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 NXC 게임 개발·유통 계열사 |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 .93em" | 지주·본사 성격 법인 | ||||
| | | |||
NXC (최종 지주, 구 넥슨홀딩스) 1989 | 넥슨코리아 (실질적 본사, 구 넥슨) 1994 | 넥슨 (명목 본사, 구 넥슨재팬) 2002 | |||
주요 개발·유통 계열사 | |||||
| | | |||
니트로 스튜디오 2020 | 데브캣 2020 | 네오플 2001 | |||
| | | |||
민트로켓 2022 | 버튼스 2024 | 엔진스튜디오 2011 | |||
| | | |||
불리언게임즈 2012 | TDF 2019 | 넥슨게임즈 2022 | |||
| | ||||
엔미디어플랫폼 2005 | 넥슨네트웍스 1995 | ||||
해외 자회사 | |||||
| | | |||
엠바크 스튜디오 2018 | 세기천성 2004 | 렉시안 소프트웨어 2004 | |||
과거 계열사 [A] : 넥슨에 인수된 이후 개칭된 회사 | |||||
| | | |||
넷게임즈 2013 | 넥슨GT[A] 1993 | 넥슨레드[A] 2014 | |||
| | | |||
로두마니 스튜디오 2003 | 위젯 2001 | 띵소프트 2005 | |||
| | | |||
엔도어즈 1999 | 글룹스 2005 | 넥슨모바일[A] 2003 | |||
| | | |||
넥스토릭 2009 | 엔클립스 2006 | 궁 엔터테인먼트 1994 | |||
| | | |||
시메트릭스페이스 2006 | 리본게임즈 2010 | 빅휴즈게임즈 2000 | |||
| |||||
픽셀베리 스튜디오 2012 |
<colbgcolor=#000><colcolor=#FFF> 로두마니 스튜디오 LODUMANI STUDIO | |||
| | ||
법인명 | 정식: 로두마니 스튜디오 주식회사 영문: Lodumani Studio Inc. | ||
부서명 | 넥슨 신규게임 개발 2본부(합병 이후) | ||
국가 |
| ||
업종명 | 온라인 게임 개발 및 공급업 | ||
설립 | 2003년 | ||
해체 | 2012년(법인 해체후 내부부서로 전환) | ||
모기업 | 넥슨 | ||
후신 | 니트로 스튜디오(사실상) |
1. 개요
넥슨의 계열사이자, 합병 이후에는 사내 게임 개발 스튜디오 중 한 곳이였다. 정식 명칭은 넥슨 신규 게임 개발 2본부.이름의 유래는 자사 게임 크레이지 아케이드의 메인 빌런인 로두마니.
현재는 스튜디오 체제가 없어지고 라이브개발본부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로두마니 스튜디오는 더 이상 정식 명칭이 아니다. 다만 카트라이더는 2020년부터 새로 설립된 스튜디오인 니트로스튜디오에게 넘겨져 계속 개발되고 있다가 한국에서는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후속작 카트라이더: 드리프트는 로두마니 스튜디오와 무관하다.
2. 제작 게임
2.1. 서비스 했던 게임
2.2. 서비스 종료된 게임
- 크레이지레이싱 에어라이더
- 우당탕탕 대청소[4]
- 배틀스타 리로드
- 빅 샷 : 카스카 토너먼트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5]
[1] 2022년 10월에 편호장 디렉터가 취임했으나, 최근에는 근황이 없다.[2] 한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서비스를 종료했다.[3] 2019년 가을, 넥슨 구조조정으로 게임의 대부분 운영을 맡은 개발팀이 퇴사 및 부서이동으로 실질적으로 업데이트가 끊겼다. 2020년부터 2022년 2월까지는 라이브본부의 작은 업데이트가 있었지만 2023년 6월부터는 매크로 이벤트를 제외한 업데이트가 완전히 끊기면서 식물인간이 되어버렸다.[4] 무려 49일만에 서비스 종료한 게임. 서든어택2 비판 문서에도 언급되어 있는데, 이 게임은 인기가 없는 것도 있지만 게임이 상당히 괴멸적으로 뽑혀서 중단한 것도 없지않아 있다. 괴악한 조작감+게임 시스템[6] 덕분에 주 타겟층으로 잡았던 유저들이 얼마 하지도 못하고 떨어져나갔기 때문. [7][5] 2011년부터 2021년 1월까지는 넥슨 라이브 개발 본부, 2020년 9월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는 넥슨 자사인 니트로스튜디오에서 운영을 담당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