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00:59:51

대전교도소

파일:교정본부 엠블럼.svg 대한민국 교정본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교정본부장_계급장.svg
법무부 교정본부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서울지방교정청
<colbgcolor=#ecebff,#020033> 교도소 안양교도소 · 의정부교도소 · 화성직업훈련교도소 · 화성여자교도소(예정) · 여주교도소 · 서울남부교도소 · 춘천교도소 · 원주교도소 · 강릉교도소 · 영월교도소 · 강원북부교도소 · 태백교도소(예정)
구치소 서울구치소 · 서울남부구치소 · 서울동부구치소 · 수원구치소 (평택지소) · 인천구치소 · 경기북부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구지방교정청
교도소 대구교도소 · 경북북부제1교도소 · 경북북부제2교도소 · 경북북부제3교도소 · 경북직업훈련교도소 · 부산교도소 · 창원교도소 · 포항교도소 · 안동교도소 · 김천소년교도소 · 경주교도소 · 진주교도소 · 상주교도소
구치소 부산구치소 · 대구구치소 · 울산구치소 · 밀양구치소 · 통영구치소 · 거창구치소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대전지방교정청
교도소 대전교도소 (논산지소) · 공주교도소 · 홍성교도소 (서산지소) · 천안개방교도소 · 천안교도소 · 청주교도소 · 청주여자교도소
구치소 충주구치소 · 대전구치소(예정)
파일:교정이사관(지방교정청장)_계급장.svg
광주지방교정청
교도소 광주교도소 · 전주교도소 · 순천교도소 · 목포교도소 · 장흥교도소 · 군산교도소 · 제주교도소 · 해남교도소 · 정읍교도소 · 남원교도소(예정)
구치소 광주구치소(예정)
국군교도소 (국방부) · 소망교도소 (민영) · 국립법무병원 (법무부 범죄예방정책국)
}}}}}}}}} ||
법무부 교정본부 대전지방교정청
대전교도소
Daejeon Correctional Institution | 大田矯導所
파일:대전교도소 청사 전경.jpg
<colbgcolor=#141b4d><colcolor=#fff> 종류 교도소
운영주체 법무부 교정본부 대전지방교정청
개소 1919년
소장 류기현
위치 대전광역시 유성구 한우물로 66번길 6
서신주소 (34186) 대전광역시 유성우체국 사서함 136호
연락처 042-544-9301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이전4. 사건사고5. 교통6. 여담7.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정동에 위치한 대한민국교도소.

2. 상세

일제강점기 에 생긴 교도소 중 하나로, 6.25 전쟁 당시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이 바로 이곳에서 벌어졌다. 1919년 설립 당시에는 중구 중촌동 현대아파트 자리에 있었으며 현 위치로는 1984년에 이전했다. 현재 수용인원이 3천명으로 애초에 인권이 제대로 보장되지도 못하는 북한의 교정시설이나 위구르족 탄압이 목적인 중국신장 재교육 캠프를 제외하면 동양 최대의 교도소로 알려져 있으며 대한민국에서 직원 수가 700명이 넘는 단 둘 뿐인 교도소다.[1] 소장도 2급(이사관) 상당의 고위직이다.

2025년에 유성구 방동으로 이전이 확정되었는데 해당 지역 주민들의 반발이 있다.[2] 이전하고 남은 부지에는 도안신도시 2-3단계 개발이 이루어질 예정이며 교도소 뒤편에서 끊어져 있는 도안대로가 직결 되는 등 이 일대에 큰 변화가 있을 예정이다.[3]

대구교도소, 안동교도소, 전주교도소 등과 더불어 과거 인민군 포로, 남파간첩, 사상범, 정치범 및 국가보안법 위반자들이 수감되었던 교도소로 유명한데 일제강점기에도 유명한 독립운동가들이 많이 수감된 적이 있다. 특히 대전교도소에는 그 중에서도 사상 전향을 거부하는 비전향 장기수들이 집중적으로 수감되었다고 한다. 때문에 6.25 전쟁 당시 좌익사범 및 보도연맹 관련자들이 한국군의 후퇴 및 수복과정에서 집중적으로 학살되었고 반대로 교도관이나 군경에 대한 학살이 인민군에 의해 저질러지기도 했다. 대전형무소 학살 사건 참고.



서울구치소, 대구교도소, 부산구치소, 광주교도소와 함께 사형 집행 시설이 설치된 교도소 중 하나였고, 교도소 중에서는 현재도 유일하게 이런 시설이 있다.

2023년 사형 집행 시설 점검 결과 사형 집행 시설을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한 곳은 서울구치소 한 곳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2023년 9월 23일경 대구교도소에 수감 중이던 유영철정형구서울구치소로 이감되었다. 법률신문

정식 명칭이 교도소인데도 이런 시설이 있는 건 이곳이 교도소와 구치소를 통합하여 운영 중이기 때문이다. 교도소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대전구치소는 별도로 분리 신설해 미결수만을 수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새 교도소에는 광주교도소처럼 사형집행시설을 만들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이전이 예정되어 있는 부산구치소도 한국이 실절적 사형제 폐지 국가이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사형 집행 시설은 빠질 가능성이 높고 실제로 광주교도소가 2015년에 이전하면서 사형 집행 시설 보유 교정시설들 중 처음으로 사형 집행 시설을 빼 버렸으며 대구교도소는 2023년에 이전하면서 광주교도소에 이어 두 번째로 사형 집행 시설을 없앴다. 서울구치소는 이전 떡밥이 계속 나오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어떻게 될지는 미지수. 사형/국가별 현황/대한민국/사형수 문서에서 보듯이 55명의 사형수가 집행되지 않고 있다.법률신문

3. 이전

대전교도소 이전, 대전의 새로운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교두보 되길

대전시는 1997년부터 대전교도소 이전을 법무부에 건의해 왔으나 아무런 성과가 없었다가 2017년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이 드디어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 당의 공약 관련 직책을 맡고 있던 조승래 의원이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을 대통령 공약에 포함시키는데 일조했다.

2017년 5월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된 후 법무부에 이전 후보지 선정위원회가 구성됐고 현장답사 등을 통해 2017년 12월 방동지구가 대전교도소 이전대상지로 선정·발표됐다.

21대 총선에서 대전교도소 이전을 조승래 의원이 공약했다.

2022년 2월 24일 대전시와 법무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 시행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후 인권위에게 열악한 실상 부분을 지적당했다.#

이전 부지에 투기한 교도관이 징역 3년을 선고받고 부동산을 몰수당했다.#

정용래 대전 유성구청장이 대전교도소 이전 문제를 매듭지을 수 있도록 적극 공조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대전교도소 이전은 2027년 전후로 완료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제3차 공공기관 사업 예타’ 대상에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이 포함됐다.#

수년째 정상궤도 못 오른 ‘대전교도소 이전 사업’ 변곡점 맞나

대전광역시와 부영은 교도소가 이전될 예정인 2028년부터 교도소와 충남방적 부지를 전부 개발한다고 밝혔다.

4. 사건사고

  • 2000년 10월 26일에는 1995년 4월 강도살인으로 징역 12년을 선고받고 이 교도소에서 복역하던 수형자가 탈장 증세를 호소 외부진료를 위해 방문한 대전 도마동 소재 모 의료기관에서 호송교도관의 감시소홀을 틈타 탈주한 사건이 있었다. 탈주범은 탈주 후 열차를 타고 서울을 거쳐 인천, 대전, 경기 수원을 떠돌다가 탈주로부터 50여일만인 12월 14일 다방주인의 제보로 경기남부도경 수원남부경찰서에 검거되었다. 이 사건은 공개수배 사건25시에 방영되었다.
  • 2004년 재소자에 의한 교도관 살해 사건이 발생한 적이 있다. 그간 재소자의 인권 보장과 처우 개선 위주로만 교정 정책이 시행되어 교도관들의 불만이 장난 아니었는데[4] 이 사건으로 분노가 폭발해 순직 교도관 추모 행사시 공무원에게 금지된 촛불 시위를 강행할 계획까지 등장했는데 사태의 심각성을 눈치챈 강금실 당시 법무부장관이 직접 추모 행사장을 찾아 호소하고 교도관의 처우 개선을 약속하면서 이는 이뤄지지 않았다.
  • 교도소에서 함께 생활하는 수용자를 상습 폭행한 10대에게 징역형 집행유예가 추가됐다.#
  • 2023년 5월 21일 오후 8시 15분경 '희대의 탈옥수' 신창원이 대전교도소 내에서 자살을 시도했다. 이후 순찰근무를 하던 교도관에게 발견되어 즉시 심폐소생술을 받고 곧바로 대전의 한 종합병원 응급실로 이송되었다.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5. 교통

교도소 입구를 마을3, 211, 212, 704 네 노선이 지나가니 면회나 기타 용무가 있는 사람은 이를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정확히는 교도소 앞까지는 212번만 들어가며 나머지 세 노선은 걸어서 약 10분 거리인 삼거리에서 정차한다.

6. 여담

대체복무요원 교육이 이 곳에서 이루어진다.


EBS 다큐멘터리 극한직업 교도관 편이 여기서 촬영되었다. 참고로 해당 영상은 2009년에 제작된 영상이다.[5]

부근에 (구)충일여자고등학교가 그대로 있다. 사유지이기 때문에 무단으로 출입하다가 적발되면 처벌을 받을 수 있다.

이석기통합진보당 내란선동 사건으로 수감되어 있었던 곳이다.

7. 대중매체에서

거침없이 하이킥에서 이수나가 수감되었던 곳 중 하나다. 수감된 지 일주일 만에 빨간 페인트로 영감탱 가만안둬라는 의문의 낙서를 써 놓고 탈옥하여 여자 신창원이라는 별명까지 붙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다른 하나는 서울구치소. 사실 의외로 대전교도소가 서울구치소보다 수용인원이나 면적에서 월등히 앞선다. 서울구치소의 수용정원은 2000명. 서울구치소가 님비현상 등으로 인해 수용정원을 아득히 뛰어넘은 상태라서 실제 수용하고 있는 제소자 수는 비슷하거나 서울구치소가 더 많을 것으로 추정한다.[2] 사실 이전의 이유도 교도소보다 나중에 생긴 아파트 단지 주민들의 항의 때문이었다.[3] 그러나 교도소 이전보다 도안대로 직결 개통이 먼저 이루어짐에 따라 도로에서 교도소 사동이 보이는 문제가 생겼다. 당장은 보안성 문제가 있지만 이전되면 해결될 문제라서인지 법무부 측에서는 따로 손을 대지는 않고 있다.[4] 물론, 군사독재 시절처럼 공안직이 콧대 세우고 다니던 시절에도 마냥 교도관 일이 편하진 않았다. 그 먹고살기 힘든 시절에 출근 첫날 바로 사표내는 사람도 나올 정도였다.[5] 당시에는 교도관들이 직접 열쇠로 문을 열어야 해서 교도관들이 힘들어했지만 현재는 자석 잠금장치로 바뀌어 교도소 내부의 잠금 시스템, 카드키로 쉽게 문을 열 수 있다.