | 역명 | km | 우등 | 환승노선 | 위치 |
| 리 쿠 우 사 이 선 | 신조 (新庄) | 0.0 | 快 | ¶JR 동일본 ■야마가타 신칸센, ■오우 본선, ■야마가타선, ■리쿠우토선 | 신조시 |
| 마스카타 (升形) | 7.5 | 快[↓] | |||
| 우젠젠나미 (羽前前波) | 10.6 | 快[↓] | |||
| 츠야 (津谷) | 12.9 | 快[↓] | 모가미군 토자와무라 | ||
| 후루쿠치 (古口) | 17.0 | 快 | |||
| 타카야 (高屋) | 24.8 | 快[↓] | |||
| 키요카와 (清川) | 31.1 | 快[↓] | 히가시타가와군 쇼나이마치 | ||
| 카리카와 (狩川) | 34.9 | 快 | |||
| 미나미노 (南野) | 38.9 | 快[↓] | |||
| 아마루메 (余目) | 43.0 | 快 | ¶JR 동일본 ■우에츠 본선(무라카미 방면) | ||
| 우 에 츠 본 선 | |||||
| 키타아마루메 (北余目) | 45.7 | 快 | |||
| 사고시 (砂越) | 48.7 | 快 | 사카타시 | ||
| 히가시사카타 (東酒田) | 52.0 | 快 | |||
| 사카타 (酒田) | 55.2 | 快[↓] | ¶JR 동일본 ■우에츠 본선(아키타 방면) | ||
[1] 리쿠우토선 종착역. 미야기현내 소재다. 왜 가까운 니가타나 아키타(사카타에 운수구가 있어 차량주박은 가능하나, 배치는 하지않는다.)가 아니라 코고타 배치냐면, 코고타쪽에서 리쿠우사이선과 리쿠우토선 차량을 공용으로 사용하기 때문. 물론 리쿠우사이선 전용열차도 있다.[2] 아테라자와선을 연장시키면 쇼나이 최대의 도시인 츠루오카가 나오지만, 좁은 골짜기라도 있는 리쿠우사이선 일대와 달리 아테라자와선 이서는 첩첩산중이라 연장 계획조차도 없었다.[3] 타카야역 구내 선로를 들어내고 노반만 활용해서 작업차량 접근로로 썼다.그렇게 한 몸 불사른 타카야역은 사실상 폐역처리 되었다[4] 호우로 피재당해 JR동일본 최악의 적자구간인 나루코온센~신조 간이 불통되었었다. 이쪽도 복구가 결정되어 2025년 10월 공사를 시작했다.[↓] 하행만 정차[↓]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