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2 14:23:46

동맥경화

동맥경화증에서 넘어옴
심장학
Cardiology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BD322B><colcolor=#333,#fff> 전문과목 순환기내과 · 심장혈관흉부외과 · 혈관외과 · 소아과 · 소아외과
해부학 심장 심장 · 심방 · 심실 · 판막
혈관 혈관 · 동맥 · 정맥 · 대동맥 · 대정맥 · 경동맥 · 겨드랑동맥 · 깊은넙다리동맥 · 넙다리동맥 · 노동맥 · 대뇌동맥고리 · 바깥목동맥 · 복강동맥 · 빗장밑동맥 · 속목동맥 · 아래창자간막동맥 · 온목동맥 · 위창자간막동맥 · 위팔동맥 · 자동맥 · 팔머리동맥 · 간문맥 · 속목정맥 · 팔머리정맥 · 홀정맥
생리학 맥박 · 심장 주기 · 심박출량 · 일회박출량 · 정맥환류량 · 수축기말용적 · 확장기말용적 · 스탈링 방정식 · 심전도 · 프랑크-스탈링 법칙 · 압력-용적 고리 · 청진 · 혈압 · 활동전위
심장 질환 심부전 · 심계항진 · 실신 · 흉통 · 청색증 · 심정지 · 허혈 · 돌연사
율동 부정맥 · 빈맥 · 서맥 · 조기흥분증후군
판막 심장판막증 · 삼첨판 폐쇄증
심내막 심내막염 · 감염성 심내막염
심근 심근증 · 확장성 심근병증 · 심근염 · 협심증 · 심근경색 · 재관류 손상
심낭 심낭염 · 심낭압전
종양 심장암 · 심방점액종
고혈압 고혈압 · 폐고혈압 · 폐성심 · 저혈압
혈관 질환 죽상경화증 · 동맥경화 · 색전 · 색전증 · 혈전 · 혈전증 · 지방색전증 · 혈관염
대동맥 대동맥 · 대동맥 파열 · 대동맥 박리 · 타카야스 동맥염
말초동맥 말초동맥질환 · 말초동맥폐색 · 버거씨병 · 가와사키병 · 결절성 다발동맥염 · 측두동맥염
정맥 만성정맥부전 · 심부정맥 혈전증 · 정맥류 · 정맥혈전증 · 표재성 혈전성 정맥염 · 하지정맥류
선천기형 심내막상결손증 · 심방 중격 결손증 · 심실 중격 결손증 · 동맥관 개존증 · 난원공 개존증 · 대동맥 축착증 · 동맥간증 · 팔로4징증 · 총정맥환류이상 · 대혈관전위증 · 엡스타인 기형 · 좌심 형성 부전 증후군
치료 약물 혈압약 · 안지오텐신전환효소 억제제 · 베타 차단제 · 이뇨제 · 아데노신 · 항혈전제 · 아세틸살리실산 · 헤파린 · 모르핀
중재 양압기 · 인공호흡기 · 에크모 · 심폐소생술 · 심장충격기 · 자동심장충격기 · 전극도자 절제술 · 혈관조영술 }}}}}}}}}

1. 개요2. 원인 및 증상3. 비유적인 표현

1. 개요

/ atherosclerosis / arteriosclerosis

파일:external/www.kdsheart.com/blood.jpg

동맥경화는 문자 그대로 '동맥이 딱딱해지는' 질병(arteriosclerosis)을 의미하나, 일반인들은 위 이미지처럼 '동맥이 막히는' 질병(atherosclerosis), 즉 죽상경화증()을 동맥경화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이 문서에선 두 가지 모두 서술한다. 둘다 대개 노인성 변화의 하나로 나타나지만 기타 원인에 의해서 젊은 나이에도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두 가지가 동시에 나타날 수도 있다.

의학코드명은 I70이다.

2. 원인 및 증상

Atherosclerosis(죽상경화증)은 죽(粥) 형태의 물질이 혈관 벽에 침착되는 것으로, 지방계통의 물질이 침착되면서 혈관이 좁아지고 해당 침착물은 축적되다가 혈전(thrombus)을 유발한다. 떨어져나간 혈전은 혈류를 따라 이동하다가 자기보다 얇은 혈관에 들어가면 그대로 막아 혈액 전달을 막으며(경색색전증), 이것이 주요 장기에서 발생하면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폐색전증 등 사망률이 높은 질병으로 이어진다.

Arteriosclerosis(동맥경화증)은 말 그대로 혈관이 딱딱해지는 것으로, 원래는 고무파이프처럼 탄력 있던 혈관이 가죽 같은 탄력 없이 뻣뻣한 형태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혈관벽의 평활근세포는 혈관의 직경을 조절하여 혈압 조정에 관여하는데 혈관탄력도가 떨어지면 혈압을 조절하기 어려워져 고혈압이 생기기 쉬워지고, 경화가 심해지면 그만큼 탄력이 더 줄어드므로 혈관이 찢어질 위험이 높아진다.

동맥경화가 심화될 경우 동맥류 발생률을 높인다. 동맥류는 약해진 혈관이 동맥의 압력에 의해 풍선처럼 부풀어오르는 현상으로, 늘어난 동맥이 주변 조직을 압박하여 증상이 발생하거나(뇌동맥류) 아예 터져 내출혈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대동맥류는 유량이 매우 큰 대동맥의 파열 가능성을 수직상승시키며, 만약 대동맥이 터진다면 사망률이 98%에 달한다.

독성 금속에 오래 노출되면 동맥경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다.#

과도한 단백질 섭취가 동맥 경화 유발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3. 비유적인 표현

e스포츠, 특히 RTS 장르에서 병력이 심시티나 홀드 포지션 등 때문에 막힌 채 쌓여있는 걸 표현하기도 한다. 가장 유명한 건 이제동맥경화.[1][2]


[1] 경기 풀버전[2] 후속작에서는 의외로 테란 선수들이 많이 저지르는데, 보급고를 내릴 수 있고 기술실을 스와핑할 수 있다 보니 일단 지어놓고 병력 상황에 따라 길을 열어야 하는데 역설적으로 언제든지 치울 수 있다보니 길막 자체를 까먹고 (...) 그대로 병력이 쌓이는 경우가 공식전에서도 자주 나온다. # 특히 전차 적립탱맥경화은 잊을만 하면 나오는 장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