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9 09:34:24

따를 수에서 넘어옴
따를 수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3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6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ズイ
일본어 훈독
したが-う, まにま-に, まま
표준 중국어
suí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隨는 '따를 수'라는 한자로, '따르다', '따라가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는 U+96A8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LYKB(弓中卜大月)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쉬엄쉬엄갈 착)과 소리를 나타내는 (수나라 수, 떨어질 타, 제사 지내고 남은 고기 수·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는 辶이 隋 왼쪽 아래를 감싼 䢫 형태였는데 예서해서를 거치면서 辶이 隋 사이에 끼어 버렸다.

원래 수나라를 가리키는 한자는 이 글자였으나, 수 문제가 움직임을 뜻하는 (쉬엄쉬엄 갈 착)을 불길하게 여겨서 떼어버리고 로 고쳤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 (좇을 종)
  • (좇을 추)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길쭉할 타)

[1] 음은 같은데 의미가 정반대인 특이한 경우이다. 硬隨筆은 (굳을 경)을 써서 결국 '중수필(重隨筆)'과 같은 뜻이 된다. 輕隨筆은 (가벼울 경)을 써서 (무거울 중)을 쓰는 '중수필(重隨筆)'과 정반대의 뜻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